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또래 및 교사 애착의 매개효과와 초·중·고등학생의 집단 차이

        이연숙(Lee, Yeonsook),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검증하고 나아가 매개효과를 초·중·고등학생 집단별로 분석하여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프로그램인 클래스넷(ClassNet)의 2019년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남녀 학생 2,525명(남학생 52.6%, 여학생 47.4%)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교사애착, 또래애착의 구조적 관계 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나타났으나 매개효과에서는 교사애착의 매개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다집단 분석 결과 교사 애착의 매개효과는 모든 학교급에서 유의하나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는 초등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개입이 중요하며, 또래 애착과 교사애착의 매개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을 모두 높여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으며 중고등학생은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 교사와의 긍정적인 애착을 높여 상호 작용하는 과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teach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by school level (elementary, middle, and high). Data from 2,525 students (52.6% male, 47.4% female) betwee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was obtained from ClassNet,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but only teacher attachmen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or. A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at all school levels, while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at the elementary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s to increase self-estee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teacher attachment are both important for improving school adjustment. At the elementary level, school adjustmen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eacher and peer attachment;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increasing positive teacher attachment can improve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 KCI등재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 마우스에서 식물성 지방 급원에 따른 혈액 및 간조직의 지질 조성

        이성현(Sunghyeon Lee),전혜경(Hyekyung Chun),박홍주(Hongju Park),이연숙(Yeonsook Lee),장순옥(Soonok Ch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식물성 지방 급원이 당뇨 모델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모델은 STZ의 투여로 유발된 인슐린의존형 당뇨 마우스를 이용하였고, 4종류(라아드 10%에 각각 대두유, 쌀눈기름, 쌀겨기름, 참기름 10% 첨가)의 실험식이를 7주간 급여하여 체내 지질 함량 및 대변으로의 배설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과 체중 및 장기 무게는 실험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은 쌀눈기름 및 쌀겨기름 첨가군에서 다른 실험군들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간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쌀눈기름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간의 총지질 함량도 쌀눈기름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대변으로의 총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배설량은 쌀눈기름 첨가군과 쌀겨기름 첨가군에서 대조군인 대두유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쌀눈기름과 쌀겨기름 급여군에서 체내 지질함량이 낮았고 쌀눈기름군에서 쌀겨기름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쌀눈기름은 인슐린의존형 당뇨마우스에서 체내 지질 함량 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쌀눈기름의 대변중 총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배설량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쌀눈기름은 대두유나 참기름보다 당뇨병 모델의 체내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plant oil sources on lipid metabolism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Streptozotocin-induced (65 ㎎/㎏ B.W.) diabetic mice were fed four kinds of experimental diets with 20% lipid, which composed of 10% lard, and 10% soy bean oil (SBO), 10% rice germ oil (RGO), 10% rice brab oil (RBO) and 10% sesame oil (SSO) respectively, for 7 weeks. Diet intake, body weight, organs weights and lipids levels of serum, liver and feces were measu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 intake and body weight among experimental groups. But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of RGO and RBO groups, and of serum total cholesterol of RGO and SSO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hepatic total cholesterol level was the lowest in RGO group.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excreted in feces of RGO and RBO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SBO and SS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ice germ oil can effectively reduce serum triglyceride level and hepatic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than rice bran oil, soy bean oil and sesame oil, and hypolipidemic effect of rice germ oil be due to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But we need to investigate the more detailed factors on lipid reducing effect in rice germ oil and rice bran oil.

      • 웨이브릿 변환에 기반한 색상과 질감 특징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

        서상환(Sanghwan Seo),이연숙(Yeonsook Lee),김상균(Sangkyoon Kim),김흥식(Heungshi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내용 기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위해서 low-level 특징에 기반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릿 변환에 기반한 색상과 질감 특징을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색상 정보로부터 추출한 인덱스 키와 웨이브릿 변환에 위해 추출한 질감 특징을 통계적 확률 분석 방법에 적용시킨 검색 시스템이다. 이러한 색상과 질감에 대한 효과적인 조합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성 높은 결과를 도출함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한다.

      • KCI등재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김나래 ( Kim Narae ),김석영 ( Kim Sokyong ),박종한 ( Park Jonghan ),손남호 ( Sohn Namho ),신원철 ( Shin Wonchul ),이미경 ( Lee Mikyoung ),이연숙 ( Yi Yeonsoo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8 No.-

        본고는 중국(PRC) 지역에서 간행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CFL) 교육용 교재의 분포에 대한 보고와 교재 개발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중국 국가 도서관(中國國家圖書館)을 통해 수집된 도서 목록에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용 교재 4126권을 분석하였다. 주제별 분석의 결과 통번역 교재, 뉴스 관련 교재, 노래나 게임 중심 교재, 비(非)HSK 시험 관련 교재 개발이 저조하고, 비즈니스 중국어 교재가 대부분인 목적서 전체의 비율도 9.02%에 그치고 있어 개혁개방 이후 중국어 교육 30여 년의 역사에서 아직까지는 특수목적 중국어(CSP) 교재나 학문목적 중국어(CAP) 교재의 개발은 미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역별로는 쓰기 교재의 비중이 특히 낮았으며, 특수목적 혹은 학문목적(CAP)의 쓰기 교재는 아예 개발된 적이 없어 전반적으로 범용(general purposes) 언어 교육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준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초급 교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우하향 패턴을 보이는데, 말하기 교재, 한자와 발음 교재가 우하향 패턴을 보인 반면, 읽기 교재, 어휘와 문법 교재, 문화 교재는 우상향 패턴을 보였다. 이는 수준이 올라갈수록 교수 내용의 중심이 말하기, 한자, 발음에서 읽기, 어휘, 문법, 문화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교수대상별 분포는 초중등학생에게 특화된 교재가 7.73%에 불과한 점이 두드러지는데, 아동중국어(CYL) 교육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교재 개발이나 교수 모델 개발이 저조한 편이며, 2000년대 이후로 작은 폭이지만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면 중국의 중국어 교재는 전반적으로 아직 CSP, CAP, CYL 분야의 교재 개발이 저조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다만 2000년대 이후에는 이 영역의 교재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고, 작은 양이나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중국어 교재 연구가 이 점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report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material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FL) that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PRC). The authors analyzed 4126 CFL textbooks searched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As for the purposes of the materials, a lack of development is observed in the textbooks for interpretation/translation, news-based materials, materials based on songs/games and the test preparation materials for non-HSK exams. The entire proportion of Chinese for Specific Purposes (CSP) materials, of which Chinese for Business Purposes (CBP) is the majority, is also only 9.02%, which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CSP or Chinese for Academic Purpose (CAP) has not been active during the 30-year history of CFL education since the `Reforms and Opening up`. Regarding the skills covered, the proportion of writing materials was particularly low and no writing textbook was ever identified for CSP or CAP, which indicates that the CFL education in China has centered on the teaching of Chinese for General Purposes (CGP). In terms of the levels, more than half of the overall materials were intended for beginners. Specifically, materials for speaking, Chinese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follow this right-skewed distribution but those for reading, vocabulary/grammar and cultural topics show the opposite, i.e., left-skewed distribution. This means that the focus of CFL instruction shifts from speaking,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to reading, vocabulary/grammar and culture in the more advanced levels. Another notable point is that the materials aimed at elementary to middle school students only account for 7.73%, which implies the lack of activit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or instructional models for Chinese for Young Learners (CYL). However, future trend is worth noting because a slight but steady increase in CYL materials is detected since the 2000`s. To sum up, among the CFL instructional materials released in China to date, CSP, CAP or CYL materials have been underdeveloped. As the publication of these materials, however, has been on a small but continuous increase since the 2000`s, it seems to deserve more atten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CFL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