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섭리론의 요소로서의 ‘보존’의 가치와 한계 : 환경 위기 극복에 덧붙여서

        이신열(Samuel Y. Lee)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8 No.-

        본 논문은 개혁주의 섭리론의 요소로서 ‘보존’이 우리 시대의 많은 신학자들에의해서 거의 고찰되지 않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었다. ‘보존’은 신학적으로 창조와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를 전제로 삼는 교리이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양자가함께 논의되어 왔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서 개혁신학자 칼빈(John Calvin)과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를 들 수 있다. 또한 보존의 교리적 중요성은 다른교리와의 관계에서도 분명하게 파악될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일반은총과 종말의 두 교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보존을 하나님의 지식이라는 차원에서 강조한개혁신학자는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이었는데 그는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들을 돌보시는데 특히 가장 작고 하찮게 보이는 미물에도 그의 보존사역이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을 유지하고 보존하신다는 사역의 이면에는 이들이 전적으로 하나님께 의존적이라는 사실이 강조될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 사실에 대한 올바른 깨달음은 피조물의 보존과 존속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부인하거나 감소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이를 더욱 강화시킨다. 하나님의 보존 사역에 대한 편협된 인식은 개혁주의 신학의 환경 책무를 부인하거나 소홀히 하는 경향을 자아낼 뿐 아니라 환경 위기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인류가 직면한 환경 위기의 근원에는 인간이 하나님의 피조세계가 지닌 질서를 무시하고 이를 남용했다는 사실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보존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역이라는 사실과 하나님에 대한 피조세계의 전적인 의존성과 피조세계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보존의 실질적 내용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강조점을 통해서 섭리론의 또 다른 요소인 ‘협력’이 가르치는 내용과 맥락을 같이한다는 사실이 파악될 수 있는데여기에서 보존과 협력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이 확인된다고 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보존이 협력의 관점(어떻게 하나님과 인간이 동시적으로 함께 행동할 수 있는가)에서 고찰될 때,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신학적 모판 또는 토대가 마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preservation’ as an element of providence has been virtually neglected in the writings of many Reformed theologians in our days. ‘Preservation’ has been discussed along with creation because the two doctrines are so closely related in their contents. This can be observed in the theologies of John Calvin and Herman Bavinck. Also doctrinal importance of preservation can be clearly seen in its relation- ship to other doctrines, particularly in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and eschatology. Knowing how preservation works for all creatures in this worl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 flip side of God’s preserving work, all creatures as objects of this divine work are also fully dependent on Him. God preserves all his creatures. Proper recognition of this fact does not mean reduction or denial of human responsibility in preserving all creatures. The root of this crisis should be sought in human abuse of the world created by God. Reformed theology has a task to demonstrate preservation being fully God’s work as well as the complete dependence of this creaturely world to God. Having em- phasized human responsibility in our engagement with environmental crisis and divine aspect of preserving this world, it can be seen preservation and concurrence, another element in providence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if preservation can b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con- currence (i. e., how God and human beings work together), it could be argued theological basis might be established in our attempt to overcome current en- vironmental crisis.

      • KCI등재후보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 1623-1687)의 창조론

        이신열 ( Samuel Y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이 글은 17세기 제네바 아카데미 (the Geneva Academy)에서 신학교수로 봉직했던 프란시스 튜레틴 (Francis Turretin, 1623-1687)의 창조론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그의 『변증신학강요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에 나타난 다양한 교리들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창조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튜레틴 연구의 이런 공백을 메우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본 논문은 그의 창조론에 나타난 다음의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첫째, 창조의 정의는 ‘무에서의 생성’으로 간략하게 정의되었는데 이는 창조의 직접적이며 이차적 차원을 함께 강조하는 정의에 해당된다. 둘째, 튜레틴은 창조를 삼위일체적 창조로 이해하는 전통적인 입장을 견지함과 동시에 창조는 하나님의 외적이며 일시적인 행위라는 맥락에서 창조의 시간성을 강조한다. 이 시간성은 구체적으로 6일 동안의 신적 사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6일 동안의 창조 사역에 대한 고찰에서 튜레틴은 제 4-6일에 발생한 사역보다는 제 1-3일의 사역에 더욱 집중하는 일종의 비대칭성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이유는 제 6일에 발생한 인간의 창조는 별도의 주제로서 집중적 고찰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넷째, 인간의 창조에 대해서는 선아담인류론, 하나님의 형상, 원의, 그리고 영혼의 기원이라는 주제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튜레틴은 특히 드 라 페이레르 (de la Peyrere)가 제기한 선아담인류론을 성경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비판함으로서 그의 『변증신학강요』가 지닌 변증적 성격, 즉 기독교의 진리를 공격하고 부정하는 오류를 객관적인 잣대로 공정하게 평가하는 신학적 태도를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다섯째, 천사의 창조에 대해서는 천사 창조의 증거와 시기, 천사의 예정, 천사의 지식, 그리고 피조되지 않은 천사로서의 그리스도라는 주제로 나누어서 고찰했다. 튜레틴은 특히 그동안 잘 다루어지 않았던 주제인 천사의 예정을 인간의 예정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독특함과 탁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리스도를 피조되지 않은 천사로 간주하고 고찰하는 가운데 그리스도와 천사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지평을 전개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Francis Turretin’s doctrine of creation, who worked as a professor in theology at the Geneva Academy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Although scholars have published results of their research regarding various doctrines in his opus magnum,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it is hardly possible to find results in the area of docrine of crea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this vacuum in Turretin research by meditating and presenting his doctrine of creation in following five subjects. First, creation is briefly defined as ‘the production ex nihilo’. Turretin emphasizes the character of creation is not only immediate but secondary along with this brief definition. Second, while Turretin holds fast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is doctrine by considering it in terms of the Trinitarian creation, he also concentrates on temporality of creation as it is understood as an extrinsic and transient act of God. Temporality of creation is specifically manifested into the divine work occurring during the period of 6 days. Third, Turretin exhibits alleged asymmetry in his treatment of the divine creation in 6 days.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in the proposition that creation of man would be treated in detail in separate sections following. Fourth, regarding the doctrine of human beings, we have divided it into the following four subjects: Pre-adamite theory, the image of God, original righteousness, and the origin of soul. Turretin, in his denial of preadamite theory advocated by de la Peyrere, presented his criticism against this theory in such a fair and objective manner based on Scriptural truth that an apologetic character exhibited in his Institutes could be clearly discerned. Fifth, regarding the creation of angels, we have divided it into the following four subjects: the evidences & the time of the creation of angels, the predestination of angels, the knowledge of angels, and Christ as the uncreated angel. Turretin especially deals with the subject of the predestination of angels, which had been hardly in theological discussion. His novelty is seen in the way he presented his argument specifically in comparison with the predestination of man. Also in considering Christ as the uncreated angel, Turretin provided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 and angels.

      • KCI등재후보

        한상동의 설교에 나타난 창조론에 대한 고찰

        이신열 ( Samuel Y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고려신학교의 설립자 한상동 (1901-1976)의 설교에 나타난 창조론에 대한 고찰을 시도했다. 이 시도에 앞서 먼저 한상동의 생애와 신학에 대해서 간략하게 평가했는데 그는 일제 시대에 신사참배 반대 운동을 주도하고 평양형무소에 투옥되었다가 1945년 해방과 더불어 출옥하여 목회활동에 전념하면서 고려신학교를 설립했으며 고려신학대학의 학장으로 봉사하기도 했다. 그가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목회 사역에 임하면서 행한 그의 설교를 평가함에 있어서 먼저 그의 목회사역과 기도가 그의 설교에 어떤 관계를 맺는가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의 설교에 대한 양적 분석을 시도했는데 이는 구약 보다는 신약에 집중하는 설교이었으며 신약 중에는 특히 복음서를 중심으로 설교이었으므로 그의 설교는 복음 설교라기 불리워질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설교를 교의학적 주제에 따라 분류해 보면, 개인 구원에 상당히 많은 양의 설교가 할애된 것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또한 교회와 성령에 대한 설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는 사실이 분석을 통해서 파악되었다. 이런 양적 분석과 더불어 그의 설교에 나타난 특징은 청중과의 일체감에 대한 강조, 짧지만 선포적인 문장의 활용, 그리고 대조적 용법을 지닌 문장의 활용으로 정리될 수 있다. 한상동의 설교는 내용적으로 살펴본다면 교리설교에 해당되는데 주로 다루어졌던 주제로는 하나님의 주권, 신앙 세계, 천국, 그리고 고난과 고독을 들 수 있다.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그의 설교들은 창조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삼는다는 사실이 주의를 환기시킨다. 그는 창조라는 주제를 빈번하게 자신의 다른 주제의 설교의 출발점으로 삼았는데 이 점에 있어서도 그가 자신의 설교에서 창조론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가가 잘 드러난다. 이 논문에서는 창조와 말씀, 창조의 성격, 창조의 목적, 창조와 인간, 그리고 창조와 노동이라는 5가지 주제로 나누어서 그의 설교에 나타난 창조론에 대해서 상세하게 고찰했다. 결론적으로 이 고찰을 통해서 그의 설교 제목에는 뚜렷하게 반영되지 않았지만, 한상동의 설교와 신학에 있어서 창조론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분명히 확인될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a study has been attempted regarding the doctrine of creation in the sermons of Rev. Han Sang Dong (1901-1976), one of the founders of Korea Theological Seminary. A brief description and evaluation of his life and theology have been provided. He had been imprisoned for several years in Pyeongyang by the Japanese authority because of his fierce opposition to the Shinto Shrine Worship. In 1945 he was finally released from the prison and fully dedicated himself to pastoral ministry mainly in Pusan. He also founded Korea Theological Seminary and a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Theological College. In evaluating his preaching covering moren than 30 years of his ministry, an attention was paid, first of all, to what kind of relationship among his preaching and ministry & prayer life can be established.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his preaching shows his sermons were mainly based on NT text and especially on the Gospels. Therefore, it follows his preaching might be categorized as Gospel-centered preaching. On the other hand, an analysis of his sermons in terms of dogmatic topics reveals a considerable amount of them has been devoted to personal salvation while they do not show strong emphasis on ecclesiology and pneumatology. Along with these quantitative analyses, some characteristc features of his preaching might be summarized with following points; first, emphasis on the feeling of unity with audience, second, utilization of pithy yet clear and strong declarative sentneces. third, utilization of sentences colored by dialectic and contrastive flavors. It would be reasonable to evaluate the sermons of Han Sang Dong mainly as doctrinal preaching. The main topics are the sovereignty of God, the world of faith, the kingdom of God, and suffering and loneliness in life. It is interesting to see his sermons on the sovereignty of God ar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creation. Many of his sermons were given on the assumption of the knowledge of this doctrine. In this article, his doctrine of creation has been further explained in term of following five topics including creation & the Word of God, characteristic of creation, purpose of creation, creation & human beings, and creation and work. It is made clear from this study the doctrine of creation has been highly appreciated in the sermons of Han Sang Dong even though the very titles of sermons do not mention particularly this doctrine at all. Finally, it can be convincingly argued the doctrine of creation had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preaching as well as theological thought of Han Sang Dong.

      • KCI등재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

        이신열 ( Samuel Y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이 글은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를 적응이론,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자연, 구체적 자연과학에 대한 이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글이다. 먼저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그의 적응이론을 살펴보았는데 이 이론을 통해서 칼빈이 이해한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이 어떻게 그의 창조론에 영향력을 행사했는가를 파악할 수 있었다. 태초에 6일 동안에 창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하나님께서 인간의 이해 능력에 맞추어서 이를 행하셨음에 대한 증거에 해당된다. 또한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자연 이해에 있어서 피조세계는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존적이며 그의 능력에 의해서 유지된다는 사실이 먼저 지적된다. 이와 더불어 칼빈은 자연에 불확정성과 불안정성이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천체의 움직임, 물, 그리고 지구의 위치 등을 통해서 설명했다. 이런 설명들을 통해서 칼빈이 당대의 과학, 즉 자연철학에 대한 문외한이 아니라 상당한 자연과학적 지식을 소유했다는 사실이 확인될 수 있었다. 칼빈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당대의 자연을 탐구하는 원리나 법칙들로서 설명될 수 없는 자연적 현상 이면에 숨겨져 있는 하나님의 능력을 드러내면서 이를 높이고 찬양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특히 칼빈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의 원리를 수용하면서도 이 원리에 위배되는 다양한 자연 현상들 (예, 물이 지구표면 위를 완전히 뒤덮지 못하고 지면이 물위로 솟아난 경우)이 하나님의 직접적인 능력과 섭리의 결과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고 간주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자연과학으로서 천문학 또는 점성술에 대한 이해는 사실상 참된 점성술과 거짓 점성술에 대한 분별로 귀결되어 나타났다. 칼빈은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천문학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천문학과 점성술은 그 자체로서 인간에게 유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이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소위 ‘재판적 점성술’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 칼빈은 우주와 자연에 나타난 하나님의 질서를 왜곡하여 만물의 미래를 판단하려는 이들의 어리석음과 이로 인한 폐해들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자연과학에 대한 칼빈의 기본적 입장은 과학적 지식을 추구하는 자들이 그들의 연구 결과를 사리사욕을 위해 악용하거나 왜곡하지 아니하고 우주와 자연에 나타난 하나님의 질서를 올바르게 탐구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유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주장에 의해 잘 드러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view Calvin's understanding of natural science in following three points: theory of accommodation, nature as God's creation, and understanding of specific natural science. First, in our explanation of his theory of accommodation, we have been able to grasp how Calvin's understanding of God's absolute power influenced his doctrine of creation. The fact that God created all things in six days is an evidence that God did it in accordance with human ability to understand. Calvin, dealing with nature as God's creation, pointed out the creation is totally dependent on God and sustained by His power. Calvin did not forget to mention that there is uncertainty as well insecurity inherent in nature. Evidences for these are seen in motions of stars, water, and position of earth. By explaining these phenomena Calvin proved himself to have a considerable knowledge in the matters of natural philosophy at that time. Furthermore, Calvin revealed and praised the power of God hidden in explicable natural phenomena. Calvin, accepting the principle of natural philosophy advocated by Aristotle, showed that there are many phenomena violating this principle (e g. water not completely covering the earth). It was his argument these phenomena are made possible by immediate power of God and his providence. Finally, in his assessment of astronomy or astrology as specific natural science, Calvin focused his attention on distinguishing between true and false astrology. Astronomy or astrology was basically considered a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bringing benefit to human life. However, in his critic on 'judiciary' astrology, Calvin was keenly aware of the danger of distorting God's order established in the universe and estimating the future of all things according to this discipline. Calvin's basic attitude toward natural science can be seen in his argument all who are pursuing scientific knowledge should not be distorting its truth for the sake of his or her private benefit. Calvin believed that by properly searching the order found in the universe, natural science can be useful for all people.

      • KCI등재후보

        칼빈의『공관복음 주석』에 나타난 섭리 이해

        이신열 ( Samuel Y. Lee )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4 No.-

        지금까지 이루어진 칼빈의 섭리론에 대한 연구가 주로『기독교 강요』에 대 한 고찰의 결과로 머무른 결과 그 기독론적 의미가 제대로 부각되지 않았다고 평가될 수 있다. 칼빈의 교리 연구는 철학적 사색의 산물이 아니라 그의 성경 연구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섭리론 연구에 있어서도 이런 관점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칼빈의『공관복음 주석』에 나타난 섭리에 대한 이해를 먼저 섭리의 기 원과 성격, 목적과 결과라는 관점에서, 그리고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을 통해 서 이를 고찰하였다. 먼저 섭리는 하나님의 전능과 은혜, 그리고 선하심에 기 초하며 이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섭리의 성격은 은밀성, 보편성, 임의성, 그리고 목적 지향성을 지닌다. 칼빈은 이런 기원과 성격을 지닌 섭리의 목적은 인간 구원과 관계된 것으로서 인간의 신앙에 의해 수용되어 신앙을 강화시키 는 것이라고 밝히며 이의 궁극적 효력은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의해 결정된 다고 보았다. 또한 섭리가 불신앙에 의해 수용되지 않은 경우는 섭리에 대한 왜곡을 초래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에 대한 하나님의 무서운 심판과 형벌을 자초하게 된다. 『공관복음 주석』에서 칼빈의 주된 관심은 섭리에 대한 기독 론적 이해인데 이는 공관복음서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을 집중적으 로 조명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섭리에 대한 기독론적 이해의 주된 내용은 칼빈에 의해 두 가지로 구분되어 고찰된다. 첫째, 그리스도는 섭리의 객체임과 동시에 주체라고 볼 수 있다. 그리스도의 섭리 사역은 하나님 아버지 가 행하시는 섭리 사역의 지속이며 완성에 해당된다. 둘째, 그리스도가 행하시 는 섭리의 영역은 피조세계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인 개인, 그리고 하나님 나라 의 가시적 형태인 교회에 해당된다. 칼빈은 이 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 도의 섭리 사역을 보존과 통치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먼저 피조세계에 드러 난 그리스도의 섭리를 만물을 향한 보존과 통치의 사역은 이는 주로 기적의 관 점에서 파악된다. 또한 하나님의 백성인 개인들에게 행해지는 그리스도의 보 존과 통치는 주로 구원의 관점으로 집약되어 고찰된다. 마지막으로 교회를 향 한 그리스도의 섭리는 현재적 차원에서 보존을 위한 통치라는 모습으로 드러 나지만 여기에는 어느 정도 감추어진 측면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종말에 이르러서 그 온전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는 사실을 칼빈은 강조한다. So far our understanding of Calvin``s understanding of providence has been mainly done by analyzing his main work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In oder to overcome this kind of deficiency in Calvin research,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Calvin``s exegetical works in our effort to understanding this doctrine. This essay attempts to evaluate Calvin``s understanding of providence in his Commentary on the Harmony of the Gosples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origin and nature, its purpose and result, and from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Calvin argues that the origin of providence originates from divine attributes including omnipotence, grace and goodness of God. Furthermore, its nature of can be summarized with four terms including hiddenness, universality, arbitrariness, and purpose-directedness. According to Calvin its purpose is related to human salvation, more specifically to strengthening of one``s faith. When accepted by faith, providence plays a substantial role for this purpose. However, Calvin does not forget that its ultimate efficacy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the word of Christ along with these miracles. When not accepted by faith, providence is distorted by unbelief and it calls for divine judgment and the consequential punishment from God. It is natural and necessary to have christological approach to providence in our understanding of this Commentary since it main concern is to explain the person and the work of Christ. A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providence can be discussed in two points. First, Christ is not only the object of God``s providence but also its subject. Providence as the work of Christ is continuation as well as completion of that performed by God the Father. Second, the providence of Christ can be seen in occurring in following three realms: God``s creation, God``s people as individuals, and the church as the visible kingdom of God. Calvin understands the work of providence given by Christ in these three realms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government. In God``s creation, Christ is portrayed as performing these two works of providence usually in terms of miracles. Also they are focused into the perspective of salvation as they are performed toward the people of God as individuals. Lastly, Calvin emphasizes the works of preservation and government toward the church are not yet realized in their fullness in our time because they will be fully revealed in the last days.

      • KCI등재

        츠빙글리의 창조와 섭리 이해

        이신열 ( Lee¸ Samuel Y.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6 No.-

        본 논문은 취리히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Huldrych Zwingli)의 창조론과 섭리론을 고찰한다. 지금까지 그의 섭리론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창조론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은 이런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서 하나님의 존재를 창조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창조론에 대한 논의는 창조에 대한 정의, 성격, 그리고 이에 대한 과학적 이해라는 단락으로 나누어서 진행되었다. 창조의 성격은 다시 무로부터의 창조, 선한 창조, 그리고 목적 지향적 창조라는 세부 항목을 통해서 고찰되었다. 이런 사실들을 놓고 볼 때, 츠빙글리에게 창조가 철학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성경적인 개념이라는 사실이 강조되었고, 또한 창조의 목적이 섭리를 지향한다는 성경적 원리가 확인된다고 볼 수 있다. 섭리에 대한 논의는 정의, 구성요소, 그리고 범위로 나누어서 진행되었다. 먼저 섭리의 정의에는 하나님의 통치와 돌보심이라는 두 가지 주제가 강조되었으며, 구성 요소로는 세 가지(지혜, 선하심, 권세)로 설명되는데 이는 하나님의 속성들이 섭리와 맺는 밀접한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섭리의 범위가 상당히 넓은데, 여기에 율법, 선택, 그리고 믿음이 포함된다. 이는 섭리가 지닌 전 포괄성, 즉 섭리가 ‘모든’ 사물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와 돌보심이라는 츠빙글리의 정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조와 섭리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형식적으로 전자는 후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을 뿐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전자는 후자에 의해서 지배된다. 따라서 츠빙글리에게 창조는 섭리적 과정의 한 부분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적으로 섭리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rticulates the doctrine of creation and providence in the thought of Huldrych Zwingli. It is almost impossible to locate secondary works on creation while some works have been published regarding providence. This article begins with an explanation of the being of God with respect to the doctrine of creation. The doctrine of creation is analyzed by considering its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on is further divided into creation from nothing (ex nihilo), its goodness and orientation with goal. In considering these ideas, it appears that although creation has been understood in philosophical terms, one cannot deny it is clearly a biblical concept in Zwingli’s thought.His emphasis on the purpose of creation is fully biblical as well. This idea of purpose in creation is a direct link between creation and providence. Discussion on providence is divided into its definition, composing element, and categories. In its definition, Zwingli focused on the two themes of divine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Its three composing elements (wisdom, goodness, authority) are proposed in their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attributes. It is important to see that the category of providence is very comprehensive, and herein included are law, election, and faith. It reminds us of Zwingli’s repeated emphasis on the all-inclusiveness of providence.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creation and providence can be seen as following. The former has been discussed in terms of the latter with respect to doctrinal formality.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ir relationship in doctrinal content. Therefore, the meaning of creation is totally determined by providence although the former does not constitute one of the processes of the latter.

      • 부에 대한 칼빈의 이해

        이신열(Samuel Y. Lee) 행복한부자학회 2014 행복한부자연구 Vol.3 No.2

        칼빈은 부를 하나님의 부성애적 섭리에서 비롯된 선물이며 은사로 이해했다. 그러나 그는 부에 대한 긍정적 이해와 더불어 이를 덧없는 것으로 파악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했다. 이 이중적 태도의 핵심은 신자가 소망하는 영원한 것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는 칼빈이 주장하는 세상의 물질에 대한 경멸의 근원으로 작용한다. 부에 대한 ‘경멸’의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한 자만이 비로소 이를 온전하고 영적인 의미에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칼빈은 또한 부를 창출하는 인간의 노동을 하나님의 선물 또는 은사로 이해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하나님의 부요하심이 전달된다고 보았다. 노동의 댓가로 주어지는 임금은 영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의 은혜에서 비롯된 무상의 보수에 해당된다. 따라서 칼빈에게 사람으로부터 노동의 기회를 빼앗거나 노동자의 정당한 임금을 가로채는 행위는 세상에서 가장 잔혹한 행위로 비난 받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칼빈은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의 차별이 존재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인데 전자로부터 후자로 부가 흘러가는 재분배를 옹호하였다. 이 점에 있어서 칼빈의 견해는 근대자본주의가 부를 창출하고 축적하는 견해와는 다른 견해를 지닌 것으로 보인다. 그는 사유재산을 인정했지만 부의 재분배에 있어서 사랑과 자발성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는데 칼빈의 나눔의 원리는 사실상 그의 은사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은사는 공동체적 개념이며 남의 유익을 위해서 자신의 것을 사심없이 나눈다는 전제하에서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해서 교회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허락하신 섭리론적/구원론적/교회론적 선물이다. 부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오순절 및 은사주의 운동의 은사 이해는 이를 지나치게 초자연적 차원에만 국한시킨 결과 은사의 섭리론적 차원을 간과하는 우를 범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은사는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서 공동체적 관점에서 나누어야 할 하나님의 섭리적 선물로 이해되기 보다는 오히려 개인적인 차원에서 누릴 수 있는 초자연적 차원의 선물 (예, 방언, 치유, 기적 등)로 이해되기에 이르렀다. 미국의 번영 신학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를 이해한결과 칼빈이 추구했던 사랑과 자발성의 정신에 토대를 둔 부의 재분배보다는 부와 번영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고 이를 우선시하는 개인적이며 비공동체적인 비성경적인 견해를 지니게 되었다. 칼빈이 이해했던 부의 신학은 부 자체가 인간의 목적이 될 수 없다는 사실에서 출발하므로 만물이 하나님의 주권아래 놓이고 순종하게 되는 ‘오직 하나님께 영광’ (Soli Deo gloria)을 돌려드리는 신학에 해당된다. 또한 부라는 은사는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가는 수단으로 제시되는데 이를 통해서 부에 대한 인간의 교만과 그릇된 생각을 배제하는 성화된 삶을 증진시킨다. 이런 관점에서 칼빈에게 부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풍요로움을 더욱 잘 인식하도록 이끄는 수단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인식은 자족감과 부의 재분배라는 유익한 결과를 제공한다. Calvin understood wealth in terms of gift and charisma stemming from the fatherly providence of God. But he also had a dualistic attitude of regarding wealth something valueless in addition to his positive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his dualistic attitude can be located at Calvin’s trust in the eternal things, which turns out to be foundation of his contempt for worldly material. Only those who properly grasped the meaning of ‘contempt’ for wealth can really have ‘enjoyment’ for it in spiritual sense. Furthermore, Calvin saw human labor producing wealth in terms of charisma by which the abundance of God is transmitted. Wage, which is paid for the price of labor, is free payment of God coming from His grace. According to Calvin, the act of both taking away the opportunity for labor and confiscating wages of laborers were one of the most barbaric acts any human being can actually commit. To calvin, it was the will of God that there actually was differentiation between the well-to-do and the poor. He also advocated that wealth could be redistributed as it should be moved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However, in his view on redistribution the principle of voluntarism and love plays a vital role. The root of this principle can be found in his understanding of charisma. Charisma is the gift of God distributed to the members of His church. It is given to her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under the condition that it should be utilized for the communal service. More specifically, charisma is the concept which can be categorized under the doctrines of providence, salvation, and church. But in the theology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church, charisma is often misconstrued due to her unbalanced emphasis on a supernatural aspect of its understanding. As a result, charisma is preferred to be recognized and practiced in terms of supernatural gifts (e. g. speaking in tongues, healing, and miracle, etc). Wealth and prosperity Gospel from America also prefers to have an individual and fragmented concept of wealth rather Calvin’s view which strongly emphasizes its redistribution employing the principle of voluntarism and love. Calvin’s understanding of wealth shows us that the pursuit of wealth cannot be the goal of human life on its own. In his thought, the sovereignty of Go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controlled the whole of his worldview. It means wealth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sovereignty of God, too. Wealth viewed as charisma is regarded as a means not only to bring us one step closer to our God, but also to promote the holy life by inhibiting the growth of human pride. From this viewpoint, our thought on wealth can be utilized as a means for better appreciation of divine goodness and abundance.

      • 현대신학자들의 유신진화론(theistic evolution)에 나타난 신학적 한계와 문제점

        이신열(Samuel Y, Lee) 한국창조과학회 2022 Origin Research Journal Vol.2 No.1

        이 논문은 현대신학자들의 유신진화론에 나타난 신학적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적 시각에서 평가하되 이들의 창조와 섭리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에 앞서 먼저 여러 학자들이 주장하는 유신진화론의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특징을 개괄적으로 소개했다. 그리고 현대신학자들의 유신진화론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기에 앞서 일종의 예비 작업으로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유신진화론의 정의와 특징을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S. Collins)와 우종학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그 후에 현대신학자들의 유신진화론에 대한 견해를 몰트만(Jürgen Moltmann),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그리고 맥그래스(Alister McGrath)의 견해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에 근거해서 이들의 유신진화론에 대한 효율적이며 비판적 평가를 위해서 창조와 섭리의 관계를 통하여 이들의 견해에 나타난 한계와 문제점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유신진화론’이란 구체적이며 직접적인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이 이론의 영향력 아래 놓인 이들의 견해에는 성경과 전통적 개신교 신학의 창조론과 섭리론에서 이탈한 여러 주장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octrines of creation and providence in order to’ critically evaluate the theistic evolutionary claims of modern theologians in our times. As a preliminary step for achieving this goal, first of all, a brief presentation has been made on the various definitions of theistic evolution suggested by many scholars. In addition, the opinions of practicing scientists advocating theistic evolution have been evaluated including Francis S. Collins and Jong Hak Woo. The thoughts of modern theologians represented here by Jürgen Moltmann, Wolfhart Pannenberg, and Alister McGrath, have been presented in detail. Based on this presentation, a critical evalua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limits and problems on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theistic evolution. Even though all of them did not use the term ‘theistic evolution’ in their writings, it is argued that they all were clearly deviated from the scriptural teaching and the traditional Protestant understanding on both doctrines of creation and providence due to their theistic evolutionary though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