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설사업 발주자 조직 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이시욱,우성권,김옥기,Lee, Si-Wook,Woo, Sung-Kwon,Kim, Ok-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4 No.3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uccess or failure depends on the capability and role of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 which has an effect on the peoples' lives and national finance because of a lot of involvement from the project owner.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project owner has the sufficient capability for the success of relevant industry and the further development of whole industry. Therefore, at the viewpoint of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that defines and evaluates the capability of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 is necessary. As-Is and To-Be competency can be measured by the individual areas and elements through the survey. By evaluating these capabilities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assume not only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al competency but also constant other capabilities. It is become to make plans for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by catching which capabilities are really necessary. It will result in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al competency. 건설산업은 수주산업으로서 사업기간 전반(Project Life Cycle)에 걸쳐서 발주자의 관여도가 크기 때문에 발주자의 역할과 기능이 사업의 성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 이미 발주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발주자 조직이 수행하여야 할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건설사업의 발주자 조직에 대한 조직 수준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조직 역량요소를 이용한 발주역량 평가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발주역량평가의 기본체계(Framework)를 제시하고, 개발된 발주역량평가체계를 실제 발주자 조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그 적용성을 검증한다. 건설공사 발주기관의 역량에 대한 정량화 가능한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발주자 조직 역량의 현재 수준 진단과 부족한 역량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면, 미래지향적인 전략 수립 및 발주자 조직 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에서의 수출 집약도 및 다양도의 역할

        이시욱,Lee, Siwook 한국개발연구원 2009 韓國 開發 硏究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Hummels and Klenow (2005)의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에 있어서의 수출의 다양도 및 집약도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출 다양도란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중국 전체 수출국의 수출품목 대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목의 비중을 의미한다. 한편, 수출 집약도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목 기준으로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중국 전체 수출국 대비 우리나라 수출의 비중으로 정의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최근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확대의 주요인은 수출 집약도의 증가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중장기적인 수출 호조세의 지속을 위해서는 수출 다양도보다는 수출 집약도가 더 중요한 요인이라는 $Besede{\check{s}}$ and Prusa(2007), Helpman, Melitz, and Rubinstein(2007) 등의 분석과 일치된 결과이다. 수출 다양도의 경우, 무역자유화 초기에 해당되는 1990년대 초반에는 빠르게 증가하나 이후에는 부품 및 자본재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한편, 부품과 자본재가 전반적으로 1차 산품, 소비재 등 여타 상품군들에 비해 수출의 지속성(survival)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1차 산품, 소비재 등의 경우 수출 개시 후 4년 이내에 전체의 약 75% 수준의 품목이 수출을 중단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부품과 자본재는 기술 수준의 구분 없이 1992~2007년 기간 중 지속적으로 수출이 이루어진 품목의 비중이 15% 수준에 이른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제분업구조의 진전이 수출의 지속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relative contributions of extensive margin and intensive margin of Korean exports growth to China after 1990s', based on an analytical approach proposed by the Hummels and Klenow(2005). In this paper, extensive margin is defined as a weighted count of Korean exports categories relative to the rest of world's export categories to China. On the other hand, intensive margin refers to Korean exports to China relative to the rest of the world's exports to China, exclusively in those product categories that Korea exports to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xpansion of Korean exports to China was induced mainly by the increase of intensive margi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Besede{\check{s}}$ and Prusa(2007) as well as the Helpman, Melitz and Rubinstein(2007) who suggest that intensive margin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extensive margin for sustaining growth of export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survival rates of exports of parts and components and capital goods is relatively higher in comparison to those of primary and consumption goods. This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under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could substantially affect the survival of exports.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터널공사계획모델 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연구 - NATM 공법을 대상으로 -

        이시욱,우성권,Lee, Si-Wook,Woo, Sung-Kw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5

        건설공사의 포기 단계에서 적절한 공사기간 산정과 공사비용의 예측은 공사 전반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건설공사 수행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합리적인 분석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NATM 공법으로 시공되는 도심지 지하철 터널의 전 공정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이에 기반하여 공정 계획 및 분석이 가능한 의사결정의 지원 도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실제 사례 현장의 공정 프로세스 분석과 관련 데이터의 수집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발생 가능한 제한 사항을 반영하친 조건들을 수정 가능하게 하여 본 연구의 대상 사례 현장뿐만 아니라 타 현장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일반성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통한 현실적인 공사 완료 시점을 예측하게 하고 계획 수립과정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건설사업의 총체적인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initial step in the construction process, estimating appropriate construction time and expens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would influence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In order to enhanc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re is a need to analyze and manage rationall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make a simulation model for all subway tunnel construction based on the NATM method, also give an support equipment that would make available to plan and analyze the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is based on a real case construction analysis process and also on the reference data. It reflects restrictive elements, make it possible to modify the conditions, and not only adapt to our project's construction but other projects as well. The model developed by this project will be able to reasonably predict the construction completion time and support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during the planning. Therefore we can expect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whole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

        수입관세 인하가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시욱,Lee, Siwook 한국개발연구원 2007 韓國 開發 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1993~2003년 기간 중 통계청의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의 원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사업체 수준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수입관세의 변화가 우리나라 개별 사업체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분석기간 중 우리나라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 변화는 산업 내 혹은 산업간 자원이동에 기인했다기보다는 개별 사업체 내부의 생산성 변화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관세장벽이 낮을수록 개별 사업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세 장벽의 철폐를 통한 수입시장의 개방이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개별 기업으로 하여금 생산 경영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기업의 혁신역량을 배양하는 유인으로 작용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연도별로는 관세율 인하 후 첫 번째 연도의 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업체들이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관세 변화에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용의 경우에는 관세율 인하 후 차기연도 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고용 변화가 감지되지 않지만, 이후 고용증대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mport tariff on within-plant productivity growth in Korean manufacturing, using the detailed plant-level longitudinal data of the Korea Census of Manufacturers for the period of 1993-2003.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vity changes of Korean manufacturing for the period under analysis were mostly induced by within-plant productivity gains, rather than within-industry and/or between-industry resource reallocations.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firm-specific heterogeneity,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lowering tariff-barriers has a positive impact on within-plant TFP growth. We interpret the results in a way that trade liberalization through the removal of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heightens the competitive pressure, which in turn creates incentives to reduce production and managerial inefficiency and to invest more on innovative activities. Third, we also find that plant productivity growth from reducing tariff barriers is particularly conspicuous within a year after tariff changes, which implies that plants are quickly adjusting to heightened import 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our results show that the trade effect on employment creation proceeds relatively slow.

      • KCI등재

        한국 제조업 사업체의 체화 기술진보율 추정

        이시욱,LEE, Siwook 한국개발연구원 2012 韓國 開發 硏究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광공업통계자료를 이용하여 1985~2003년 기간을 대상으로 개별 공장 수준의 미시자료를 구축한 후 Sakellaris and Wilson(2004)의 분석방식을 차용하여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체화 기술진보율(embodied technological change)을 추정하고, 이를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체화 기술진보율은 분석기간 중 연평균 13.7% 수준으로서 Sakellaris and Wilson(2004)이 추정한 미국의 제조업 추정치인 16.9%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는 외환위기 이후 기간의 체화 기술진보율이 이전 기간에 비해 대폭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기업특성별로는 외환위기 이후의 기간을 중심으로 IT산업이 비IT산업에 비해, 그리고 IT 고이용 산업이 저이용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화 기술진보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근 설비투자의 전반적인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설비투자의 구성 면에서 정보통신부문을 중심으로 질적 향상이 진행되어 왔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ates of embodied technological change and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to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for manufacturing, using the Korean plant-level manufacturing data for the period of 1985-2003. We adopt a production-based estimation method proposed by Sakellaris and Wilson (2004) in order to examine the marginal productivity increase of each vintage of equipment over time. We find that the rate of embodied technological progress of Korea's manufacturing sector maintains the annual average level of 13.7 percent from 1985 to 2003, slightly lower than 16.9 percent of the U.S., estimated by Sakellaris & Wilson (2004). While the rate recorded a remarkable increase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IT-producing and IT-using industries achieved higher rates of embodied technological progress than non-IT counterparts.

      • KCI등재

        이.치수형 하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이시욱,이정윤,박성환,최재준,우성권,Lee, Si-Wook,Lee, Jeong-Yoon,Park, Sung-Hwan,Choi, Jae-Joon,Woo, Sung-Kw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5

        하천시설공사의 경우, 비정형적인 하천공사의 특성과 개략 공사비 산정을 위한 기준단가의 부재와 기본 설계단계 부재에 따른 가용정보의 부족 및 변동의 가능성 등의 특정으로 개략공사비 산정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기존의 하천공사의 개략공사비 산정은 하천제방의 대표 단면의 물량 산출을 통한 대표 단면 공사비 산정 후, 이에 단순히 연장(m)을곱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개략공사비 산정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 하천공사의 개략공사비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있어, 기본설계가 없는 하천시설물공사의 특성을 고려해 기획단계에서의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예산이 투입되는 공공공사에서 국가예산의 낭비를 방지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공사비 산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The case of rivers facilities works, expense the standard unit cost for the quality and a rough public corporation expense estimating of the rivers public corporation which is fixed form with the information available which it follows basic design phase absently and possibility of fluctuation. It exists many difficulties in rough public corporation expense estimating. The rivers public corporation expense rough estimating method of existing produces does not exist the amount of material of representative section of the rivers dike and the rough public corporation expense estimating method which is systematic with the method which multiples the seniority (M). The research sees the rough public corporation expense predictive model from the planning stage which is not basic design to consider the quality of the rivers facility public corporation. From this study, it can prevent the waste of national budget from the general public corporation and is more accurate and public corporation expense production possibly.

      • KCI등재

        Double Gantzer’s Muscles by Four Muscle Bellies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 A Case Report

        Si-Wook Lee(이시욱),Jae-Ho Lee(이재호),Hyunsu Lee(이현수)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0 No.2

        Gantzer근육은 아래팔에 있는 부수적인 근육으로, 긴엄지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의 덧갈래 형태로 발견된다. 본 증례에서는 근육덩이 네 개로 이루어진 Gantzer근육 쌍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의 Gantzer근육은 얕은손가락굽힘근의 등쪽에서부터 네 개의 근육덩이가 시작되어 두 개의 근육 쌍으로 합쳐지며 각각 긴엄지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으로 닿는 양상이었다. 긴엄지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의 덧갈래근육은 각각 정중신경과 자동맥을 교차했다. 이러한 형태의 아래팔근육변이는 드문 경우로서, 관련된 임상적, 발생학적 의의를 요약하였다. The Gantzer’s muscle (GM) is an additional muscle in the forearm as the accessory head of the flexor pollicis longus (FPL) and accessory head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FDP). We reported a rare case of double GM formed by four muscle bellies. From the dorsal part of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small four bellies formed two muscles merging to FDP and FPL, as GMs. These accessory heads of FDP and FPL crossed the ulnar artery and the median nerve, respectively. These additional muscles in the forearm flexor compartment are rare and its clinical and embryological significance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서비스업 고용과 생산성 간 인과성 분석

        이시욱 ( Si Wook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社會科學硏究 Vol.38 No.2

        본 논문은 벡터 자기회귀분석식(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에 기반한 패널 그랜저 인과검정(Panel Granger Causality Test)을 통해 서비스업 생산성과 고용 간의 중장기적인 인과성을 검증하고 있다. 1977∼2007년 기간 중 OECD 국가 패널과 1950∼2005년 기간 중의 개도국 패널을 각각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적어도 중기적으로 서비스업 고용은 동 부문의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반면, 서비스 생산성은 고용에 있어 비교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 향상은 실질임금 증가, 서비스 시장 수요의 확대 및 이를 통한 고용 창출 능력의 제고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causal link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employment in service sector. Our panel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for OECD country panel and for developing country panel provide support for a causal relationship from labor productivity to employment in service sector. On the contrary, we find little evidence on the causal effect from employment to productivity. Our results generally suggest that productivity enhancement is a key variable for service market expansion and thus employment creation in the medium-term.

      • KCI등재

        국·공유지 실태조사를 위한 UAV 사진측량의 활용성 검토

        이시욱 ( Si-wook Lee ),이진덕 ( Jin-duk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UAV에 의해 촬영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공유지의 점유위치 분석 등 효율적인 토지실태조사에의 적용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대지와 농경지 두 가지 유형의 토지이용별로 필지 경계의 좌표 및 면적을 VRS-GNSS측량과 정사영상에 의해 각각 관측하였다. VRS-GNSS 측량성과를 기준데이터로 하여 UAV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경계점 좌표 및 면적을 비교분석한 결과, 경계점들에 대한 좌표의 RMS오차는 대지에서 X, Y 모두 ±0.074m, 농경지에서 X, Y 각각 ±0.150m, ±0.127m를 보였다. 경계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지에 비해 농경지에서 경계점의 위치오차가 1.7~2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토지면적의 RMS오차는 대지에서 ±1.898㎡, 농경지에서 ±8.964㎡로서 대지에 비해 농경지에서 면적오차가 4.7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정사영상으로부터 측정한 22개 필지의 면적오차가 모두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확도 측면에서 UAV 사진측량에 의한 정사영상을 국·공유지 토지이용 실태조사에 적용하는데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to the effective survey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lands such as analysis of occupied location of government owned lands based on orthoimages created from aerial photographs taken by UAV. The boundary point coordinates and areas of the parcels were observed respectively by VRS-GNSS surveying and orthoimages for each land use of two categories of land, i.e. building site and farmland. As a result of comparing boundary point coordinates and areas extracted from UAV orthoimages with VRS-GNSS surveying data which were used as reference data, the RMS error of the coordinates for the boundary points was ±0.074m for both X and Y in the building site, and ±0.150m and ±0.127m for the X and Y respectively in the farmland. The positional error of the boundary point was 1.7~ 2 times higher in the farmland than in the building site where the boundary points were relatively clear. The RMS error of ±8.964㎡ of areas in the farmland was 4.7 times higher than that of ±1.898㎡ of areas in the building site. The area errors of all 22 parcels measured from the orthoimage were found to be within the allowed error range, indicating that it is feasible to apply the orthoimage generated by UAV to survey of government owned lands in terms of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