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 유창성에 관한 문헌연구

        이수향(Lee Suhyang) 한국음성학회 2012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4 No.4

        Reading fluenc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reading fluency are availabl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rticles about reading fluency during last 10 years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Forty research papers from the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were selected from 2002 to 2012. Thes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bout 64% of the articles focused o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yslexia. About 67%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descriptiv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on reading fluency.

      • KCI등재

        초등 국어교과서 지시문과 의문사 분석

        이수향(Suhya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지시문과 지시문에 포함된 의문사를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2, 4, 6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Microsoft Office Excel에 모든 지시문을 입력한 후 의문사가 포함된 지시문을 구분하였다. 지시문 분석에는 (주)낱말의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의문사와 질문 유형 분석을 위해서는 선행 연구의 기준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2, 4, 6학년 국어교과서의 지시문에는 명사, 동사가 많이 포함되었고, 평균 6.9 어절의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지시문에 포함된 의문사 유형으로는 11가지 유형의 의문사가 분석되었다. 모든 학년에서 ‘무엇, 어떤, 어떻게’ 의문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질문 유형은 모든 학년에서 사실적 질문보다 추론적 질문이 많았다. 본 연구는 문어가 중심이 되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 중재 특히 의문사 중재 목표와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ves and Wh-words in the directives from elementary 2nd, 4th and 6th grade Korean textbooks. After entering all directives into Microsoft Office Excel, directives with Wh-words were separated. The analysis program, Natma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irectives and Wh-words. The criteria from previous studies were also applied for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a lot of nouns and verbs in directives. They were consisted of sentences with an average of 6.9 Eojeol. There were a total of 11 types of Wh-words and ‘Mueot(what), Eotteon(which), eotteohge(how)’ appeared most frequently in all grades. For question types, both grades had more inferential questions than literal information questions. This results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language interventions with school aged children who have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후보

        음운장애 평가를 위한 한국어 말소리 검사 비교

        김수진(Kim Soo-Jin),이수향(Lee Suh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는 현재까지 표준화된 한국어 말소리 검사도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검사도구에 포함된 말소리 목록, 검사 맥락뿐만 아니라 오류패턴을 분석하는 음운변동 분석방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 말소리 검사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였고, 음운변동 분석에서는 두 가지 분석 체계를 확인하고, 두 체계 사용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말 음운변동 오류 분석을 위한 새로운 체계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이후 임상현장과 연구현장에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applications of Korean articulation tests and analysis methods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Not only were individual sound productions reviewed for age-appropriateness, but error patterns were also reviewed to determine if a child is using patterns/processes at a level of appropriate to the child’s age. In the processing, the clinician reviewed and categorized errors according to commonalities among the errors, otherwise identified as phonological patterns/processes. Usually determination of a child’s phonological patterns in clinical fields may be based on a specific process assessment instrument designed to identify patterns a single-word articulation test. Several phonological processes of Korean has been identifi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We compared with two different systems of Korean phonological patterns/processes, and discussed the contents to be considered by using those two systems. In the end, new analysis system for Korean phonological patterns/processes was proposed. It becomes necessary to be supported by experimental data.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박성아(Sung A Park),이수향(Suhy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어휘, 구문, 표현문형 산출능력이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언어능력이 읽기유창성과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충청 지역 초등학교 1 ~ 6학년 아동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문단글 읽기유창성 검사, 수용어휘검사와 구문이해 검사를 사용하여 읽기유창성, 어휘, 구문 능력을 측정하였다. 표현문형 산출능력은 문어과제와 구어과제로 나누어 빈칸채우기 검사와 담화완성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년(저, 중, 고)에 따른 수행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값을 산출하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기분석을 통해 읽기유창성에 대한 언어능력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결과 읽기유창성과 관련 언어능력들의 학년별(저, 중, 고)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읽기유창성, 어휘, 구문, 표현문형 문어과제 점수, 표현문형 구어과제 중 표현문형 유형수가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 사이의 상관 분석에서 표현문형 문어과제 점수, 어휘, 표현문형 구어과제 중 표현문형 유형수 순으로 읽기유창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다회기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1.9%에 해당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상관이 있는 언어능력들을 확인하였고, 특히 정형화된 표현의 처리 속도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표현문형 산출능력이 읽기유창성과 상관이 있다는 점을 밝혀 이후 읽기유창성 중재와 관련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nections between language skills (vocabulary, syntactic ability, expressive sentence pattern production) and reading fluen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involved 51 children from grades 1 to 6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Various tools, such as the text reading fluency test, receptive vocabulary test, and syntatic comprehension test, were utilized. Additionally, tasks evaluating written and spoken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were carried out through a fill-in-the-blank test and a discourse completion task.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performance across different grade levels (low, middle, and high), examin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reading fluency. Results The study revealed variations in reading fluency and language skills (vocabulary, syntactic ability, scores on written tasks assessing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and the number of expressive sentence types in oral tasks) among different grades.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cores on written tasks assessing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number of expressive sentence types in spoken tasks were correlated with reading fluenc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ory power of linguistic variables on reading fluency was 51.9%.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linguistic variables that are correlated with reading fluency in school-age children. Specifically, we found that the ability to produce expressive sentences was correlated with reading fl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new implications for future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 KCI등재

        3세 말늦은 아동의 7세 언어발달 및 학교수행력 종단연구

        홍경훈(Gyung-Hun Hong),이수향(Suhyang Lee),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3세의 ‘말늦은 아동(LT)’의 출현율과 ‘말늦은 아동’ 집단과 ‘일반 발달 아동(TD)’ 집단이 7세에 언어발달과 학교수행력에서 나타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한국아동패널 연구에 참여한 1,342명이었다. 이들을 3세 때 REVT의 표현어휘 점수를 기준으로 10%ile 미만을 LT 그리고 그 이상을 TD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 두 집단의 REVT 표현어휘와 학교 수행력이 7세에 종단적으로 측정되었다.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의 출현율은 16.6%이었으며, LT의 31.4% 그리고 TD 아동의 10.1%가 7세 때의 표현어휘 수준이 또래 집단의 10%ile 미만으로 나타났다. 7세의 표현어휘 및 언어 관련 학업수행력(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점수는 LT가 TD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 초기 표현어휘 발달의 지체가 언어발달과 학교수행력에 부정적인 예후를 야기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T의 후일 언어발달 및 학교수행력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언어중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late-talkers at the age of 3 and followed up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of these children at the age of 7 in comparison with those without a history of speech dela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42 children who were part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late talkers (L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groups based on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conducted at the age of three. REVT and school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were then re-measured and compared at age 7. MANC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T and TD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valence of late-talkers at the age of 3 was 16.6%; 31.4% of LT and 10.1% of TD children scored below the 10%tile in expressive vocabulary at the age of 7;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performance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 scores at the age of 7 in L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a delay in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can be a cause for poor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Given this, language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early on for late-talkers to help overcome potential deficit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schoo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