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특성별 등록금 수준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이수정(Soo Jeung Lee),김승미(Seung Mi Kim),박소희(So Hee Park),조윤서(Yoon Seo C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3

        대학순위평가 등으로 인해 고등교육의 시장적 경쟁체제가 보편화되면서, 각 대학들은 대학의 순위와 국제적 명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재원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재원의 투자는 전체적인 대학의 지출 증가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학생부담인 대학 등록금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등록금 수준 및 세출구조는 대학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바, 이 연구에서는 대학특성에 따라 대학 등록금 수준 차이 및 세출구조의 차이를 분석하고 대학 등록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대학알리미에서 제공하는 4년제 사립대학 118개교의 자료를 수집하여 2009년과 2010년 2개년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교미션, 학교소재지, 학문의 범위 및 최종학위 수준에 따라 등록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특성에 따른 세출구조의 차이를 살펴보면, 연구중심대학의 경우 전임교원 1인당 급여, 직원 1인당 인건비, 전임교원 1인당 교내연구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일반대학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특성 및 세출구조가 등록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과 종합대학의 경우 등록금 수준이 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인지도가 높을수록,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가 적을수록, 전입 및 기부수입이 적을수록 등록금 수준이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세출구조에 있어서는 전임교원 1인당 급여, 학생1인당 학생경비가 등록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competitive market system, including university ranking, has been common, universities have invested lots of finances to get a high university ranking and international reputation. Because of this, the overall expenditure of universities have increased and tuition rising has been led. Since the tuition level and expenditure structure would be varied by the diverse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difference of university tuition level and structure of annual expenditure according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tuition empirically. To do this, data of 118 four-year private university from Academyinfo were collected and panel data of 2009,2010 through this data were built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uition level by the university mission, location of university, range of discipline and final degree level. Second, on the investigation of structure difference of annual expenditure by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research university, per capita income of full-time faculty, income per person of staff, per capita intramural research fund of full-time facul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that of general universit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annul expenditure on tuition, in the case of universities located in capital area and comprehensive universities, the tuition level was higher. Moreover, as the school awareness was higher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full-time faculty was lower and the amount of transferred and donated revenue was lower, the tuition level appeared higher. Finally, in the structure of annual expenditure, per capita income of full-time faculty, per capita student expenses of students g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uition level.

      • KCI등재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이 인지도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수정(Lee Soo Jeung),원용아(Won Yong Ah),이영철(Lee Young Chul),박인철(Park In Ch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대학의 기능을 본원적 기능과 파생적 기능으로 구분하고 대학의 파생적 기능으로서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을 살펴보았다.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 중에 자원봉사와 산학협력의 기능과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이 대학의 인지도 및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원봉사 활동에 따른 인지도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학경쟁률, 신입생 충원률, 재학생 충원률에 있어 한국대학사회봉사 협의회 회원으로 가입한 대학이 미가입한 대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원봉사 활동이 졸업생 취업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대학의 산학협력 활동이 인지도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면, 기업 인턴십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는 대학이 그렇지 않은 대학에 비해 입학경쟁률, 신입생 충원률, 재학생 충원률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의 졸업생 취업률을 제고하고 대학생의 졸업 후 진로를 결 정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개설되는 기업 인턴십 프로그램이 정작 졸업생 취업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divided the functions of university into two - core and derivative - and focused on the social service of university which fits into the latter. And we analyzed the functions and current status of volunteer work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which belong to the social service of the university and did regression analysis to know how the social service of university affected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The result was that the universities which was affiliated with 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 showed higher entrance competition, freshmen enrollment, and retention rate than the those which was not. However, volunteer work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o graduates employment rate. Next, we analyzed how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ffected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business internship programs showed higher entrance competition, freshmen enrollment, and retention rate than the those which did not. But business internship programs which the universities provided to help to increase their graduates employment rate and to choose a career after graduation did not have an impact on employment rate.

      • KCI등재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의 교육개혁 비교연구

        이수정(Lee, Soo-Jeung),김승정(Kim, Seung-Jung),임희진(Lim, Hee-Jin),최홍삼(Choi, Hong-Sam),허진영(Heo, Jin-Yeong),신정철(Shin, Jung-Cheol)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을 중심으로, 최근 각 국가에서 제기되고 있는 교육 국제화 정책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이슈가 등장하게 된 사회문화적·교육적 맥락을 바탕으로 세 국가가 공유하고 있는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은 유교 문화를 바탕으로 강력한 중앙 집권적 체제 하에 교육정책 및 개혁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세계화 국제화에 적극적인 대응 전략으로, 교육개방 강화 및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세계교육의 허브가 되기 위한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의 연계를 통하여 세계적인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다문화의 특성 안에서 조화와 공존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허브가 되기 위한 정책 및 전략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국가의 사회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싱가포르와 홍콩은 적극적인 외국 인력 유입 정책에 의한 자국민과의 경합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타이완과 홍콩은 중국 본토와의 협력이 중요한 이슈이다. 타이완은 실용 영어 교육에 초점을 두고 중앙집권적 체제에서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와 홍콩은 이미 영어 능력이 향상된 이후 모국어 교육의 질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추구하는 방향은 유사하지만 목표에 접근하는 방식 및 관점은 각 국가의 제도적 맥락에 따라 상이하다. 아시아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환경적 특성을 토대로 우리 문화에 부합되는 교육개혁을 추진함에 있어 이들 중화권 아시아 국가의 교육개혁을 살펴보는 것은 그 의의가 크다.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Taiwan, Singapore and Hong Kong’s recent reforms based on perspective of internationalization on education and investig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se three countries are sharing based on their socio-cultural contex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three countri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widespread of internationalization by opening their education market and trying to become a region’s educational hub by reinforcing higher education sector. Also, there has been stronger link established between China which resulted in stronger international exposure and enhanced capacity for multinational society through the strategy of coexistence and bala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way these specific policies were implemented differed based from each countries’ own contextual background. For instance, Singapore and Hong Kong were facing issues of growing conflicts between the immigrants and local population due to their active introduction of foreign brains, and as for Taiwan, developing solid cooperation with mainland China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ther notable findings include Taiwan’s administrative system shifting from centralization toward strengthening autonomy of local schools and the focus of English education has shifted from textbook oriented to daily life practical usage. On the other hand, Singapore and Hong Kong, where English has been widely used for long time already, put more emphasis on promoting on increase in proficiency of mother tongue language. When introducing or developing new education reform,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cultural and socio-economic context of Asia, therefore, by examining various reform policies in neighbouring Asian countries will offer multi-dimensional insights for im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SCIEKCI등재

        일반계와 통일계 현미의 겨층구조와 수분 흡수 속도

        이수정(Soo Jeung Lee),김성곤(Sung Kon Kim)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4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7 No.2

        Bran structure and water uptake rate for brown rices of thirteen japonica and twelve Tongil cultivars were investigated. The japonica type was shorter in length and had lower value in the ratio of length to width than Tongil on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idth and weight between the two types. The number of aleurone layer and the thickness of bran layer were higher in dorsal side than in ventral side in all rice cultivars. The structure in ventral side was similar but the number of aleurone layer in dosal side was higher in japonica samp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uptake rates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bran structure.

      • KCI우수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배상훈(Sang Hoon Bae),변수연(Su Youn Byoun),이수정(Soo Jeung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관점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중심 역량 기반 교육 관점에서 대학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13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328명과 동 대학에 재직하는 교수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해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 협업 능력, 유연성과 적응력이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각 핵심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대학 소재지나 전공계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집단은 의사소통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했지만 교수집단은 창의적 사고력 함양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학생들은 졸업 후 바로 사용할 역량에 관심을 두지만, 교수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역량을 중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생 중심 역량 기반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대학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in regards to th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developed at the university leve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1,328 students and 138 professors from 13 four-year universities.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es were employed.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prioritize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interpersonal collaboration skills,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to develop as a university student.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competencies diff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they attend and by student major. Third, students considered communication skill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o be developed, while professors perceived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hinking skills the mos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rgued that students value competencies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while professors place an emphasis on competencies that may be of great help in the long run. Finally, the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erms of competenc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