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경과에 대한 연구

        이수림 ( Su Lim Lee ),김현경 ( Hyun Gyung Kim ),김병수 ( Byung Soo Kim ),송호철 ( Ho Cheol Song ),강봉구 ( Bong Koo Kang ),권혁민 ( Hyuk Min Kwon ),정의성 ( Eui Sung Chung ),윤혜은 ( Hye Eun Yoon ),김영수 ( Young Soo Kim ),김성수 대한신장학회 2009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8 No.5

        Purpose: Although acute renal failure (ARF) commonly develops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SAP), the impact of ARF on disease severity is rarely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findings,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SAP patients with and without ARF.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dical records of 102 patients with SAP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8 in 3 hospital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ourse of ARF in SAP patients. Then, we compared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ARF and normal renal function (NRF). Results: Of the total 102 SAP patients, ARF was observed in 39 patients (38.2%). The peak serum creatinine level in ARF patients was 4.5±2.3 mg/dL. Eight of the 39 ARF patients (20.5%) received hemodialysis and ten patients (25.6%) died. When compared to NRF patiens, ARF patients (n=39) had higher incidence of dyspnea (17.9% vs 3.2%, p=0.011), loss of consciousness (17.9% vs 1.6%, p=0.003), and APACHE II scores more than 8 (92.3% vs 0%, p<0.001). The ARF group had also higher incidences of sepsis (35.9% vs 7.9%, p<0.001), multiorgan failure (15.4% vs 0%, p=0.001), respiratory failure (28.2% vs 4.7%, p=0.001) and mortality (25.6% vs 3.2%, p=0.001).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rombocytopenia, hemoconcentration, and high LDH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ARF in SAP patient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RF was high (38.2%) and ARF patients showed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compared to NRF patients. We suggest that early management of ARF should be performed for reducing the mortality in SAP patients.

      • KCI등재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이수림(Suli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participants in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Methods To do this, a 12-week 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11 graduate students, and data from participant reflections recording data and reports were collected for each session, and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open coding, axis coding, process analysis and selective coding was conduct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154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a that emerged were ‘self-awareness and hope’ and ‘will for growth,’ while causal conditions included ‘emotional difficulties,’ ‘cognitive difficulties,’ ‘behavioral difficulties,’ and ‘self-identity difficulties.’ Contextual conditions encompassed ‘hesitancy about group participation,’ ‘confronting one's own inadequacie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skills.’ Mediating conditions included ‘group cohesion’ and ‘positive interactions within the group.’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volved ‘opening the heart’ and ‘trying,’ and the outcomes included ‘e-motional change,’ ‘cognitive change,’ ‘behavioral change,’ ‘self-identity chan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Process analysis revealed the stages of 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as ‘facing pain and in-adequacy,’ ‘willingness for change,’ ‘self-disclosure and mutual encouragement,’ ‘effort,’ and ‘growth and change.’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ed the group counseling experience and positive changes of the 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목적 본 연구는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상담대학원생 대상 12회기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11명 참여자들의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녹음 자료와 참여보고서를 수집하여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과정 분석, 선택적 코딩이 진행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총 154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모형 분석 결과, 인과적조건으로 ‘정서적 어려움’, ‘인지적 어려움’, ‘행동적 어려움’, ‘자기인식 어려움’이, 맥락적조건으로 ‘집단참여에 대한 주저함’, ‘부족한 나를 마주함’, ‘기술 적용의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으로 ‘성장 인식과 소망’, ‘성장 의지’가, 중재적 조건으로 ‘집단응집력’, ‘집단 내 긍정적 상호작용’이,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마음열기’와 ‘시도하기’가, 결과로는 ‘정서적 변화’, ‘인지적 변화’, ‘행동 변화’, ‘자기인식 변화’, ‘대인관계 변화’가 도출되었다. 과정 분석 결과,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의 단계로는 ‘고통과 부족함을 마주한 단계’, ‘변화로의 의지 단계’, ‘자기개방과 상호격려 단계’, ‘노력의 단계’, ‘성장과 변화단계’가 나타났다. 선택적 코딩에 의한 핵심범주는 ‘낯선 장면에서 부족한 나를 마주하고 함께 변화를 다짐하고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으로 드러났다. 결론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 참여자들의 집단상담 경험과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 배추 재배지에서 혼합미생물 처리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배출특성 및 저감 효과

        이수림(Su-Lim Lee),이재훈(Jae-Hoon Lee),노준석(Jun-Suk Rho),박종환(Jong-Hwan Park),서동철(Dong-Cheol Se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관행처리(NPK)를 한 배추 재배지에 질산화균인 Brevibacillus sp.와 암모니아 산화균인 Alcaligenes Faecalis 등 총 109 종으로 구성되어있는 미생물을 처리하여 배추 재배지 토양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의 배출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MM의 최적처리량은 500 L ha<SUP>-1</SUP>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MM처리구를 500 L ha<SUP>-1</SUP>로 고정하고, 미생물 생균수를 반배량(1/2MM), 기준량(1MM), 두배량(2MM)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질소비료인 urea는 기비 1회 추비 3회로 나누어서 시비하였으며, urea를 처리할 때마다 MM도 함께 처리하였다. 배추 재배지에서 기비 처리후 MM을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서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은 8일차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추비 처리 후에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기비 처리 후 MM을 처리한 토양에서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은 MM을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해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또한, 처리 후 66일 동안 누적된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은 관행처리구(35.2 kg ha<SUP>-1</SUP>)에 비해 1/2MM(30.3 kg ha<SUP>-1</SUP>) > 1MM(28.5 kg ha<SUP>-1</SUP>) > 2MM(25.7 kg ha<SUP>-1</SUP>)순으로 감소하였고, MM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가스 배출 저감 효율이 1/2MM(14%) < 1MM(19%) < 2MM(27%)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처리된 MM이 urea로부터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유리와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BM(Business Model)에 관한 연구

        이수림 ( Surim Jeissca Lee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유리는 건축, 인테리어, 그리고 생활소품으로 흔하게 쓰이는 소재이다. 유리는 과거에 가공이 어렵고 빛을 투과시키는 소재적 특성 때문에 종교건물에 상징적인 의미로 쓰였다. 산업시대에 들어가면서 여러 가공법을 거치게 되면서 유리의 품질이 점차 좋아지게 되었고, 그 결과 유리의 소요는 늘어갔다. 외부로부터 빛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차단시키는 특성으로 인해 건축에 기능적, 장식적인 요소로 많이 쓰였다. 유리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유리가 건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창문에서 건물의 마감재로 범위가 넓어졌다. 흔하게 사용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유리를 더 특별하게 써 볼 수는 없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 질문을 토대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흔한 재료를 흔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 유리에 새로운 가능을 추가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새로운 경험 가치를 창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유리 소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들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기술동향을 조사하여 앞으로 나아갈 디자인 방향과 BM의 방향을 예측해보자 한다. 디스플레이의 역사, 현재의 기술, 기술동향을 특허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발전 가능성과 나아갈 방향을 새로운 BM을 설계하고자 한다. 유리에 관해서는 유리의 종류와 건축유리, 그리고 유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에 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 두 가지 분야의 선행조사를 바탕으로, SWOT 분석틀을 이용해서 투명디스플레이 기술과 유리가 만났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제시와, 구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BM제시를 하고자 한다. (결과) 유리는 빛이 투과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이 가능하다. 유리로 구현된 공간은 주변을 투영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색다른 공간감과 장엄함 또한 느낄 수 있다. 브랜드의 이미지를 반영한 건축 외벽과 내부 구조물 등, 유리 공간자체로 브랜드를 대신하고 이를 통해 특정 브랜드가 인식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 공간이 사람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기대 수 있다. (결론)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충분한 요소이고 넒은 면적에 쓰이게 될 경우 사람들의 시각과 관심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광고 효과와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경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고정돼 있는 유리건물과 유리면에 새로운 형태와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현, 투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공간을 건축물로 한정 짓지 않고, 팝업스토어나 움직이는 스토어 즉, 트레일러와 같은 형태로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에 적용을 하게 되면, 이로 인한 광고효과와 파급력 또한 클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방식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공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분야라고 기대된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방식의 디스플레이 방식과 기존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더 나은 방향의 디자인 방향과 적용 방식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Glass is a commonly used material in architecture, decoration, and life props. Glass used to have a symbolic meaning in the past due to its lack of processing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that transmit light. Entering to the industrial age, glass production increased, and glass began to be manufactured in factories, improving its quality. As glass transmits and blocks light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used as both functional and decorative elements in architecture. As the quality of glass got better, the portion of windows on walls became wider, and called a “glass curtain wall.” The question is whether glass is being used in a special way, and this question started this research. Commonly found materials but use as different ways, commonly used glass, add new function and enhance of utilization for create new experience values. (Method) In this study, architectural projects that have used glass in unique ways and the technical trend of transparent displays were researched to propose a new design direction and BM. History of displays, current technologies,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patents were researched, an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the trend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esign and BM proposals were made. A case analysis of glass, architectural glass, and structures that feature glass were conducted. Based on these fields, the SWOT analysis framework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ass in transparent displays, and was used to propose effective applications of transparent displays and specific BM. (Result) Glas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images according to the angle of light transmitted. Space designed by glass can also project images that reflect the surrounding areas, thereby creating a sense of awe and grandeur. The exterior walls and internal structures, and the glass space itself, can be the image of a brand. Also, the effects of glass space can tempt people’s visual curiosity and hold their gaze and interest. (Conclusion) Transparent displays ensure people's eyes and attention are secure. It can also create experience values that lead to the promotion of advertising and behavior. Given new forms and styles of transparent displays of spaces, such as a pop-up store or a moving store or shop, the effec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forces are also expected to be enormous. These types of transparent displays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ny areas, regardless of space and location.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to complement the new ways of transparent display and to suggest better design direction and applications.

      • KCI등재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지원요구

        이수림 ( Lee Surim ),허유성 ( Heo Yusung ),김정연 ( Kim Jeongyo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 운영실태, 그리고 교사들인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35개 병원학교 중 23 병원학교 담당교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운영 취지의 이해와 운영 지침의 반영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운영목표로 치료, 학교복귀, 개인관리 및 적응을 중요하게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 내용 편성 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여건을 상대적으로 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한다는 점을 창의적 체험활동의 가장 중요한 교육성과로 인식하였다. 다섯째, 창의적 체험활동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과 자료 개발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주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implementation state, and their support needs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hospital schools. For this, 23 teachers from 23 out of the 35 hospit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wareness level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hospital school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the reflection of operating guidelines was relatively low.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bjectives of medical treatment, return to schools personal management, and adaptation were important for the goal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hospital schools. Third, students' needs and parents' needs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 response to considering the school and community conditions was low. Fourth, in terms of performanc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rate of respondents that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students was high. Fifth, it was found that the most urgent needs to develop programs and materials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hat can be used when operating creative experiences. In discussion,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외상 경험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수림(Lee, Su-Li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변인들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외상후성장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변량공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외상 집단이 비대인외상 집단에 비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점수가 높고, 외상후성장 점수가 낮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이 여성인 것, 외상 경험 영향의 지속, 대인외상 유형, 부적응적 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응적 조절전략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반추와 파국화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이와 비대인외상 유형,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긍정적 재평가가 외상후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umatic ev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by the data from 199 adults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related traumatic ev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in negative coping and PTSD level, and lower in post-traumatic growth. Second, women, interpersonal traumatic event type, continuance of stress, and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SD.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PTSD. Especially, rumination and catastrophe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SD. Third, ag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type,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reappraisal wa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In the end, we described of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상담 및 심리치료 성과의 효과적 핵심 요인

        이수림(Su Lim Lee),이문희(Mun Hee L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7

        정신화는 최근 심리치료 성과에 효과적인 핵심 요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개념으로서 그동안 치료가 힘들었던 성격장애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검증되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정신화는 폭력, 비행 등 청소년 문제 상담 프로그램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를 소개하고 관련 문헌과 연구들을 개관하여 향후 정신화와 관련된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를 대인 관계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행동 기저에 있는 정신 상태(신념, 동기, 정서, 바람, 욕구)를 상상하여 사회적 세계를 이해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정신화에 대한 개념 및 유사 개념들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신화의 발달 및 손상 과정,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측정의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정신화기반치료의 치료 모형, 과정 및 효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끝으로 정신화에 대한 국내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몇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Mentalizing has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achieving a effective psychotherapy outcome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entalizing is also applied in counseling programs for youths with violence problems.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entalizing and its related research and suggest future areas of study with regard to mentalizing. Mentalizing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ntal states that underlie overt behavior in both oneself and others(e.g., the needs, desires, feelings, beliefs, goals, purposes, and reasons).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mentalizing and it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related concepts. Also,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mentalizing as well as its defects, relation to mental health, measurement, and mentalization-based-therap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