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이수동,Lee, Soo-Dong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6

        Since 1990, urban areas have been expanded rapidl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and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es and residential developments. Due to these development projects, the quality and functions of ecosystems have been continuously degraded, regardless of public agencies' efforts introducing development index, guideline, and amendment of law for sustaining the quality of ecosystems. Substantial guideline and content cannot expect the sustainable maintenance of nation's natural resources. Recent improve this situation, ecological planning was introduced, but research data of environments and objective systems were not enough showing the limi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duce the urban sprawl caused by residential development plans for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developments, to establish applicable ecological planning, and to suggest the land use plans that reduce adverse effects of developments to nature ecosystem.

      • 세계 LPG 수급전망 및 국내 수급안정화 방안

        이수동,Lee, Su-Dong 대한석유협회 1991 석유와 에너지 Vol.1991 No.7

        이 자료는 지난 7월 2일 올림픽유스호스텔에서 열린 가스연맹 주최의 가스산업 워크샾에서 발표된 논문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편집자 주>

      • KCI등재

        소규모 공공시설 개발 사업지의 생태적 복원 연구 - 고양시 일산정수장 조성예정지를 사례로 -

        이수동,강현경,Lee, soo-Dong,Kang, Hyun-Kyung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6

        This research is to apply suitable natural eco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ways to build substitute habitats as a compensation plan for damaged soundly natural ecosystems in small-scale projects such as resource recovery facility, filtration, etc. The environmental ecology evaluation i.e. generally based on their actual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wildlife, water system survey were measured the primary plans for reflect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 level of sit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serve the land in fallow type of wetland, good conservative condition of deciduous forest, wetlanded watercourse for amphibia and reptiles crossing. However, the plan of filtration plant was destroyed wetland(sound ecosystem), natural forest, asian toad spawning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t schemed to build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plan to healthy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as compensation plan. The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are not only created a various water levels like depth of water is $0{\sim}30cm,\;30{\sim}60cm$, more than 1.5m but also it leads to asian toad spawning and wildlife inhabitant. Moreover, the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be applied to use the Quercus acutissima forest resources(114 upper trees, 71 canopy trees, 401 shrubs) and surface soil$(5,072m^3)$ in ecology creation sets.

      • KCI등재

        경기도 동부권 광역자원 회수시설 조경설계

        이수동,장종수,강현경,Lee Soo-Dong,Jang Jong-Su,Kang Hyun-Kyung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2

        As the local self-government are stabilized and the environmental value is becoming more important among local residents, the occurrence of the anti-movements against waste treatment facilities is getting more frequent. Opposing to build the reuse facilities of wastes takes place because of concerning of health and hygiene, as well as matters of unclear policy making process. However, these facilities must be built in somewhere for the convenience and profit of the public. The NIMBY phenomenon against reuse facilities of wastes could be a burden for the city operation system, and it could worsen citizens'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In these lights, reuse and recycling facilities of wastes in East region are necessary facilities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enhancing the growth of cities in the region. However, there have been concerning of deforest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acilities. The landscape design presented here for these facilities considers the features of the environmental ecosystem and tries to establish a plan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of Ichon. This paper presents methods minimizing adverse effects of the facilities on the existing environments and promoting the city image with integrating culture, tourism, landscape and environment of the city. The landscape design makes efforts to harmonize natural environments in the site, human activities and culture. Well-being park was aimed to lead healthy and energetic outdoor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Ecological park was aimed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s of the forests and restore the valley ecology. Culture park was aimed to capture the city identity by creating a place that contains all the variety of meanings of the City of Ichon.

      • KCI등재

        담수호소 유역 수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 사천시 두량저수지를 사례로 -

        이수동,김상범,Lee, Soo-Dong,Kim, Sang-Bum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1

        The freshwater lakes located at the fringe of urban cities are a habitat for diverse organisms. However, they are facing severe danger of environment deterioration and water pollution caused by reckless development of the area. In this study,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to promote the biodiversity through appointing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data of flora and fauna as well as maintain biodiversity and harmonize utilization of freshwater lakes such as Duryang Reservoir at Sacheon, Gyeongsangnam-do. Base on the data of ecological research and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biotope assessment, wild life habitat assessment and presence of protected species. As a result, the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cluding multi-layer structured natural forests, waterside and wetland that are home to various species and the edge area with high habitat diversity were recognized as highly preservable regions. Management areas were ecologically disturbed region, highly polluted commercial district and damaged waterside caused by fishing. Proactive management must be implemented through vegetation management such as vegetation transition and shrub planting as well as establishing pollutant management system. The deterioration of waterside and forest vegetation of freshwater lake has a direct influence on biodiversity and water quality. Therefore, the conservation area and development area should be tot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development area must be restored and managed strictly. 도시 근교에 입지한 담수호소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나, 무계획적인 이용의 증가로 수질오염과 식생훼손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천시 두량저수지를 대상으로 담수호소의 생물다양성 유지와 이용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동 식물 생태계의 정밀한 조사 분석 자료에 근거한 관리지역 설정 과정을 거쳐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생태계 조사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비오톱 유형 평가, 야생동물 서식처 평가, 보호종 출현 유무를 종합한 결과,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은 층위 구조가 형성된 자연림과 생물서식의 기반을 제공하는 수면 및 습지, 서식처 다양성이 높은 주연부 지역이 보전가치가 있었다. 관리지역은 식생이 교란된 지역, 오염강도가 높은 상업지, 공업지 등과 낚시로 인해 훼손된 수변지역으로, 식생천이 유도, 관목식재 등의 식생관리와 오염물질관리 체계 구축을 통한 적극적인 관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담수호소에 있어 수변식생과 산림식생 훼손은 생물다양성 및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보존지역과 이용지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용지역 이외에는 엄정하게 복원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

        이수동,조봉교,이광규,염정헌,오충현,Lee, Soo-Dong,Cho, Bong-Gyo,Lee, Gyounggyu,Yeum, Jung-Hun,Oh, Chung-Hyeon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으로는 표고, pH, 점토와 실트의 함량, Mg<sup>++</sup>, Ca<sup>++</sup> 등이 식물 군락 분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distributed on the western slope and ridge connecting Mt. Noja to Mt. Gara. This basic research was executed not only to restore and manage forest vegetation, but also to monitor the trend of change in the long term.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mmunitise in 86 survey quadrats, the Pinus thunbergii-Platycarya strobilacea comm. and P. thunbergii-P. densiflora comm. were distributed around the lowlands. The Carpinus tschonoskii-Deciduous broad-leaved comm., Styrax japonicus-Deciduous broad-leaved comm., Acer pictum subsp. Mono-Deciduous broad-leaved comm., Deciduous broad-leaved comm., and Zelkova serrata comm. appeared in the valley and all stone areas. Quercus serrata comm., Q. serrata-S. japonicus comm., S. japonicus-Carpinus cordata comm., Euonymus oxyphyllus comm. were classified as being distributed on steep slopes with relatively high altitude. According to the succession trend of the forest, evergreen conifers will be transition to deciduous broad-leaved trees. However,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forests, such as Carpinus tschonoskii, zelkova serrata, and Acer pictum subsp. Mono, were considered to maintain their current succession stage because not only the stratified structure was developed over about 50 years tree age, but also ecologically stabilized. As environmental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altitude, pH, content of clay and silt, Mg<sup>++</sup>, Ca<sup>++</sup>, etc.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 보길도 격자봉 능선부에 분포하는 회양목군락의 식생구조 특성

        진민화 ( Min-hwa Jin ),이수동 ( Soo-dong Lee ),조봉교 ( Bong-gyo Cho ),오충현 ( Chung-hyeon Oh ),배순형 ( Soon-hyoung Bae ),김한 ( H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우리나라에서 회양목의 천연분포는 소백산, 단양, 삼척 등 북위 40° 부근까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Kim, 1980), 세부적으로는 제주도, 전남 보길도, 경북 주왕산, 충북 단양, 강원도 영월 등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7m까지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Lee and Oh, 1970; Lee, 1993; Lee et al, 2020; Lee, 2003). 충북 단양에 자생하는 회양목의 토양환경을 분석한 결과 pH 7.8~8.4로 높은 석회암지대에서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밝힌 바 있으나(Kim, 2003), 4 내외의 낮은 pH에서도 내성을 가진다고 하였다(Lee et al., 2012).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회양목의 분포는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 지형구조, 교란, 다른 수종과의 경쟁 등 여러 환경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양목의 자생지는 석회암 지대를 제외하면 지역적으로 뿐만 아니라 능선부, 암반지대 등 척박한 일부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포지의 지형 및 토양 환경 뿐만 아니라 다른 종과의 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보호 및 복원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에 속한 보길도는 상록활엽수가 분포할 수 있는 난온대로 섬 전체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다. 본 연구는 큰길재에서 격자봉을 거쳐 망월봉으로 연결되는 능선부를 대상으로 회양목이 출현하는 식물군락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북서향과 남서향의 능선에 따라 2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TWINSPAN과 DCA분석에 의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표징종인 소사나무, 팥배나무, 붉가시나무와 식별종인 육박나무, 새비나무, 괴불나무, 마삭줄 등에 의해 소사나무-낙엽활엽수군락,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회양목군락, 소사나무-상록활엽수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황칠나무군락 6개로 분류되었다. 군락별 특성을 살펴보면, 소사나무-낙엽활엽수군락은 교목층에 소사나무, 팥배나무, 이팝나무가, 아교목에서는 소사나무, 동백나무, 제주광나무가, 관목층에서는 동백나무, 회양목이 우점종으로 경쟁상태이었다. 소사나무군락의 교목층에서는 소사나무의 우점도가 높았고, 하층에서는 동백나무, 회양목, 길마가지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소사나무-회양목군락의 교목층에서는 소사나무가 우점종이었고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회양목이 우점종으로 소사나무, 동백나무 등의 세력이 우세하였다. 소사나무-상록활엽수군락의 교목층은 소사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반면, 하층에서는 광나무, 동백나무, 회양목 등이 우점종이었다. 붉가시나무군락의 교목층은 붉가시나무가, 아교목층은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회양목의 세력은 미미하였다. 황칠나무군락은 교목층에서 황칠나무, 붉가시나무, 소사나무 등이 경쟁상태이었고 하층에서는 회양목, 광나무, 동백나무 등이 경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길도 격자봉 일대에 출현하는 회양목은 능선부와 암반이 분포하는 척박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조사구에서 아교목층 또는 관목층에 출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교목층에 출현하는 소사나무, 붉가시나무 등이 우점하는 현 상태를 유지하겠으나 회양목의 경우 붉가시나무 등 상록활엽수 극상림에서는 세력이 약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토양 pH는 3.78~5.3, 유기물 함량은 3% 미만, 물리적 특성은 사양토로 다소 척박한 환경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암 지대에 분포한다는 것과 차이는 있었으나 산성토양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라는 연구 결과도 있어(Kim, 1980; Lee et al., 2012) 분포에는 영향을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식물종의 분포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능선이 등산로로 활용되고 있어 관리는 필요하였다.

      • KCI등재

        가격할인 빈도와 브랜드 충성도 관계를 매개하는 가치인식의 효과: 고관여도 유형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이수동 ( Su Dong Lee ),박진영 ( Jin Young Park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3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5 No.4

        가격할인은 단기적으로 구매율을 높이는 수단이다. 신규 고객 확보 뿐 아니라 경쟁 브랜드에 대해 가격 민감도를 높임으로써 비교 우위 전략으로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가격할인 전략에 대한 부정적인 연구들이 나오면서 가격할인 전략을 수행하는데 보다 정밀한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가격할인 프로모션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가격할인에 따른 실제 매출과 관련한 경제적 효과와 가격할인에 대한 소비자의 휴리스틱(heuristic)에 의해 지각하는 태도의 변화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가격할인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교환가치는 소비자 개인의 특성 및 구매 목적에 따라서도 평가와 선택이 다를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격할인 프로모션의 빈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소비자의 획득가치인식과 거래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고관여의 유형인 상징적 관여와 기능적 관여를 조절 변수로 하여 획득가치인식과 거래가치인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낮은 가격할인 빈도에서 상징적 관여가 기능적 관여보다 획득가치인식과 거래가치인식이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가격할인 빈도에서 기능적 관여가 상징적 관여보다 획득가치인식과 거래가치인식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획득가치인식과 거래가치인식에 의한 브랜드 충성도는 낮은 가격할인 빈도에서는 상징적 관여가 기능적 관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가격할인 빈도에서는 기능적 관여가 상징적 관여 보다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가격할인에 대한 지각인식의 일반화 된 개념과는 달리 소비자의 고관여의 유형에 따라 상반된 정보처리과정을 거쳐 다르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능적 속성을 강조하는 제품과 상징적 속성을 강조하는 제품 간에서 소비자의 고관여 유형에 따라 가격할인 전략을 달리 하는 브랜드 관리에 이론적 및 실무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ice discount is the means to increase the purchase rate in the short run. It is used as the strategy for competitive advantage that invites new customers and increases price sensitivity against competing brands. Previous studies appeared negative views on the price discount promotion which have influence on firms in long run, and now a more rigorous approach is required for implementing the price discount strategy. A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past on price discount promotion, and most of them focus on the economic impact of the price discount in relation to the actual sales and the change in consumers` attitude of perception based on their heuristic concerning the price discount. However, it is predictable that the evaluation and choice in relation to value of the trade-off perceived by consumers concerning price discount may vary depending on consum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high and low frequency of price discount promotion on the acquisition value and transaction value perceived by customers and analyzed how perceived acquisition value and perceived transaction value influence the brand loyalty by using symbolic involvement and functional involvement which are the types of high involvement. Result of this research appeared that symbolic involvement appeared more intensively than functional involvement concerning brand loyalty influenced by perceived acquisition value and perceived transaction value, and the functional involvement and high price discount frequency It`s the reverse. In additi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ice discount frequency and moderating variables has a significant effect. Such results showed that the price discount frequency and high involvement type influence the perceived acquisition value and transaction value to influence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us for price discount frequency, low or high, firms should make efforts to manage all the two dimensions of high involvement types. In particular, for products have all two types of attitude, symbolic or functional, it is critical to consider two dimensions of involvements for a consumer satisfaction.

      • KCI등재

        호안 녹화용 매트 시공 후 식생변화 모니터링 -성남시 탄천을 중심으로-

        이수동 ( Soo Dong Lee ),강현경 ( Hyun Kyung Kang ),장한솔 ( Han Sol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탄천내 기존 콘크리트 호안블럭을 제거하지 않고 호안녹화용 매트를 적용하여 경관개선 및 생물서식기반을 조성하고자 하는 지역의 복원 효과 확인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식물상은 2006년 18과 38종 3변종 총 41종류, 2007년 19과 56종 3변종 총 59종류, 2008년 29과 59종 8변종 총 64종류로 매년 식물종이 증가하고 있었다. 식물상 분포의 특징은 공법 적용지를 중심으로 식재한 물억새, 수크령 등이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범람시 토사 퇴적으로 자생종 중심의 다양한 종이 출현하고 있어 생태적으로 양호한 상태이었다. 현재는 자생종이 우점하고 있었으나 주기적인 범람에 의한 교란 유발 종과 외래종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져야 양호한 수변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하천천이 초기식생과 교란지 식생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생육양상이었다. 이와 같은 호안 녹화용 식생매트 공법은 콘크리트를 제거하지 않고 상부에 코이어 매트를 포설하여 불량경관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생육의 기반을 제공하여 계속적인 식물종의 증가에 따른 종다양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not only to present the management plan but also to verify the effectiveness for a area of improving the landscape and the area of creating the base of bio-inhabitation in Tancheon stream concrete embankment where were practised the vegetation-mat measures for greening via monitoring i.e. restoration progress.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re were a total of 41 taxa, 18 families, 38 species, 3 varieties in 2006, moreover in the 2007, there were a total of 59 taxa, 19 families, 56 species, 3 varieties and in the period 2008, 64 taxa, 29 families, 59 species, 8 varieties. Therefore, these site has increased the plant spaces year by year.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shows that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expands their influence in the area of applying the construction method. Those area appears a diversity of native species by the stream deposition at the flood. Thus, its condition is very soundly ecological health and eco-friend. At present, native species have been dominant, however, disturbed species and invasive specie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dramatically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 long-range monitoring and management for maintaining an environmentally sound aquatic ecosystem. On this area refer to mix the river vegetation of primary succession and disturbed vegetation. For that reas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vegetation-mat measures for greening in embankment does not need to remove the concrete and can install a coir-mat on the top. It leads to improve the landscape, moreover, it was analysed the such dramatic changes in the vegetation species richness by providing continuous the plant growth basis have a impact on in bio-diversity.

      • KCI등재

        금정산 북문 산지습지의 식생학적 특성 및 관리방안

        이수동(Soo Dong Lee),김미정(Mi Jeong Kim),김지석(Ji Seuk Kim) 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4

        The mountainous wetlands of Korea face a crisis due to deterioration from a natural succession posed by both arid climate and human activity. In response, governmental sources must determine the best path toward protecting mountainous wetlands from these damaging threat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basic data, such as the wetland status in regard to the region’s environmental ecology, coupled with extant disturbanc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mountainous wetland ecosystem. The study defined and accelerated a methodology in which to efficiently conserve and manage these valuable wetlan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topographic survey, 80% of the wetland presents a 5°sloping angle, which may be described as flat. The wetland consisted of accumulated peat, positioned over a granite basis. As a result, the research site will maintain the current status, unless a method is found to cause the water to flow out abruptly. The regional flora is composed of 41 families, 104 genera, and 143 species, especially Molinia japonica, Sium ninsi, and Leucanthemella linearis. These three species are the most valuable of the group.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wetland-dependent grassland (14.22%), such as Molinia japonica, Isachne globosa, Carex spp., and others, as well as species in the arid grassland (12.56%) consisting of Miscanthus sinensis and Eragrostis multicaulis, etc., are representative. However, in mixed vegetation areas, the species Molinia japonica blended with Miscanthus sinensis causes concern for the continuance of arid shrubs, which have proved highly desirable for processing the arid soil. Finally, vegetations valuable for preservation are diminishing steadily due to a lack of water flow, human usage, and soil inflow as deforestation occurs on-site. Symptoms of an on-going arid process were evidenced as arid vegetation such as Miscanthus sinensis, Roden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etc. broadened seriously. For the longevity of our valued wetlands, this study found a paramount need to address and thereby diminish these damaging factors. In retrospect, for the sound maintenance of a sustainable mountainous wetland, it is essential to execute exact management measures, inclusiv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soil and organic matter, connecting the surface and subterranean waters, and prohibiting the widening of the damage inflicted on the area by arid vegetation and human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