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주암댐 유역의 민요(民謠)(I)

        이소라,Lee, So-Ra 국립문화재연구원 198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20 No.-

        보성군에서 수집한 민요들의 의식·노동·유희요(謠) 별(別)로 정리하였다. 의식요(儀式謠)로는 걸메당·상여·독경(讀經)소리가 실렸다. 전래(傳來) 혼인식(式)에 있어서의 가마소리인 걸메당소리는 전국의 몇 곳에서만이 가창자가 남아 있는 희요(稀謠)이다. 상여소리(처음에 운구 들어 울릴때의 긴소리, 길 갈 때의 가난보살과 어가리넘자, 비탈길 오를 때의 나무아미타불, 달구소리)는 전남지방에 널리 전파되어 있는 것과 동계(同系)이다. 노동요(謠)는 주로 농요(農謠)<광의(廣義)>가 수집되었다. 소동패전갈을 수록하였다. 모심기곡(曲)은 공(共)히 일반 농부가 쪼임에 비하여 모찌기와 논매기곡(曲)(<표2>참조)은 다양성을 띄웠다. 산아지로고나곡(曲)은 전(全) 면(面)에 두루 퍼져 있으며 논맬 때, 장원질소리, 소동패노래에도 쓰인다. 산떨이(올라간다)는 고흥군의 것과 같다. 터 다지는 노래로는 얼럴럴 상사도야를, 상량노래로는 어유아 상량이야를 부른다. 줄메고 나가는 노래의 받음구는 위야허허 또는 상사뒤여뒤여(회촌면)이다. 유희요(謠)는 남사당의 덜미 (꼭두각시극)노래인 떼루와 제나난실을 싣고 그 위에 치마·줌치·사위·강도령·이노래 등을 실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가임기 여성의 유방촬영에서 Dose mode 적용의 유용성 분석

        이소라,손순룡,정재연,이관섭,Lee, So-Ra,Son, Soon-Lyong,Chung, Jae-Yoen,Lee, Kwan-Seob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3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5 No.2

        Purpose : Automatic exposure system(AOP mode) in DR Mammography of the STD and DOSE apply to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average glandular dose(AGD) and image quality by comparing wa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DOSE. Materials and Methods : Of the under 40 age 108 patients who visit to our hospital and examined STD and DOSE mammography from January 2008 to July 2013. AGD was obtained by DICOM header information provided by GE Senographe DS. STD and DOSE images were evaluated with obtained patients, Image J program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SNR. Results : The average AGD of DOSE mode was 0.99mGy, and which decreased by 19% comparing to that of STD mode which was 1.18mGy. The two the average AGD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01). The average SNR of STD was 40.26, DOSE displayed, and to 39.68 i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The average AGD using DOSE mode which is one of DR mammography AOP modes decreased by comparing to that of STD mode showing no difference in image quality. The use of DOSE is considered to be useful.

      • KCI등재
      • KCI등재

        주암댐 유역의 민요(民謠)(III)

        이소라,Lee, So-Ra 국립문화재연구원 198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22 No.-

        화순군을 구(旧)한말까지의 행정구역을 참고로 하여 동복방면, 화순방면, 능주방면으로 나눈다면 남면의 수몰지역은 동복면, 이서면, 북면과 더불어 동복방면에 든다. 동복방면은 섬진강유역의 문화권인데 비해 화순, 능주지방은 영산강유역의 문화권이 된다. 상여소리는 위의 세방면이 서로 큰 차이가 없다. 회닫는 소리가 경기도나 강원도에 비해 현저히 미발달(未發達)된 것은 몇 년 후에 보통 이장을 하는 관계로(토질상, 관습상) 봉분을 다시 파헤쳐야 하기 때문에 회닫을 필요성이 적은 탓으로 해석된다. 북면 원리엔 정월보름에 액막이로 하는 달구질소리가 있다. 모찌는 노래가 따로 없고, 잘 부르질 않는다. 바닥풀소리가 있다. 화순군의 대표적인 논매는 노래는 논매는 양산도이다. 수몰지역의 논매는 노래로는 양산도 및 산아지로고나, 사호소리, 세월이 가 있다. 산아지로고나는 섬진강유역의 대표적인 논매는 노래이며 사호소리는 능주지방 및 화순읍, 동면녹음에선 나오지 않았다. 반면에 세월이는 화순, 능주방면에서 나왔고 동복방면 녹음때엔 안나왔다. 화순군의 논매는 노래로는 그 밖에 아리시고나 마디여, 사하뒤여, 매화타령, 매화가, 노방가, 방애, 더덜기, 난초타령 등이 있다. 아리시고나 마디여는 영산강유역(함평 무안 나주 영암군)이 본고장인 것으로 보이는 논매는 노래로 화순군에서는 북면에서만 나왔다. 장원질 노래로는 사하디여, 풍년가, 두려소리, 뚜룸마, 일반농부가, 양산도, 산아지로고나, 성주, 덩기, 얼쭝덜쭝, 사호소리 등이 쓰인다. 줄메고가는소리로는 "위야허허"가 보성군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이며 그 밖에 능주면 만인리의 어기야자자뒤여 가 있다. 기타의 노동요로는 주로 광의의 농요가 수집되었으며 작도소리, 나무내리는소리, 맷돌노래 등이 주목된다. 씨름판 노래로는 썸바타령, 개골, 논매는 양산도 곡(曲)등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요(動物謠)로 거무, 이, 천룡와깨비 등이 수집되었다. 그 밖에 판굿노래, 팽이치기, 연날리기, 등잔가세 등이 주목된다. 논매는 노래는 매화가를 제외하곤 거의가 멕이고 받는 가창방법이며 [표 3]의 46곡(曲)중 1/4 정도만 꺾는 음의 효과(効果)가 있는 곡이다. 솔(라)도레미'의 선법인 것은 44%에 달하며 그중 7할이 기음의 4도윗음인 도에서 종지하되 이를 퇴성한다. 기타에 대해서는 [표 3, 4, 5] 참조.

      • KCI등재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와 눈동자 움직임 특성 분석

        이소라 ( So Ra Lee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인터넷 글 읽기에 관한 국어교육적 내용의 단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의 인터넷 읽기 과정을 실질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청소년의 시스템 지식(system knowledge)을 사전 조사하고 눈동자 움직임을 관찰하여 그 특성을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인터넷 글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에서는 훑어 읽기 및 찾아 읽기를 전략적으로 수행하면서 다양한 모형의 패턴을 보여 준다(S-S패턴). 또한 본격적인 읽기 단계에서는 훑어 읽은 후 핵심 내용을 구체적으로 읽어 나가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며(S-F패턴), 복합 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는 서로를 참조점으로 활용하며 읽는 초점화된 조회적 읽기의 양상을 보여 주었다(F-R-F패턴). 마지막으로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특징을 도출하였는데, 이들은 시스템 지식의 활용, 검색어의 생성, 과제 집착성 측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raits of Adolescents` reading and eye movements in internet reading and prepare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used by five high school readers. So, I survey individual participants` system knowledge and Individual participants read on the Internet, with the goal of developing questions about given text. Internet reading strategies were analyzed using participants` verbal reports, triangulated with eye tracking data. The eye-tracking data describe different pattern of scanning and skimming in internet reading. Moreover there were some different traits between accomplished reader and poor reader in terms using system knowledge, domain knowledge(producting search word) and task commitment.

      • KCI등재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습관형성 이론과 상대소득 가설의 검정

        이소라 ( So Ra Lee ),홍기석 ( Ki Seok Ho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社會科學硏究 Vol.38 No.3

        습관형성 이론과 상대소득 가설에 의하면 개인의 만족도는 현재 소비 수준뿐 아니라 과거 소비 수준(습관형성 이론)과 준거집단의 소득 수준(상대소득 가설)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에 나와 있는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만족도가 과거의 소비 및 타인의 소비에 의하여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의 과거 소비(소득) 수준은 현재의 주관적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다. 이는 소비에 있어서 습관형성보다 소비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둘째, 동일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소비(소득)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도를 낮추는 반면 동일 학력·직업군에 속한 사람들의 소비(소득)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준거집단이 개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habit formation theory and relative income hypothesis, individual utility (subjective well-being) is determined by their own past consumption levels and others incomes respectively, as well as their own current consumption levels. Hence, this paper considers individual past consumptions (incomes), and consumptions (incomes) of two different reference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subjective well-being. All data was retrieved from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at 1)the durability of consumption is more important than habit formation in terms of consumption since individual past consumptions gi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s satisfaction. 2) On the other hand, the coefficients of relative income show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gns depending on the reference groups. Individu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ffected by regional groups average consumption levels while, in contrast, individual satisfaction was affected positively by the average consumption levels of education & occupation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of diverse effects of reference groups on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비교연구

        이소라(Lee So Ra),김수지(Kim Soo J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노래, 악기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공동주의 반응행동 차이를 알아보고 비교해보고자 실시되였다.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 연령 5∼8세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 10명과 지적장애아동 10명을 대상으로 3가지 종류의 자극인 언어자극, 노래자극, 악기자극을 제시하여 자극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중 시선 따르기 행동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언어, 노래, 악기 자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장애아동은 세 자극간 반응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세 자극 모두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에 비해 반응수준이 높았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경우 악기>노래>언어 순서의 반응을 보였을 뿐 아니라 세 자극간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특히, 언어자극에 가장 낮은 반응을 보인 반면 악기자극에는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지적장애아동과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은 자극간의 유의미한 차이와 함께 악기자극이 가장 높은 반응을 유도하는 자극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자극이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그 중 악기자극을 사용한 중재는 다른 사람에게 주의를 갖도록 하는 중재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joint attention behaviors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when they are exposed to stimuli including language, songs, and musical instrument.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of preschool children- 10 of eac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respectively- who attended a special nursery school in Busan. All children attended the experimental procedures of three different stimulus: 1) verbal stimulus, 2) song (short melodic verbal stimulus), and 3) rhythmic instrument stimulu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resented high response of 50% for all three stimuli while children with ASD responded with more variance among stimuli, and the impact of the stimulus for both groups was presented as stronger in the following order: musical instrument> songs> language. Overall, musical stimulus (melodic song, musical instrument) have a positive results on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nd it implies that integration of musical elements including instruments and songs could enhance the efficiency of joint attention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