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다문화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유아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Lee, Sun-A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6

        다문화이해교육은 민주주의 이념인 ‘함께’와 ‘공동체의 선’을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고 인종, 생활양식, 계층, 사회편견 등을 다룸으로써 유아기에 발달하는 조망수용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하는 환경에서 삶의 구성요소로 다문화를 이해하여 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구성절차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유아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누리과정과의 연계를 위해 생활주제와 접목한 다문화 교육내용을 추출하고 다문화적 교수법 및 단기평가과정을 거쳤다.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위해 만 5세 유아에게 12주간 36회기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유아에 다문화인식의 가치를 탐색하고 의미를 구성해 보는 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유아가 인식하는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유아 다문화이해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Multi-cultural Comprehension Education Program has a high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as it promotes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critically thinking ability of a child in early childhood; by cognizing the society’s value and dealing with the issues such as race, life style, class, stereotypes based on the idea of being ‘unified’ and ‘virtue of the society’, the idea of democra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by understanding multi-culture as an element of the life in the environment of child. For this, this program has set its aim o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dvanced research. And for the connection with the child education (‘Nuri’ curriculum), it extract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life style factors, and went through the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s and short-evaluation process. The experiment of applying this program on children of age 5 for 36 times on an 12 week basis has proved the effects of children’s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result proves that it emphasize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 that investigates the value of children’s muti-cultural cognition and makes the meaning. Also it increases the multi-cultural cognition which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Hence, this result can provide a theoretical evidence and guideline for a reliable multi-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 in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의 가정환경, 놀이 및 교사창의성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Lee, Sun Ai),이채호(Lee, Chae H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가정환경, 놀이 및 교사 창의성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5세 유아 214명의 어머니와 유치원 교사 10명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유아 창의성과 가정환경, 놀이 및 교사 창의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RMSEA, SRMR, TLI 및 CFI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유아 창의성과 놀이, 교사창의성과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 놀이 및 교사창의성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창의성에 놀이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사창의성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환경은 유아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preschool creativity and their related variables(paly, family background and teacher creativity). participant were 210 young children of parents and thei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 creativity, play, family background(academic stimulation, variety in materials) and teacher creativity. Second, the preschool creativity were directly influenced by play and teacher creativity.

      • KCI등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실행에 대한 인식과 요구

        이선애(Lee, Sun-Ai),강혜경(Kang, Hye-Kye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2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의 설립유형별 보육교사로 각 4명씩 연령과 교육경력을 고려하여 24명을 선별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사별 개인 인터뷰형식의 FGI질문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인 분석을 위해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휴게시간 시행을 정책적인 문제로 인식하였고 현장에서 휴게시간 시행은 보육교사의 직무 특성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휴게시간 실행에 대한 보육교사인식은 현실적인 어려움, 가짜 휴게시간 환경조성, 업무의 과중, 원장과의 트러블 발생, 보육의 질 저하, 제도 자금 낭비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은 조기 퇴근의 필요성, 쉼에 대한 인식의 개선, 보육교사에게 시간적 여유의 제공, 복지제도의 필요, 영 · 유아 안전보장대책의 필요, 인력 지원을 요구하였다. 장기적으로는 법적 보육시간의 수정이 필요하며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보육수요를 분석하여 2교대나 근무환경의 수정을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개선은 대체교사활용과 초과근무수당의 지급으로 휴게시간 운영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는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보육시설이용시간에 대한 보육지침의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는 보육수요자의 환경을 분석하여 다양한 보육서비스로 분류하고 보육현장의 근무 탄력제나 2교대 근무제를 수용하는 등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맞춤형 정책과 인프라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We will execute an in-depth interview(called FGI) to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 can show how to improve the teachers’ rest period by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s. It is for giving the basis to the policy improvement by suggesting the methods of making better working conditions for the teachers who can’t rest in field. The objects of study are 24 daycare center teachers from Seoul-Incheon area, 4 people each from the groups based on the age and experience. We interviewed each teacher in depth using FGI method, and drew the research question by categorizing the interview contents. It turned out that the daycare center teachers’ rest period policy has a problem and it can’t be solved in the field. Also the intensity of labor is high and rest time is lacked compared to the other occupation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 and service. Putting substitute teachers in field,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vertime payment would be the solutions. And in the long term, the working hours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by analyzing the demand in the field. The cognition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rest period has been known before, but it has been ignored because of the field conditions. For example the policy of rest time has been worked, but it didn’t work properly in reality. In other words, there was out of comprehension about the daycare occupation and its environment. Also the working hours are long and the intensity of the labor is high compared to other job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put the substitute teachers and give the overtime payment. In the long-term, we suggest an amendment of working hours and related polic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classify the daycare services into the groups and make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verall infrastructure.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이선애(Lee, Sun-A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통합적 접근에 의한 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을 만5세 유아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서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언어, 태도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2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05명으로 집단별 35명씩이다. 연구절차는 A유치원의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B유치원 1개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을, 비교집단은 외국강사초빙 교육프로그램을 각 18주 동안 1주 3회50분씩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양적분석방법으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cheffe와 대비검증(Contrast test) 및 T-test를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방법으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와 태도변화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세단계로 구분하여 저널형식으로 범주화하여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양적분석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비교집단보다 다문화이해인식(F=9.05, p<.001)과 다문화총점에서(F=5.87, p<.01)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결과, 유아가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보이는 언어표현내용에서 외모, 인종, 성, 가족구성, 사회계층, 피부색에 대한 편견이 감소하고 외모, 인종, 성, 피부색에서 다문화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개발된 유아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사회 상황에서 유아들의 다문화인식과 인성을 함양하여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 활용이 적합하여 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의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f there is any effect to child’s multicultural cognition, linguistic change and that of attitude, by applying childre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program to five-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are the children from 2 kindergartens placed in G city, Gyeonggi-do. Children out of two classes from A kindergarten and one class from B, are divided to 3 groups, 35 children each. The researcher applied developed program to experimental group, general education program to control group, and invited foreign lecturer’s educational program to comparative group for 18 weeks.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as quantitative analysis for processing data. And Scheffe, Contrast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qualitative analysis, children’s linguistic change and that of attitude, appear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developed program, were divided into 3 steps in the multi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y were interpreted by categorizing as a journal for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comparative group h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cognition and multicultural total score, compar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e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content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the prejudice of appearance, race, sex, family composition, social stratum, and skin color decreased. And it was appeared that multicultural cognition of appearance, race, sex, and skin color was high. Thus, this developed program enhances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e by building children’s multicultural cognitions and characters in multicultural situation. So this program is available for children education field and it will help the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multicultural teaching.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휴게시간 관련 이슈 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

        이선애 ( Lee Sun Ai ),강혜경 ( Kang Hye 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2023년 7월까지 유아교육기관 휴게시간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휴게시간 의무화 정책의 전반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자료는 국내 빅데이터 플랫폼 텍스톰에서 ‘유아교육기관+유치원+어린이집+휴게시간’ 키워드를 2018년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네이버, 다음, 구글의 웹문서 등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텍스톰과 UCINET, NetDraw를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인 빈도분석, TF-IDF 분석, 중심성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토대로 CONCOR 분석과 매트릭스 분석, 감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근무환경과 보조교사 지원 및 채용과 관련된 키워드들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정부 차원에서 교사의 복지와 쉼에 대한 배려, 실효성 있는 휴게시간을 위해 사회적 및 정책적 논의가 다양한 측면에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overall direction of a mandatory break policy, by analyzing big data related to break time at a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rom 2018 to July 2023.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domestic big data platform, ‘Textom,’ using keywords such as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kindergarten, daycare center, and break time.’ The unstructured data such as web documents from Naver, Daum, or Google, were collected from 2018 to July 31, 2023.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text mining which includes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matrix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ndicates that keywords related to the working environment at a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s well as support and recruitment of assistant teachers, were promin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be constant social and policy discussions at the government level to consider the well-being of teachers and the effectiveness of break time.

      • KCI등재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들의 인식비교 연구

        이선애 ( Sun Ai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들의 인식비교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128명과 유아교사 147명으로 전체 275명을 대상으로 로봇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간에 차이가 나타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교실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것이 유아에게 안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물음에 유아교사는 ‘보통이다’. 예비유아교사는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실 수업에 로봇이 도입된다면 로봇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를 물어보는 물음에 유아교사는 ‘팻’, 예비유아교사는 ‘캐릭터’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실 수업에 로봇이 도입된다면 로봇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를 물어보는 물음에서는 유아교사 ‘유아키보다 작은 정도’, 예비유아교사는 ‘유아 키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들 간의 로봇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로봇의 안전성, 로봇의 형태, 로봇의 크기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so that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ducational utilization of robots. The participants were 275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at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using a robot for classroom teaching aids. However, it also sai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n using a robot for teaching children. Teachers preferred a robot like a pet bu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ferred a robot like character. also they are choose safety for an essential quality.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ferred a robot tall similar to tall of early chil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헌신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 ( Lee Sun Ai ),마지순 ( Ma Jisun ),안라리 ( An Rari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조직헌신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탄력성과 조직헌신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에서는 낙관적 태도, 자신감, 대인관계효율성, 분노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조직헌신도가 높으면 직무만족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충성심, 가치수용, 자발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 헌신도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헌신도의 충성심과 자발성,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태도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현직 교사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280 teachers employed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K City of Gyeonggi province.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ing by teach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eachers‘ ego-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ego-resilience.. The highest correlation sub-variable was optimistic attitude, next was self-confidence, and effec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last was anger management.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st correlation sub-variable was royalty, next was spontaneity and the last was acceptation of values. Second, teachers' ego-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ed job satisfaction. The royalty, spontane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ptimistic attitude, whivh is a sub-variable of ego-resilience, affecte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교사를 중심으로

        이선애(Lee, Sun-Ai),강혜경(Kang, Hye-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교사 1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부터 3월 6일까지 주2회 2시간씩 총 16회기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의 효과 검증을 위해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 검사를, 교육프로그램이 완전히 종료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패키지 SPSS 21.0을 이용해 윌콕슨의 대비된 쌍의 부호 순위 사전-사후 z검정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둘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전⋅후 어린이집교사의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집단별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N=7)에서만 사회적 자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사회적 자본 수준 집단별로 교사효능감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이를 통해 교사교육프로그램이 보육 구성원의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내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교사의 효능감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From January 2 to March 6, 2020, a total of 16 educational programs were applied to 13 daycare center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wi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capital and teacher efficacy,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as completely complet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a pre-post z-test of Wilcoson s control code ranking pai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apital of daycare center teachers chang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Secon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work efficien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improved significantly. Third, social capital has improved significantly only in groups with high teacher efficacy (N=7) before and after apply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eacher effect by social capital level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rough this,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positively change the inside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crease the teacher s efficiency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care members.

      • KCI등재

        Safrolechitosan의 유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제중 ( Je Jung Kim ),이선애 ( Sun Ai Lee ),정병옥 ( Byung Ok Jung ),유희중 ( Hee Jung Ryoo ),박동기 ( Dong Ki Park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03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8 No.2

        신소재로 각광 받고 있는 키토산을 유화제로 활용방법을 모색하고자 키토산 유도체인 SaCs를 제조하여 유화안전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에 도달하였다. 유화안전성은 증류수/옥배유의 비율이 2:3일 때 가장 좋았으며, 유화제로 SaCs 단독으로 투입하였을 경우 투입량이 0.18%(w/v)일 때 유화안정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았다. 또한 두 종류의 유화제 (SaCs/polyoxyethylene)의 혼합비율에 따른 유화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비율이 0.1:0.4에서 가장 효과적이나 SaCs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유화안정성이 훨씬 낮았다. 온도에 따른 유화안정성은 25~45℃ 온도구간에서는 유화안정성이 매우 안정적이었지만 75℃ 이상에서 180분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화안전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균질화 시간에 따른 유화안정성은 11,000 rpm에서 10초 이상 균질화시켰을 때 유화안전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SaCs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W/O형의 제품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prepared safrolechitosan(SaCs) as an emulsifier using chitosan, which is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materials and studied stability of emulsification. Here, Sacs is the abbreviation of Sacs. The Sacs, which is new materials having the function of emulsifier, was synthesized from chitosan with safrole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 as solvent.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concentration of Sacs formed. It can be seen that, in the presence of 0.18(w/v)% Sacs,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is excellent at 2 to 3; that is, distilled water to corn oil. It also can be seen that, in the presence of polyoxyethylene and 0.18(w/v)% Sacs,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is good at 3 to 2; that is, Sacs to polyoxyethylene. However, this value was the low. In the temperature dependence,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is stable at incubation temperature ranging from 25℃ to 45℃. After 3 hours at 75℃ a layer-separation has formed in the incubation test tube.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accelerating test for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is suitable at temperature ranging from 55℃ to 65℃. After 10 seconds at 11,000 rpm, the stability of emulsification is good. Therefore, if we use Sacs as a surface active agent, it is the most ideal case to use it with W/O goods.

      • KCI등재

        경기도 책꾸러미 사업을 통한 유아 독서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및 효과성 연구

        윤성은(Sung Une Yoon),최인자(In Ja Choi),황금숙(Gum Sook Hoang),김수경(Soo kyoung Kimi),이선애(Sun A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 대한 유아 독서효과 분석을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그 효과성을 분석하여 향후 경기도 독서문화 진흥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유아 독서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를 선행 및 사례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전문가를 통해 델파이로 타당도를 검증한 후, 개발된 지표를 통해 경기도 7개 시군(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양주시)의 만 3세~5세 유아를 대상으로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을 통한 유아의 독서효과 분석을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경기도 7개 시군 지역의 만 3세~5세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유아의 독서흥미 및 독서태도가 향상됨으로 독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기 독서교육에서 특히 어려운 것은 독서습관 정착으로 이에 유아의 독서습관을 기르는 데에는 기관과 가정이 연계된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 대한 유아 독서효과 분석을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그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독서흥미 및 독서태도가 향상되어 독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경기도의 교육격차 해소와 독서문화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서 지속적인 사업으로 실시하게 될 근거가 마련하게 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dicatives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yeonggi-do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reading education and thereby, suggest some data useful to the establishment of a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in Gyeonggi-do. Methods Preceding studies and case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ook-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reading education and thereby, develop some measurement indicatives, and thus, the indicatives were verified by professionals using the Delphi technique. Then, 3~5 year-old pre-schoolers were sampled from 7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Pocheon-si, Yangpyeong-gun, Yeoju-si, Dongducheon-si, Gapyeong-gun, Yeoncheon-gun and Yangju-si) to be divided into control and test groups, and thereby, their reading effect indicativ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Results As a result of developing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pre-schoolers’ reading effects and comparing them for the sample pre-schoolers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book-sharing project was found effective in improving test group pre-schoolers’ interest in and attitude toward reading. Conclusions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pre-schoolers earlier reading education involves acquisition of reading habit.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operate a regular book sharing project involving public organization and homes. As a result of developing the indicatives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book-sharing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ject would serve to improve pre-schoolers’ interest in and attitude toward reading, and therefore, this study seems to provide some ground for the operation of a sustainable book-sharing project to narrow the education divide and promote a book reading culture in Gyeonggi-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