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작업장 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상지(Lee, Sangji),박소정(Park, Soj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작업장의 장애인이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변화 과정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D시에 위치한 S장애인복지센터 내 보호작업장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 3명과 뇌병변 장애인 2명이며, 2020년 7월 9일부터 2020년 8월 20일까지 주 1~2회 60분간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은 협동을 통해 집단 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최대화하는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이론 중 LT(Learning Together) 모형을 토대로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재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총 6개의 상위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상위 주제는 <미술표현에 대한 어려움과 두려움을 보임>, <집단과 협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임>, <집단과 협동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고 상호작용이 시작됨>, <활동에 필요한 의견 나눔이 시작됨>, <타인을 인식하고 집단 내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유연해짐>, <활동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의견을 나누는 것에 적극적인 모습이 나타남>이다. 본 연구는 보호작업장의 장애인이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하고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므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courses of change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heltered workshops, during the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designed for sociality improve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wo individuals with brain lesions at the sheltered workshops in the S welfare center located in D city. Twel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from July 9, 2020, to August 20, 2020.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learning together model from the cooperative learning theory that maximizes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group members through cooperation. As a result, a total of six main themes and twelve sub-themes were derived; the six main themes were, “showing difficulty and fear of art expression,”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concept of group and cooperation,” “starting to interact and have certain understanding of group and cooperation,” “beginning to share opinions necessary for activities,” “recognizing others and the manners of group interaction becoming flexible,” and “showing active participation in sharing experiences and opinions on the topic of the activ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hows tha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the sheltered workshops can experience positive changes by improving their self-expressive ability and acquired social skills through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 KCI등재

        사이버 해킹 및 테러 공격 대응을 위한 논리적 망분리 기법

        지정은(Jungeun Jee),이상지(Sangji Lee),이성렬(Sungryoul Lee),배병철(Byungchul Bae),신용태(Yongtae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9 No.1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해킹 및 악성프로그램과 같은 사이버 공격으로 부터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망분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망분리에는 외부와 내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물리적 망분리와 가상화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논리적 망분리가 있다. 물리적 망분리는 망구축 및 유지비용이 높으며, 논리적 망분리는 보안 신뢰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는 트래픽 유형 분석을 통해 물리적이 아닌 논리적(가상적)으로 망을 분리하는 논리적 망분리(Logical Network Partition, LNP)기법을 제안한다. LNP는 실시간 트래픽 분석으로 공격 트래픽 탐지, 공격 트래픽의 경로 차단과 우회경로를 제공하는 망분리, 공격 트래픽 해결 후 경로 복구와 우회경로를 차단하는 망분리 해제를 수행한다. 따라서 LNP는 트래픽을 식별하여 공격의 위협으로부터 중요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망을 보호하여 망의 안전성과 높은 보안 신뢰성을 제공해준다. Network Partition technology is required to protect major information from the cyber attacks such as hacking and malignant program that occurs frequ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re are a physical network partition which physically separates the internet network from the business network and a logical network partition which separates by using a virtualization. The physical network partition is very expensive in establishing of network and cost of maintenance. The logical network partition has little reliability of security.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Logical Network Partition scheme which separates logically network, but not physically, through analyzing a type of traffic. LNP performs detection of the attack traffic with analyzing the type of attack in real time, the network partition that offers the detour route as well as blocks the route of the attack traffic and removing of the network partition that blocks a detour route and a route restoration after removing the attack traffic. Therefore, LNP offers high security reliability and network safety by protecting the network that have to be maintained virtually from threat of attack by distinguishing the traffic.

      • KCI등재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 분말 첨가한 저당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 특성

        황권택 ( Kwontack Hwang ),강선아 ( Suna Kang ),김다솔 ( Da Sol Kim ),이혜수 ( Hyesu Lee ),이상지 ( Sangji Lee ),최유라 ( Yura Choi ),장은희 ( Eunhee Jang ),박선민 ( Sunmin Park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8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mposition of low-sugar jelly containing yuza powder using the artificial sweetener, sucralose, instead of sugar.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to determin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yuza jellies 1) made of different contents of sucralose and 2) made of different amount of yuza powder. In the first study, jelly contained sugar only (S1), sugar and sucralose=3:1 (S2), and sucralose only (S3), whereas in the second study, jelly contained different amount of yuza powder and sucralose (Y1-Y4). Sucralose and yuza powder both affected pH, chromaticity and texture results of the jellies. Chromaticity testing revealed that jellies containing sucralose (Y2, Y4) had tents with high lightness (L value), yellowness (b value) and low redness (a value, p<0.05). Sucralose also had a higher pH than sucrose, but low sugar contents (p<0.05) and viscosity. Jelly containing high yuza powder shows comparable results in pH, chromaticity and viscosity. In texture analysis, contents tend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cralose since yuza powd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sensory evaluations, the score for overall preference was higher in S1 but were generally similar between S1 and S3. The lower the content of yuza powder, the higher the overall evaluation. In conclusion, jelly made with no sugar and 8.4% yuza powder was considered to be advantageous for a food nutritional & chewniess snack for diabetic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