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PU를 이용한 개선된 뷰포인트 벡터 렌더링 방식의 집적영상시스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이빛나,박경신,조용주,Lee, Bin-Na-Ra,Park, Kyoung-Shin,Cho, Yong-J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10

        컴퓨터-생성 (Computer-generated, CG)집적영상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서 미리 만들어진 기초영상들을 렌즈 어레이를 통해 보게 되면 3차원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무안경식 양안시차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이 때 CG집적영상시스템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초영상을 만드는 과정을 이미지 매핑 (Image Mapping)이 라고 하는데, 뷰포인트 벡터 렌더링 (Viewpoint Vector Rendering, VVR) 이 미지 매핑 방식은 표현하는 대상의 크기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렌즈 어레이 기초렌즈의 개수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실시 간 처리에 보다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3차원 그래픽 응용 프로그램에 보다 적합한 CG 집적영상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렌더 링 성능을 향상시킨 VVR 집적영상시스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소개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기존의 VVR 구현 방법과 GPU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며, 상당한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보여 준다. Computer-generated integral imaging system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that users can see and feel the stereoscopic images when they see the pre-rendered elemental images through a lens arra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lemental images using computer graphics is called image mapping. Viewpoint vector rendering (VVR) method is one of the image mapping algorithm specially designed for real-time graphics applications, which would not be affected by the size of the rendered objects or the number of elemental lenses used in the integral imaging system. This paper describes a new VVR framework which improved its rendering performance considerably. It also compares the previous VVR implementation with the new VVR work utilizing GPU and shows that newer implementation shows pretty big improvements over the old method.

      • KCI등재

        집적 영상 시스템을 위한 향상된 이미지 매핑 방법

        이빛나,조용주,박경신,민성욱,Lee Bin-Na-Ra,Cho Yong-Joo,Park Kyoung-Shin,Min Sung-W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3

        집적 영상(Integral Imaging)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수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3차원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무안경식 양안시차 디스플레이 방식 중 한가지이다. 집적 영상 시스템은 3차원 정보를 조금씩 다른 방향에서 제한된 크기로 촬영된 이미지인 기초영상(Elemental Image)의 형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이런 이미지들을 다시 렌즈 어레이를 통해서 보여주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기초영상은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서 만들어낼 수도 있는데 이런 집적 영상 방식을 CG(Computer Generated) 집적 영상 시스템이라고 한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 기초영상을 만드는 과정을 이미지 매핑(Image Mapping)이라고 한다. 이제까지 제안된 이미지 매핑 방식에는 PRR(Point Retracing Rendering), MVR(Multi-Viewpoint Rendering), PGR(Parallel Group Rendering)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방식들은 계산양이 많거나 렌즈 어레이 개수의 증가에 의해 생성 속도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어, 아직 가상현실 같은 실시간 CG(Computer Graphics) 응용 분야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속도 향상을 이룬 VVR(Viewpoint Vector Rendering)이라는 향상된 이미지 매핑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VVR 개념을 설명한 후 VVR을 사용한 집적 영상 시스템을 구현하여 MVR 방법과 비교 분석한 실험결과와 추후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The integral imaging system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that allows users to see 3D images without wearing special glasses. In the integral imaging system, the 3D object information is taken from several view points and stored as elemental images. Then, users can see a 3D reconstructed image by the elemental images displayed through a lens array. The elemental images can be created by computer graphics, which is referred to the computer-generated integral imag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lemental images is called image mapping. There are some image mapping methods proposed in the past, such as PRR(Point Retracing Rendering), MVR(Multi-Viewpoint Rendering) and PGR(Parallel Group Rendering). However, they have problems with heavy rendering computations or performance barrier as the number of elemental lenses in the lens array increases. Thus, it is difficult to use them in real-time graphics applications, such as virtual reality or real-time, interactive gam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mage mapping method named VVR(Viewpoint Vector Rendering) that improves real-time rendering performance.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of VVR first and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image mapping process with previous methods. Then, it discusses possible direc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s.

      • KCI등재

        확장형 초고해상도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협업용 뷰어 시스템 기술 개발

        김민영,이빛나,조용주,Kim, Min-Young,Lee, Bin-Na-Ra,Cho, Yong-J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4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이미지나 실물 크기의 3차원 개체를 표현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개인화된 화면을 사용하거나 남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효율적으로 협업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 플랫폼 위에 3차원 모델, 이미지와 동영상을 조작할 수 있는 협업 뷰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입력장치를 활용하여 따로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뷰어 시스템의 구조와 이를 이용해 구축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A tiled display can present a high resolution image or real-sized 3D objects. It can be used fot effective collaboration by allowing multiple users to allocate their own spaces, which are used privately or shared with others. In this research, a collaborative viewer system, which allows manipulating 3D models, images and movie clips, was constructed on a distributed platform. This allows multiple users to manipulate different contents separately with various input devices. This paper describes an architecture and a prototype system built with the viewer.

      • KCI등재

        CollaBox : 초대형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가상품평을 위한 인터렉션 도구

        김기환(Ki-hwan Kim),이빛나라(Bin-na-ra Lee),김영곤(Young-Gon Kim),김신령(Sin-Ryeong Kim)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8D

        본 논문은 초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컴퓨터와 인간이 보다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멀티모달 인터렉션 도구를 소개한다. 기존의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전통적인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대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서 한자리에 고정된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활용성 측면에서 제한적이다. 제안된 인터렉션 인터페이스는 초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초음파 센서와 관성센서 그리고 비젼 기술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여러 가지 인터렉션 기술(rotation, translation, zoom)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2D 또는 3D 오브젝트를 컨트롤 할 수 있다. 또한 초 대형 디스플레이와 오브젝트를 이용한 가상 품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사용자의 아이디어 또는 수정사항을 기록해야 하는 필요도 존재하기 때문에 멀티모탈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제안된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인터렉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 될 수 있다. In this paper, a multimodal interaction interface for interact between human and computer on high resolution large displayhas been studied. It is difficult to access directly using conventional input device of computer (ex. Keyboard, mouse) and fixed position methods are very restrictive for manipulation on large display. A suggested interaction device can track with several interaction techniques(rotation, translation, zoom) using ultrasonic, gyroscope and marker which are manipulating 3D or 2D object on large display. It is need to support multimodal interface for memorizing and modifying user's idea produced in a virtual prototyping with high-resolution display and object. Also, this interface can used instinctive user interface using several interaction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