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춤의 분류와 양식적 특징 -정병호의 분류법 검토를 중심으로-

        이병옥 ( Byoung O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이 연구는 전통춤의 유형을 분류하고 장르별로 양식적 특징을 비교하여 한국전통춤의 근원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있다. 전통춤의 분류는 정병호의 분류법을근간으로 문제를 보완하여 정병호?이병옥의 분류법으로 재정립하였다. 그 특징은 ①대분류로 일반화된 2대 분류(궁중춤, 민속춤)를 인정하고 상분류에서 정병호의 4분류법을 수용하여 상호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궁중춤은 향연춤, 제례춤으로 분류하고, 민속춤은 의례춤, 민간춤, 예인춤으로 분류하였다. ②대?상?중?하분류까지 4단계로 하위분류하여 전통춤 모든 종목을 분류하는 유형분류법을마련하였다. 그중에서 특히 예인춤은 기방계춤, 재인계춤, 신당계춤의 분류를 주목할 수 있다. ③여러 가지 분류방식도 상황에 따라 필요하겠지만 기능적, 직능적, 사회적, 예술적 개념을 종합한 통합분류로 정립하였다. 이어서 전통춤의 분류법에 입각하여 유형별로 양식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특히 전통춤 2대 분류인 궁중춤과 민속춤의 양식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예인춤의 양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하위분류인 기방계춤, 재인계춤, 신당계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또한 민간춤의 특징과 의례춤의 특징을 각기 고찰하였으며, 민속춤의 하위분류인 민간춤, 예인춤, 의례춤의 양식적 특징을 비교표로 정립하였다. 끝으로정병호와 이병옥이 정리한 한국 전통춤의 원형적 요소가 되는 신체부위별 춤사위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손가락춤은 없고 주로 추는 부위는 손목춤, 손바닥춤, 팔춤, 어깨춤이다. 그리하여 손가락춤, 목춤, 고개춤 등 말초부위는 발달하지 않았다. 또한 발디딤새는 비정비팔이 중심이며, 걸음걸이는 굴신인 디딤새→돋음새→오금새, 디딤새→뜀새의 원리로 걷는다. 그밖에 특징은 수족상응춤, 3박자의 호흡춤과 엇박춤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traditional dance and compar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o examine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Byung Ho Jung was applied to classify the traditional dance, but its problems were improved to reestablish it a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Byung Ho Jung and Byung Ok Lee.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① The generalized classification into two genres (royal dance and folk dance) was accepted and Byung Ho Jung`s four-tier classification in the upper tier was accepted to resolve the problems. Therefore, royal dance was classified into banquet dance and ritual dance, while folk dance was classified into ceremonial dance, commoner dance, and artistic dance. ② A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o classify all categories of traditional dance into four tiers to present it as a chart. In particular, artistic dance was classified into Gibang Dance, Jaein Dance (entertainer), and Shindang Dance (shaman). ③ Various methods of classification would be needed, but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in terms of functional, professional, social, and artistic concepts. The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were examined and compared based on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particular,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royal dance and folk dance were compared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artistic dance were exami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Gibang Dance, Jaein Dance, and Shindang Danc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 and ritual dance were examined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commoner dance, artistic dance, and ceremonial dance were compared in a chart. Finally,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of each body part that becomes the archetypic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rganized by Byung Ho Jung and Byung Ok Lee include wrist dance, palm dance, arm dance, and shoulder dance, while the peripheral parts of fingers, neck, and head were not developed. The foot position is Bijeongbipal and the steps follow the principle of Didimsae→Dodeumsae→Ogeumsae and Didimsae→ Dduimsae. Other characteristics include hand-foot coordination dance, 3-beat breathing dance, and off-beat dance.

      • KCI등재

        『박소촌화』 所載 <마포유일정> 연구

        이병직(Lee, Byong-J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3 No.-

        이 글은 18세기 여러 야담집을 비롯하여 각종 문헌에 수록된 강상효녀담의 하나인 <마포>를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 시기와 창작의식을 검토하고 서사문학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강상효녀담은 1709년 무렵 형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동윤의 <마포>에 기록된 관련 정보를 근거로 할 때 1700년을 전후하여 성립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마포>의 사건 내용은 초기 강상효녀담인 이홍덕의 전과 유사하며, 강상효녀의 효열과 시비의 충렬을 기린다는 목적 또한 동일하다. 하지만 <마포>에서는 여아의 의리를 문제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작품에 등장하는 관련인물을 평가하는 것으로 내용을 확대하였다. 이동윤은 <마포>를 통해 노론 우위의 당파적 입장을 분명히 하였고, 관련 인물인 정유악의 비판과 이천기의 옹호를 통해 의리 문제를 강조하기 위해 강상효녀담을 적절하게 이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마포>를 비롯한 강상효녀담은 문헌과 구연 등 다양한 전승경로가 있다. 초기 강상효녀를 다룬 작품에서는 ‘복수’를 완성한 여주인공의 절행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후대로 갈수록 수용하는 사람의 취향이나 기록자의 지향가치에 따라 내용에서 다양한 변이가 일어났다. <마포>는 강상효녀담의 형성 시기, 창작의식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개별 작품이 어떤 구연 과정을 거쳐 문헌에 정착되는가 하는 점, 이 과정에서 이야기꾼으로서의 존재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서사문학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supposed to clarify the birth period of work, creative motive, and the meaning of epic literacy focused on <Mafo>, which is one of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collected in many writings. It is said that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were formed around 1709. But we can guess they could be formed judging in 1700 from the basis of <Mafo> written by Lee DongYoon. The story of <Mafo> was similar to that of GangSang filial daughter in the early time. And in the terms of commemorating a daughter"s filial piety and a servant"s unswerving loyalty, it seems that these two had similar intention. But <Mafo> had enlarged the daughter"s obligation more seriously. Lee DongYoon clarified the faction attitude of conservative party through <Mafo>. Also he emphasized obligation matter by criticizing Jong YooAk and defending Lee CheonGee.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like <Mafo> have been passed through literature works and oral narration. Especially, as time goes by, these stories have changed a lot by the people"s aptitude and writers" directivity value. <Mafo> has special meaning as a data to search for the originating time and creative motive of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We can figure out that this work has a big epic literature meaning because the writer of this story had potential as a storyteller and how each work could be passed and settled in literature documents.

      • KCI등재

        20C초 몽유록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

        이병직(Lee, Byeong-Jik)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19세기 말 20세기 초는 서세동점의 위기를 진단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려는 담론이 무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면모를 1900년대 무렵에 창작된 몽유록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현실 인식의 방식은 몽유담 내에서 작자의 분신인 서술자가 특정 인물을 내세워 대화와 토론으로 현실의 위기를 파악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조선 내부의 부조리한 측면과 외부의 서구 열강 및 일제의 침탈이었다. 이 시기 지식인은 각자가 처한 위치와 조건에 따라 그 대응 양상을 달리하여 각 작품에 구체화시켰다. 김광수는 일본의 침탈에는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근대 서구 문물에 대해서는 비판 없이 그 장점을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였다. 유원표는 세계 정세의 변화를 누구보다도 정확하게 판단하였으며, 일본의 한국 침탈을 경계하면서도 아시아 연대론을 주장하였다. 박은식은 국권 상실을 완전히 경험한 뒤 만주로 망명하여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을 한 결과 교육을 통하여 신국민을 양성하고 평등주의를 모색하였다. 세 사람이 처한 상황과 활동에 따라 현실 인식의 내용과 그 대처 방식에 차이가 있고, 또 그 나름대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문학의 적극적인 현실 참여라든지 대화를 통하여 독자를 설득하려는 서술 전략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There were many arguments to recognize the crisis that the Western countries had invaded the Eastern countries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The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s.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se arguments through dreaming story which was created in the 1900s. The narrator, the writer’s other self tried to comprehend the real danger through discussion and argument by a particular person in a story. This was the ways to cope with the urgent situations in those days. The urgent situations were the inner absurd aspects in Choseun Dynasty and many invasions by western countries, including Japan. Kim Gwang Sue had very critical attitude toward Japan Invasion. but he had positive attitude about western modernization and accepted them without any criticism. You Won Poo made an accurate judgement about the world’s changing wave. So he claimed that not only Asian countries should keep cooperative power against the Western power, but also the armed forces should be put on a special alert against Japan. Park Eun Shik came to Manju as an exile after he had experienced the loss of national rights. He took time for self-examination about the direction which Korea would move forward. Therefore, he made some conclusions that they had to produce the new people and create the equal opportunity in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ree people’s situations and activities, they had different styles of reality recognition and confronting ways. It was clear that they had some limitations. But they got some positive valuation because they participated in reality positively through literal works and designed narrative strategy to persuade readers through conversation.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교 유형과 성별에 따른 행복 비교

        이병임(Byunglim Lee),류형선(Hyungsun R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고등학교 남녀학생과 일반 고등학교 남녀학생들의 행복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과학고 1학년 129명(남학생 111명, 여학생 18명)과 인문계고등학교 1학년 학생 163명(남학생 75명, 여학생 88)이었다. 행복은 학업 및 성적, 가족 및 친지,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대인관계, 가치관 및 신념, 건강 등 7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고와 일반고 간에는 학업 및 성적,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가치관 및 신념, 건강 등의 5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고와 일반고 모두에서 남녀 간에 유 의미한 행복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학교 유형과 성별에 따른 네 집단(학교유형 2 × 성별 2)에서는 학업 및 성적,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가치관 및 신념, 건강 등의 5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과학고 학생들이 일반고 학생들보다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 이유로 첫째, 과학고 학생의 경우 중학교 때까지 학업 면에서 우수하여 부모나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받았다는 점과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들었고, 둘째, 어려운 관문을 통과해서 과학고라고 하는 상위권 학교에 입학한 점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compared the science gifted student' happines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ppiness. Data were gathered through direct survey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in Seoul. For the study, 189 science gifted students(male = 111, female = 18) and 16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male = 75, female = 88)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ce gifted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in happines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in happiness. Third, the science gifted high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ppiness compared to the general high student. The possible reasons for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light of previous studies. Also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Alumina Sol의 제조 시 사용되는 해교제 종류가 코팅 도막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화 ( Byoung-hwa Lee ),임형준 ( Hyung-jun Lim ),이인표 ( In-pyo Lee ),안치용 ( Chi-yong Ahn ) 한국화학공학회 201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4 No.6

        졸-겔법에 의해 출발물질로 aluminum isopropoxide를 사용하여, 메탄올용매 내에서 가수분해 시킨 후 해교제인 초산, 질산 또는 염산을 각각 첨가하여 해교 시켜 3종류의 alumina sol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 sol에 실란커플링제인(3-glycidyloxypropyl) trimethoxysilane을 첨가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이용액을 polycarbonate 기재 위에 담금 코팅 후 열 경화시켜 코팅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과정 중 해교제의 종류 변화가 코팅 도막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해교제로서 강산인 염산이나 질산을 사용한 코팅 도막은 H나 2H의 연필경도와 5B의 부착력을 나타내어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해교제로서 약산인 초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HB의 연필경도와 3B의 부착력을 보여 좋지 못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Three different alumina sols were prepared by hydrolyzing aluminum isopropoxide as a starting material in methanol solvent, followed by peptizing with acetic acid, nitric acid or hydrochloric acid as a peptizing agent by the Sol- Gel Method. Also, coating solutions were obtained by adding a silane coupling agent, (3-glycidyloxypropyl) trimethox-ysilane to the alumina sols, deposited on polycarbonate substrates by dip-coating and densified by thermal curing. The effect of types of peptizing agents was studied on the properties of coating films. As a result, coating films, prepared with hydrochloric acid or nitric acid as a peptizing agent, showed excellent properties of pencil hardness of H or 2H and adhesion of 5B. On the other hand, coating films, prepared with acetic acid as a peptizing agent, exhibited poor prop-erties of pencil hardness of HB and adhesion of 3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