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료전지용 암모늄기를 포함한 PEEK계 고분자 분리막 제조 및 특성평가

        이별님,박치훈,남상용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05

        본 연구에서는 2차 암모늄기를 가지는 PEEK계 고분자 소재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한 후 연료전지 적용을 위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온교환능기의 함량에 따른 분리막의 물성변화에 대해 관찰하였으며, 기존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고분자에 비해서 도입된 암모늄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교환능 및 이온전도도가 향상이 되었으며, 비스페놀 에이계 단량체 도입을 통해서 용해의 용이성을 증가하여 가공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샘플의 경우 장기 안정성 테스트 진행 후에도 분리막의 형상을 유지 함으로써 우수한 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다양한 기기분석법을 통한 고분자 분리막의 특성평가

        이별님,남상용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11

        고분자 분리막은 연료전지, 정수 및 기체분리 등과 같은 여러 과학기술분야에서 핵심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와 특성평가를 실시하였다. Zeta potential, 전기영동이동도를 측정하여 전기적특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Time lag를 통하여 특정 기체에 대한 분리막의 diffusivity와 solubility를 측정하였다. 분리막의 기공크기에 따른 분리와 이온의 흡착작용 등으로 수투과를 실시하여 water purity를 증가시켰다. 그리고 수분투습도 측정기 (WVTR)와 산소투과도 측정기(OTR)을 이용한 분석과 BET 비표면적 측정기를 이용한 고분자 시료의 비표면적 및 기공 크기분포 분석을 통한 특성평가가 이루어졌다.

      • 연료전지용 이미다졸륨기를 포함한 PEEK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

        이별님,남상용 한국막학회 2017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05

        분리막을 이용한 산업은 석유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동시에 친환경 에너지자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최근 들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온기 그룹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의 경우 해수담수, 전지 시스템 등 친환경 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다졸륨 그룹의 도입을 통해서 이온교환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열고분자를 합성하여 음이온교환막 제조를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료전지 적용을 위한 다양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온교환능 및 이온전도도를 분석하였다. 도입된 이미다졸륨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교환능 및 이온전도도가 향상이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EEEK계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의 제조와 특성평가

        이별님,박치훈,남상용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05

        분리막을 이용한 산업은 석유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동시에 친환경 에너지자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최근들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온기 그룹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의 경우 해수담수, 전지시스템 등 친환경 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온교환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계열 고분자를 합성하여 준비한 후 소수성의 고분자와 블렌 딩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온교환능 및 이온전도도를 분석하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의 내열성 및 우수한 물리적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EK based polymer membrane for fuel cell application

        이별님,박치훈,남상용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최근들어 이온기 그룹을 포함하는 고분자분리막으로 해수담수, 전지시스템등 친환경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을 이용한 연구는 친환경 에너지 자원개발에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온 교환 관능기를 포함하는 PEEK 고분자를 합성하여 분리막을 제조한 수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관능기 함량에 따른 물성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기본적으로 PEEK가 가지는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Characterization of PEEK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membrane for fuel call application

        이별님,박치훈,남상용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본 연구에서는 이온 교환능 및 이온전도능력이 있는 4차 암모늄기를 가지는 PEEK계 고분자 소재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한 후 연료전지 적용을 위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도입된 암모늄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일부 샘플의 경우 장기 안정성 테스트 진행후에도 분리막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내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분자 전해질 막의 화학적 내구성 향상을 위한 고분자형 산화방지제 제조 및 특성 분석

        이별님,Abdul Kodir,이혜진,신동원,배병찬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21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32 No.5

        Chemical durability issue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has been a challenge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PEMFC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anufacturing method of Nafion composite membrane containing a stable polyimide antioxidant to improve the chemical durability of the membrane. The thermal casting of the Nafion solution with poly (amic acid) induced polyimide reaction. We evaluated proton conductivity, oxidative stability with ex-situ Fenton's test, and fluoride ion emission to analyze the effect of polyimide antioxidants. We confirmed that incorporating the polyimide antioxidant improves the chemical durability of the Nafion membrane while maintaining inherent proton conductivity.

      • KCI등재

        지지체 종류에 따른 음이온 교환 함침막 특성 변화

        전상환,최선혜,이별님,손태양,남상용,문선주,박상현,김지훈,이영무,박치훈 한국막학회 2017 멤브레인 Vol.27 No.4

        전해질막을 사용하는 알칼라인 연료전지는 최근 들어서 시스템 구성이 비슷하고 전해질막의 종류만 다른 기존의 양이온 교환막 연료전지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알칼라인 연료전지에서는 비백금계 저가 촉매가 사용 가능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칼라인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고성능, 고내 구성 음이온 교환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다공성 지지체인 폴리벤조옥사졸 지지체와 폴리에틸렌 지지체에 Fumion FAA 이오노머를 함침시켜, 기존의 Fumion 시리즈의 막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함침막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지지체-함침막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고, 이온 전도도와 기계적 특성이 지지체의 성질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PE 지지체에 Fumion 이오노머를 함침시킨 함침막에서는 우수 한 기계적 특성이 얻어졌지만,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높은 온도에서 성능감소가 더욱 증가하였다. 반면에 PBO 지 지체에 Fumion 이오노머를 함침 시킨 경우에는 PBO의 높은 염기성으로 인하여 함침 후에 높은 이온 전도도를 보였지만, Fumion-PE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지지체-함침막 제조 시 알칼라인 연료전지의 운전조건에 따라 지지체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Alkaline fuel cells us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re expected to replac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which have similar system configurations. In particular, in alkaline fuel cells, a low-cost non-platinium catalyst can be used. In this study, to fabricate high performance and high durability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alkaline fuel cell systems, two kinds of supports, polybenzoxazole and polyethylene supports, were impregnated with Fumion FAA ionomer, by which we tried to fabricate the support-impregnated membrane which has higher mechanical strength and higher ion conductivity than the Fumion series. Finally, the Pore-filling membrane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nd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supports. In the pore-filling membranes with Fumion ionomer on the PE suppor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ere obtained, but ionic conductivit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BO support was impregnated with Fumion ionomer, high ionic conductivity was shown after impregnation due to high basicity of PBO, but the mechanical strength was relatively low as compared with Fumion-PE membran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lkaline fuel cell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pore-filling membra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