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짧은엄지펴짐근 닿는 곳의 변이

        이무삼(Lee Moo sam),정인혁(Chung In Hyuk),이혜연(Lee Hye Yeon),정진웅(Chung Jin Woong),강호석(Kang Ho Suck),고정식(Ko Jeong Sik),이원복(Lee Won Bok),박성식(Park Sung Sik),이혜성(Lee Hye Sung) 대한체질인류학회 199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4 No.2

        한국인의 빫은엄지펴짐근 (extensor pollicis brevis) 힘줄의 닿는곳에 따fms 유형과 그 출현빈도 그리고 힘줄의 수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짧은 엄지펴짐근 166례 중 힘줄의 닿는곳이 엄지손가락의 첫마디 뼈인 전형적인 형(TypeⅠ)은 전체의 69.9%(116례), 끝마디뼈에 닿는 형(Type Ⅱ)은 10.8%(18례), 첫마디뼈와 끝마디뼈 두군데에 닿는 형(Type Ⅲ)은 13.3%(22례)이였으며, 기타 형(Type Ⅳ,Ⅴ,Ⅵ,Ⅶ)은 4.8%(8례)였고 이근육이 결여된 예도 1.2%(2례)관찰 되었다. 2.짧은 엄지펴짐근의 힘줄이 1개인 경우는 76.5%(127례), 2개인 경우는 19.9% (33례) 그리고 3개인 경우는 2.4% (4례) 이였다. 3.오른쪽(83례) 과 왼쪽(83례)을 구분하여각 형의 출현빈도를 비교한 결과 별차이 없엇다. 4.남자(66례)와 여자(64례)를 구분하여 각형의 출현빈도를 비교한 결과 변이 형의 출현빈도가 남자에서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다. 5.74구의 시체에서 오른쪽과 왼쪽의 짧은 엄지펴짐근 힘줄의 닿는곳이 대칭인 경우는 75.7%(56구)이였다.

      • KCI등재후보

        Comparative Study of Retinal Tissues of Genus Zacco and Genus Pseudogobio in Korean Fish

        이무삼(Moo Sam Lee),임재원(Jae Won Lim)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1

        어류의 안구 모양은 종에 따라 다른 모양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사람과 비슷하고, 망막의 구조는 사람과 비슷하여, 바깥망막층(outer retina)과 속망막층(inner retina)으로 구분된다. 바깥망막층은 색소상피(pigment epithelium)와 시각세포층 (photoreceptors layer)으로 구분되며, 속망막층은 9개의 신경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어류의 망막은 종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시각세포를 갖거나, 다른 유형의 원뿔세포 모자이크 패턴 (cone mosaic patterns)을 보인다. 이 연구는 행동, 먹이 사냥 그리고 서식처가 다른 피라미속(genus Zacco)에 속하는 피라미(Z. platypus) 및 갈겨니(Z. temmincki)와 모래무지속(genus Pseudogobio)에 속하는 모래무지(P. esocinus) 어류의 원뿔세포의 종류 및 원뿔세포 모자이크 패턴을 비교하고, 환경에 따른 망막의 모양 차이를 좀더 잘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망막 조직은 파라핀 포매 후, 절편하고 H-E 염색하여 Fig. 1에서와 같이 부위별로 구분한 다음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수평절단관찰 결과 : 피라미와 갈겨니는 치밀한 열구조(row type)의 모자이크 패턴을 보였으며, 망막의 중앙에서 주변부위로 갈수록 원뿔세포들의 지름이 증가하였다. 갈겨니의 경우 동종이중원뿔세포(identical double cones)가 발달하였으나, 피라미에서는 이종이중원뿔세포 (non-identical double cones)와 단일원뿔세포 (single cones)가 발달하였다. 그러나 모래무지에서는 이종이중원뿔세포와 단일원뿔세포가 피라미속 어류의 원뿔세포보다 치밀도가 떨어지는 열구조와 불규칙한 배열(irregular type)을 보였다. 수직절단관찰 결과 : 피라미와 갈겨니에서는 속핵층(inner nuclear layer)이 주변부보다 중심부가 더 두껍게 발달하였으나, 모래무지의 경우 주변부의 속핵층이 중심부보다 더 두껍게 발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빠르게 흐르는 맑은 물 속에서 유영생활을 하면서 움직이는 수서곤충을 잡아먹는 갈겨니의 망막이 가장 선명한 해상력을 가졌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유속이 느린 맑은 하천의 모래바닥에 숨어 있다가 움직이는 수서곤충을 잡는 모래무지의 망막은 비교적 흐린 물에서도 서식하며 주로 부착조류를 먹는 피라미에 비해 선명한 해상력을 가졌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kinds and arrangement patterns of the cone cells were related to the kinds of behavior, prey and habitat in the species of genus Zacco and genus Pseudogobio. The retinas were observed by a light microscopy using H-E staining method. The cone cells of Z. platypus and Z. temmincki showed compact mosaic patterns of row type. Keep apart from the center, the diameters of the double and single cone cells were gradually increased. Z. temmincki developed the identical double cone cells, and Z. platypus developed the non-identical double and single cone cells. But, Pseudogobio esocinus constituted loose mosaic patterns of row and irregular types and developed the identical double cones and single cone cell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kinds and mosaic pattern of cone cells of Z. temmincki, feeding on a moving aquatic insects in relative limpid water and swift current, reflect the highest resolution among these three species. And the kinds and mosaic pattern of cone cells of P. esocinus, keep watching around in the sand ground and feeding on a moving aquatic insects in relative limpid water and gentle current, suggest that if has better resolution than those of Z. platypus feeding on mainly adhesive algae and some aquatic insects in slightly turbid water.

      • KCI등재

        내분비기관으로서의 심방의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무삼(LEE Moo-Sam),김홍(KIM Hong),고병문(KO Byoung-Moon),정우송(JEONG Woo-Song),박병건(PARK Byung-Keon),이장현(LEE Chang-Hyu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4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7 No.1

        간추림 토끼 고양이 돼지 및 사람의 latex 심방조형을 제작하여 심방내강의 형태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심방귀 조형은 여러 개의 가지 모양의 구조로 되여 있다. 고유심방의 조형은 한 개의 둥근 latex덩어리로 되어 있었으며 latex 덩어리로부터 나온 가지들은 2~3차에 걸쳐 다시 작은 가지로 나누어져 있고 가지의 표면에는 주름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맨 끝 가지는 손가락과 같은 몇 개의 구조로 갈라져 끝났다. 동물에 따라 오른쪽과 왼쪽의 심방귀의 조형은 일정한 모양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왼쪽은 오른쪽의 것보다 길고 잘 구분되는 가지 모양의 구조를 갖고 있어서 오른쪽과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부동스트레스(immobilization stress)가 심방근육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미세형태학적 관찰

        이무삼(Moo Sam Lee),송창호(Chang Ho Song),김형태(Hyung Tae Kim),한의혁(Eui Hyeog Han),이광소(Guang Zhao Lee),김완철(Wan Chul Kim),신해영(Hae Young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5 No.1

        간추림 부동스트레스 (Immobilization stress) 가 심방근육세포 마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2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움직일 수 없는 좁은 판에 넣어 부동스트레스를 준 다음 심방의 미세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부동스트레스 2시간군에서는 심방근육세포의 미세구조 변화가 별로 관찰되지 않았다. 부동스트레스 6시간부터 12시간군에서는 심방근육세포의 미세구조 중 특히 사립체, 근육원섬유, 과립의 위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부동스트레스 및 24시간군에서는 일부 세포가 6시간군보다 성한 변화 양상을 보인 반면 대부분의 세포는 6시간군에서 보다 약한 미세구조 변화를 보였다. 부동스트레스에 의한 심방근육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는 사립체의 팽대, 사립제능선의 파괴, 부분적인 세포질의 과립화, 말이집구조를 갖고 있는 소포, 심방근육세포의 세포자멸사, 사이원반 사이의 넓어짐, 근육원섬유의 용해, 큰 뭇소포체의 형성 등이었다. 2 부동스트레스 24시간군에서는 크기가 매우 작은 사립체들과 크기가 다양한 분비과립이 핵의 한 극 부위의 세포질 속에서 다수 관찰되었다. 3 부동스트레스 후 분비과립은 구심적으로 세포의 가운데로 몰려는 경향이었으며 이때 크기가 큰 파립의 전자밀도는 강했고 크기가 작은 과립의 전자 밀도는 약했다. 이상의 경과는 심방의 기능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앞으로 심방의 분비과립 동태를 연구하기 위한 모델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꿩(Phasianus colchicus) 비만세포의 조직화학적 특징과 미세구조

        이영훈(Young-Hoon Lee),김갑태(Gap-Tae Kim),한의혁(Eui-Hyeog Han),김형태(Hyoung Tae Kim),박병건(Byung Keon Park),이무삼(Moo Sam Lee),송창호(Chang Ho So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5

        꿩(Phasianus colchicus) 비만세포(mast cell)에 관한 조직화학적 특징과 미세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꿩의 혀(tongue)와 앞위(proventriculus), 돌창자(ileum), 파브리시우스주머니(fabricius bursa)의 조직을 10% 중성포르말린 용액 또는 카르노이 (Carnoy) 용액,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half-strength Karnovsky) 용액으로 각각 고정한 다음, 툴루이딘청 (toluidine blue) 또는 알시안청 (alcian blue), 콩고적 (congo red), 알칼리김자(alkaline Giemsa) 염색을 각각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비만세포를 관찰하였다. 또한 비만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부위를 절취하여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과 1% 오스뮴산으로 고정한 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색을 실시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된 모든 조직에서 4가지 염색으로 비만세포들을 관찰할 수 없었다. 카르노이 용액으로 고정된 일부 조직에서 비만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세포의 바깥 윤곽은 뚜렷하지 않았다.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으로 고정된 모든 조직에서 염색방법에 관계없이 비만세포와 세포질내 과립들이 잘 관찰되었다. 비만세포들은 대부분 난원형이었으나 삼각형, 방추형, 부정형도 관찰되었고 이들은 손가락모양의 세포질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전자현 미경적 관찰에서 일부 비만세포에서 세포소기관들은 잘 발달되어 있었고, 세포질내 과립들은 원형 또는 부정형이었고 막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과립안은 전자밀도가 높거나 낮은 망상형 또는 입자형, 스폰지형, 혼합형 구조들이었다. 꿩의 비만세포를 관찰하기 위 하여는 10% 중성포르말린이나 카르노이 용액을 이용한 고정 보다 절반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을 이용한 고정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scribes the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ultrastructure of mast cells from tongue, proventriculus, ileum and fabricius bursa, i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 compared the stainability of 4 different methods, toluidine blue, alcian blue, congo red and alkaline Giemsa, to stain mast cell granules from fixed pheasant organs in three different fixatives,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Carnoy’s solution or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Mast cells in all experimental organs were not stained with 4 different staining methods after fixation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but well stained in fixed organs with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The mast cells had many metachromatic granules stained with toluidine blue or alkaline Giemsa and orthochromatic granules stained with alcian blue or congo red in tissues fixed in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In electron microscopy, pheasant mast cells were oval, triangular, spindle-like or irregular and had a few finger-like cytoplasmic processes. There were the membrane-bounded secretory granules and the well-developed organelles in mast cells. Internal large granules were oval or irregular, and had variable shape; some higher or lower electron density with homogeneous appearance; some had a particular appearance, and a few showed reticular or spongy-like structure. This indicates that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or Carnoy’s fixation may be inadequate for detection of mast cells in pheasant, whereas the half-strength Karnovsky’s fixation provides metachromatic or orthochromatic staining of mast cell granules.

      • KCI등재

        상백피 추출물 중의 항알러지 활성 성분의 분리

        이은주(Eun Ju Lee),채옥희(Ok Hee Chae),이무삼(Moo Sam Lee),이헌구(Hern Ku Lee),허훈(Hoon Huh) 대한약학회 1998 약학회지 Vol.42 No.4

        Mori Cortex Radicis, the root bark of mulberry tree,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and other lung diseases in traditional medicine. There was a recent report that the water soluble part with molecular weight of above 10,000 has anti-allergic activity. Therefore, we intended to isolate and purify the anti-allergic compound from hot water extract of the Mori Cortex Radicis. Crude extract of Mori Cortex Radicis was prepared by hot-water extraction, and anti-allergic compound was further purified by alcohol precipitation, successive ultrafiltr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is compound had homogeneity which was shown by the sharp single peak in HPLC chromatogram (TSK-GEL(G) G400OPW column, RI detecto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und was estimated as 23Kda on the basis of calibration curve plotted against protein standards. This compound was identified as complex of sugar, protein and lignin (19.2: 5.9: 72.7), and proteolysis could not decrease the anti-allergic activity but mild delignification decreased the activity remarkably.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anti-allergic compound of Mori Cortex Radicis was a lignin-carbohydrate compl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