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 부정맥 모니터의 개발(II)

        이명호,안재봉,박장춘,Lee, Myoung-Ho,Ahn, Ja-Bong,Park, Jang-Choo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89 의공학회지 Vol.10 No.3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portable arrhythmia monitor and associated algorithm for automated diagnosis based-on microcomputer in the ambulatory ECG recording, analysis, and transmitting to a hospital host computer immediately through the telephone system. The device differs from Molter recorder in that it does not store normal ECG signals but captures and alarms the ECG during suspected abnormal periods and selected temporal epochs to a central hospital site. This porta file arrhythmia monitor makes use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and software will be changed to meet the custom requirements of individual physicians and patients. At present it is very obvious that each cardiologist has his own method of analyzing ECG recordings and utilizes past experience more than the firm quantitative analysis of data.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불교 기반 인권의 필요성과 그 의미 - 플랫폼 노동을 둘러싼 새로운 갈등을 중심으로 -

        이명호 ( Lee Myoung-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1 禪文化硏究 Vol.31 No.-

        코로나19로 야기된 사회변화 중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은 것은 비대면 생활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상생활 곳곳에 ICT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생활은 시민권을 획득하였다. 그 중심에는 디지털 플랫폼이 있다. 초기에는 디지털 플랫폼이 온라인 공간과 이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관계망을 활용하여 ‘공유경제’를 실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시대 /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즉 ICT 기술을 활용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존재하는 시·공간의 한계를 허물고, 오프라인에서 자유로운 소통과 교류, 공감을 방해하는 다양한 장애물을 무력화할 것이라 기대되었다. 디지털 플랫폼은 혁신의 상징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 디지털 플랫폼은 여러 사회문제와 사회갈등의 원인으로 비판받고 있으며 갑질과 불공정의 상징이 되었다. 이러한 반전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디지털 플랫폼은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이어주지 못했다. 관계를 단절시키고 사람들을 단자화시켰다. 그로 인해 나타난 현상 중 하나가 아파트 입주민과 배달 노동자들 사이의 갈등이다. 이 두 집단은 배달이라는 일거리로 연결되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재 플랫폼 노동의 구조에서 이들 사이에는 커다란 해자(垓字)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은 ‘안전권’을 이유로 충돌하고 있다. 인권이 개체 – 지향적으로 이해되는 환경에서 분리되고 단절된 이들의 인권은 서로 관계 맺지 못하고 원자처럼 충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권충돌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분리되고 단절된 관계에서 비롯되는 갈등 해결을 위해 불교 기반 인권 개념을 검토하였다. Among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COVID - 19, the one that people have been most affected by is non - face - to - face life. Face - to - face life is increasing again with the transition to With Corona, but non - face - to - face life using ICT technology in everyday life is still kept. At the core of it is a digital platform. In the early days, it was expected that digital platforms would realize the ‘sharing economy’ by using the online space and the relationship network formed through that, thereby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the new era / society. In other words, it was expected that the use of ICT technology would break down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at ex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eutralize various obstacles that hinder free communication, exchange, and empathy in real society. Digital platforms have become symbols of innovation. However, at present, platform companies are criticized as the cause of various social problems and social conflicts, and have become a symbol of gap - jil(power harassment) and unfairness. What is the cause of this reversal? Digital platforms have not been able to bridge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t cut off relationships and separated people into the individual. One of the resulting phenomena is the conflict between apartment residents and delivery platform workers. The two group seem to be connected by tasks called delivery, but there is a large moat between them in the current structure of platform labor. And they are in conflict over the ‘right to safety’. This is because the human rights of those who are separated and disconnected in an environment where human rights are understood in an individual - oriented way, do not relate to each other and collide like an atom. These human rights conflicts are likely to occur more frequentl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Buddhist relationship - oriented concept of human rights to resolve conflicts arising from disconnected and separated relationships from this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한국사회의 ‘관계윤리’ 다시 생각하기 : 동양사상의 ‘중(中)’을 중심으로

        이명호(Lee, Myoung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관계를 잘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덕목이다. 이 덕목들은 관계에 참여하는 행위주체의 도덕적 완성을 지향한다. 즉 한국사회의 윤리적 전통에서 “어떤 사람이 좋은 사람인가”라는 질문은 도덕 실천을 위한 관점과 전략을 집약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과 전략은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 이 관점과 전략이 실패하고 있음을 높은 자살률과 그 이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제는 ‘이상적 인격’을 묻는 질문 대신에 “어떤 관계가 좋은 관계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최근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사이의 관계윤리,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관계윤리, 조직 내에서의 관계윤리 등 특정하고 구체적인 관계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관계에 관한 윤리적 관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연구자는 이처럼 관계에 대한 윤리적 관심과 전략의 부재가 한국사람들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하나의 사회문제로 규정하고 실천의 차원에서 이 문제를 다룰 것을 제안한다. 이는 예의범절로 상징되는, 인간관계에 적용되는 관습이 확고한 한국의 문화를 고려하면 매우 어색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적용되는 윤리규범과 그 적용방식,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관찰되는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정리하였다. 또한 현대 한국사회에서 관찰되는 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 ‘관계윤리’의 대안을 제시하려 노력하였고, 그 과정에서 연구자는 루만의 도덕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도덕은 사회가 기능분화사회로 이행하면서 독립된 기능체계를 형성하지 못했고, 사회를 통합하는 기능을 상실하였다. 도덕은 각 기능체계의 작동을 보장하는 조건에서 부수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하지만 이는 도덕의 기능 상실 혹은 폐지를 뜻하지는 않는다. 도덕은 여전히 상호작용을 성립시키고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기능체계들의 구조적 조건들에 따라 작용한다. 그리고 도덕을 경험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관찰과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루만의 윤리론에 기초하여 ‘좋은 관계’란 관계 그 자체에 집중하는 ‘중(中)’에 기초하고 ‘중’이 실현된 관계라고 주장할 것이다. In Korean society,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re very important. Maintaining and managing relationships well is an important virtue. In the ethical tradition of Korean society, the question “Who is a good person?” is very important. And people try to have the virtues of a good person. These ethical perspectives and strategies are still valid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failure of these ethical perspectives and strategies is confirmed by the high suicide rate and the reasons for it. Now, instead of asking the question of “ideal personality,” we have to ask the question,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good relationship?” Recently, the interest about in specific relationship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and research subjects,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and relationship ethics within organizations is increasing. However, the interest about the Ethics of Relation is still lacking. I suppose that this lack of ethical interest and strategy for relationships is the reason why Koreans hav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recognizes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social problem and proposes to deal with this problem in terms of practice. In this study, code of ethics applied to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ts application methods an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observed in Korean society are summarized. In addition, I tried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relational ethics’, and Luhmann’s Theory of Morality was briefly summariz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Lastly, among the various values of the East Thoughts, it was focused on the “Middle Path” and suggested “good relationship”.

      • KCI등재
      • 불교 승가를 통해 본 기본소득의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이명호(Myoung-ho L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기본소득 논의 배경에는 신자유주의 정책의 전면화 이후 심화한 불평등과 4차 산업혁명으로 인간의 일자리를 신기술이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지급된 재난지원금의 경험 등이 섞여 있다. 때문인지 기본소득에 대한 이해는 지금 당장 시행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부터 오히려 불평등을 악화시킨다는 입장까지 그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 이러한 넓은 스펙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소득의 개념에 대해서는 일정한 합의가 존재한다. 즉, 기본소득은 재산이나 소득의 많고 적음, 노동 여부나 노동 의사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균등하게 지급되는 소득이다. 이러한 기본소득에 대해 불교계의 관심은 비교적 높다. 그리고 논의의 방향이 아직은 승가 내 기본소득제도 실현을 지향하고 있지만, 제도 실행 경험과 관련 담론이 축적되면 논의 방향이 사회를 향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추측은 불교에는 기본소득에 관한 철학적 기반과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제도적 기반, 역사적 경험을 갖추고 있다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다. 불교의 오랜 역사를 검토하면, 공동체의 자산을 공유하여 구성원들의 실질적 자유를 보장하고, 이를 통해 깨달음의 추구와 자비실천이라는 출가자의 본분에 충실하도록 설계된 공동체를 유지한 역사적 경험과 이를 위한 정당화 근거 및 실현을 위한 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 역사적 경험을 ‘정책실험’의 관점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즉, 기본소득의 전면적 실행을 위한 정책실험으로 승가의 역사적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모든 구성원에게 ‘협상력’을 제공하여 시민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기본소득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There are various backgrounds for the discussion of basic income. The reasons for the debate on basic income are deepening inequality after the expansion of neoliberal policy, the prospect that new technologies will replace human jobs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Disaster Relief Fund paid in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basic income has a vast spectrum, from the position that it can be implemented immediately to the position that it will worsen inequality. Despite this broad-spectrum, there is some consensus on the concept of basic income. Most people understand basic income as “income that is paid equally to all members of society individuall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ve a lot of wealth or income, whether they work or not.” The Buddhist community's interest in such a basic income is relatively high. The content of the basic income discussion in the Buddhist community is still aimed at realizing the basic income system within 'sangha [the monastic community of bhikkhus (monks) and bhikkhunis (nuns)].' However, if experience and related discourses on system implementation are accumulated, the content of the discourse is highly likely to be converted to the goal of realizing a basic income in Korean society. This conjecture is based on the idea that Buddhism has a philosophical basis for basic income,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realization of basic income, and historical experience. Examining the long history of Buddhism, there are possible to confirm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maintaining the community designed to share the community's assets to guarantee 'real freedom' of its members and to be faithful to the mission of the monks, the pursuit of enlightenment and the practice of mercy. Along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 the legitimacy of the system and system for community operation can be confirmed. The researcher intends to reconstruct this historical experience from the 'policy experiment' perspective. In other words, as a policy experiment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basic income,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sangha is examined. Through this, we try to understand the value of basic income, which provides 'negotiating power' to all members to protect the rights of citizens.

      • KCI등재

        갈등전환의 토대로서 허응 보우의 불이사상 검토

        이명호 ( Lee Myoung-ho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1

        이 논문은 보우의 사회활동과 활동의 근거가 된 불이사상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갈등전환의 관점에서 보우의 활동과 사상을 분석하였고, 현대 한국사회에서 그의 사상을 갈등전환이론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는 무엇인지도 검토하였다. 보우는 불이사상에 기반한 갈등전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계전환을 통해 유교와 불교의 갈등, 선종과 교종의 갈등을 극복하려 하였다. 비록 그의 시도는 실패하였지만, 그의 활동과 사상을 재해석하고 재구조화한다면 오늘날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갈등전환이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연구자는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보우의 사상을 인간론-수행론-사회론의 체계로 재구성하였다. 일정론은 본성의 차원에서 모든 인간이 동일하다고 주장하는 인간론으로, 일체론은 갈등하는 세력들의 화합을 추구하는 사회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우 불이사상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정론은 갈등당사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보다 근원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를 소통과 협의, 타협의 근거로 활용하려는 이론적 근거로 재해석할 수 있다. 동양의 철학과 종교들은 인간의 본성은 자연의 본성을 담고 있다는 주장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고 소통과 협의의 근거로 삼는다면 모든 사람은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하는 존재로 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둘째, 일체론은 공동체를 강조하는 동양사회의 오랜 전통에 부합하는 갈등전환이론이다. 사회에 만연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일체론적 관점에서는 다양성과 함께 동질성에도 주목한다. 현대사회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에 부합하게 집단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대립하는 세력/집단들이 근원적인 정체성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서로를 포용하고 차이를 줄일 것을 제안한다. 갈등 관계에 있는 세력들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공통점을 찾고, 이를 갈등전환, 즉 관계전환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빈곤층과 중·상층, 보수와 진보, 근로자와 고용주, 수도권과 지방, 개발과 환경보존, 노인층과 젊은 층, 남자와 여자, 종교, 내국인과 외국인, 성적 지향 등과 같이 남들과 구분되는 정체성을 토대로 하는 관계를 갈등당사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보다 근원적인 정체성을 토대로 하는 관계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과 사회를 매개하는 수행은 공동체에서 소외받고 상처 입은 사람을 치유하여 사회로의 복귀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interest in Bowoo’s social activities and his thought.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is activities and though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flict transition and to see how they can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today. For this purpose, the Bowoo’s theory were reconstr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nature, ‘the one rights theory’(一正論) is claimed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Therefore, this theor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nflict transformation. ‘The consensus theory’(一體論)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theory pursuing the harmony of two conflicting forc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Bowoo’s ‘non-dualism’ (不二思想). First, the one rights theory can be reinterpreted as the idea of the underlying identity shared by the parties to the conflict. It is because human beings can accept each other as beings who share the same identity based on the claim that human nature contains nature’s nature. Second, the consensus theory is a conflict transformation theory that correspond with the Asian tradition that emphasized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the widespread conflict in society, the consensus theory suggests that conflict parties must recognize d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embrace each other and reduce differences based on human homogeneity. It is to find common ground that both powers can recognize and use it as the starting point for conflict transitions. Finally, the practice of mediating individuals and society can be actively understood as a program that helps to return to society by healing alienated and wounded people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