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의 관련성에 대하여 -故 전영래 선생의 백제부흥운동 연구를 중심으로-

        이다운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9 馬韓, 百濟文化 Vol.34 No.-

        In this paper, a research was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seong(水城) that was constructed as part of defense system fo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n Jeongeup and Buan, and the Mizuki (水城) that was built in preparation for invasion of Shilla-Tang allied forces against Dazaifu (太宰府) area of Japan, based on the map which the late Mr. Yeongrae Jeon presented for compiling a report on the ancient mountain fortresses in Jeonbuk area. Mizuki, Ono Castle (大野城) and Kii Castle (基肄城) were built all in Kyushu in northern Japan for defending the government office Dazaifu afte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ended in failure following the defeat of the battle at Baekgang-gu in 663. According to 『Nihon Shoki (日本書紀)』, Ono and Kii Castles were built in 665 by Dalsol Eokryebokryu and Dalsol Sabibokbu who were Baekje's high officials. The Mizuki constructed in 664 was also presumed to have been built by Bekje’s migrants. Such defense system as this is confirmed in Jeongeup and Buan, too, the fiercest battle place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t includes Ugeum Mountain Fortress which is equivalent to Juryu Fortress, Gosaburi Fortress which is equivalent to Jungbang Fortress and Suseong. Just as Mizuki was built to defend Dazaifu, the Suseong was also constructed to defend Jungbang Fortress. This way of presumption entails the premise that this was a fierce battle place fo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Yeongrae Jeon earlier compared Ugeum Mountain Fortress to Juryu Fortress and Dongjingang River to Baekgang River. In particular, high-quality convex tiles made by the tile making technology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was rarely seen in the province were unearthed from the site of Gocheonglim Temple, adjacent to Ugeum Mountain Fortress, supporting the view that Ugeum Montain Fortress was Juryu Fortress. Baekje divided the provinces into five Bangs and dispatched to each Bang an official titled Dalsol which corresponded to the rank of ministerial office. This seems to be 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Baekje migrant who constructed the defense system of Dazaifu was a Dalsol. That is, it is highly likely that Dalsol, the provincial minister of Jungbang Fortress, applied his experiences of constructing the defense system during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to Dazaifu as well. 본고에서는 故 전영래 선생이 전북의 고대산성조사보고서를 편찬하면서 제시한 지도에 기초해 정읍・부안 일대의 백제부흥운동 관련 방어체계와 일본 다자이후(太宰府) 일대에 나당연합군의 침략에 대비해 구축한 방어체계 속에서 나타나는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를 중심으로 그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663년 백강구 전투의 패전으로 백제부흥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일본 북부 규슈에 쌓은 미즈키, 오노 성(大野城), 기이 성(基肄城)은 모두 다자이후라는 관청을 지키기 위해 쌓은 방어시설이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오노 성과 기이 성은 백제의 고관이었던 달솔 억례복류와 달솔 사비복부가 665년에 축조하였는데, 664년에 축조한 미즈키도 백제 유민이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어체계는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 정읍・부안에서도 확인된다. 바로 주류성에 해당하는 우금산성, 중방성에 해당하는 고사부리성, 그리고 수성 등이다. 미즈키가 다자이후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듯이 수성도 중방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다. 이러한 추정에는 이곳이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라는 전제 조건이 뒤따르는데 전영래는 일찍이 우금산성을 주류성, 동진강을 백강에 비정하였다. 특히 우금산성에 인접한 고청림사지에서는 지방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중앙의 기와 제작기술로 만든 양질의 수막새가 출토되고 있어 우금산성이 주류성에 해당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백제는 지방을 5방으로 나누고 장관직으로 달솔의 관등을 가진 자를 파견하였다. 다자이후의 방어체계를 구축한 백제 유민도 관등이 달솔이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즉 중방성의 지방장관 달솔이 백제부흥운동 시기에 구축하고 경험한 방어체계를 다자이후에 적용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후보

        익산 쌍릉의 세계유산 추가등재 전략-일본 사례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서-

        이다운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7 馬韓, 百濟文化 Vol.29 No.-

        In July 2015, the Baekje Historic Areas were listed in the World Heritage site. The Baekje Historic Areas consist of eight heritage sites: the Gongsanseong fortress and the royal tombs at Songsan-ri in Gongju, and the Busosanseong fortress and Gwanbuk-ri Administrative buildings, the Jeongnimsa Temple, the royal tombs in Neungsan-ri and the Naseong city wall in Buyeo, and the Wanggungni Historic Site and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It was the 12th nomination in Korea and the first among the cultural heritages of Baekje to the World Heritage site. However, it was very unfortunate that the Iksan Twin Tombs, which is presumed to be tombs of King Mu and his queen, was not included in the list. There are similar examples of additional nomination to the World Heritage site in Japan, which has similar historic, cultural background to Korea. Iwami Ginzan Silver Mine and its Cultural Landscape were successfully nominated through minor modifications to the boundaries. Hiraizumi Temples, Gardens and Archaeological Sites Representing the Buddhist Pure is in process for additional nomination through significant modification of the boundaries. According to the cases in Japan, there are possible ways to add the Twin Tombs to the existing Baekje Historic Areas through minor and significant modification of the boundaries and modification of the title, and others. In most cases of minor modification of the boundaries, however, it is about the buffer zone expansion of the existing World Heritage site.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win Tombs is subject to major modification rather than minor modification. If so,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Guideline of the World Heritage, the Twin Tombs must follow the same process as a new nomination. In that case, it is advisable to nominate not just the Twin Tombs, but additional nomination with other historic sites included, which were ruled out when the Baekje Historic Areas was nominated, to raise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the Baekje Historic Areas. 2015년 7월 공주의 공산성・송산리 고분군, 부여의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정림사지・능산리 고분군・나성, 익산의 왕궁리유적・미륵사지, 총 8개의 유산으로 구성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한국에서는 12번째 세계유산이며, 백제의 문화유산 중에서는 처음으로 등재된 세계유산이다. 그러나 백제 무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추정되어 온 익산의 쌍릉이 제외되었다는 점에 있어서는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한국과 역사・문화적으로 밀접한 일본의 세계유산은 ‘이와미 은광과 문화적 경관’과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이 등재범위의 경미한 변경으로 추가등재에 성공하였고, ‘히라이즈미-불국토를 구현한 건축・정원 및 고고학적 유적군’처럼 등재범위의 중대한 변경으로 추가등재를 추진하고 있는 세계유산도 존재한다.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면, 쌍릉은 기존의 백제역사유적지구에 ‘등재범위의 경미한 변경’, ‘등재범위의 중대한 변경’, ‘등재명칭 변경’ 등의 방법으로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경미한 변경의 대부분 사례는 이미 등재된 세계유산의 완충지대 등을 확장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새로운 유산을 추가하는 쌍릉의 경우는 경미한 변경보다 중대한 변경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경우 세계유산 운영지침 제165조에 따라 신규등재와 동일한 절차를 밝아야 한다. 그렇다면 쌍릉만이 아니라 세계유산 등재 시에 제외된 다른 유적들과 함께 추가등재함으로써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완전성과 진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집단 동기강화 순응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약물에 대한 태도와 약물복용 자기효능감 및 약물복용 이행에 미치는 효과

        이다운,김성재 한국정신간호학회 2017 정신간호학회지 Vol.26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Group Motivational Interviewing Compliance Therapy on drug attitude,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and medicine application in psychiatric patients. Methods: This was a quasi- 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43 patients (22 in experimental group and 21 in control group) who were registered at neuro-psychiatric day care center in one university hospital, S cit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Group Motivational Interviewing Compliance Therapy for 6 sessions over 6 week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2014 and September, 2016. Comparison of the pre-post results was performed by paired t-test and between-group effect was analyzed by ANCOVA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drug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and medicine appl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Group Motivational Interviewing Compliance Therapy is suggested as a promising program that helps psychiatric patients improve drug attitud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Group Motivational Interviewing Compliance Therapy.

      • KCI등재

        고대일본의 백제불교 전개와 정치변동-사찰 창건을 중심으로-

        이다운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6 No.-

        The ancient countries in East Asia accomplished the unification of thought,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and developed their cultures through Buddhism. This was also true of the three kingdoms in ancient Korea. Like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ncient Japan made most of Buddhism in order to strengthen or restore the power of the kings and ruling classes. It was Baekje that propagated Buddhism into Japan. The Soga clan played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Buddhism in Japan, which was why King Wideok of Baekje sent a group of architectural craftsme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oga clan’s Asuka-dera, the first temple of Japan. Henceforth, the Soga clan actively took advantage of Baekje Buddhism to show that it was pro-Baekje, and assumed the reins of government. Prince Shōtoku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Baekje Buddhism in Japan. Although he lost his hegemony over Baekje Buddhism to the Soga clan, Shitennō-ji and Ikaruga-dera founded by him followed Sangharama of Baekje more faithfully than the Soga clan’s Asuka-dera. It is assumed that Prince Shōtoku tried to emphasize Baekje Buddhism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using different ways from the Soga clan. Baekje-daesa was the temple which the emperor of Japan first founded. Emperor Jomei built the largest temple of the time and named it ‘Baekje’ in order to check the unlimited power of the Soga clan and restore royal authority. Todai-ji is the temple which houses the biggest statue of the Buddha in Japan. The temple was founded by Emperor Shōmu, who wanted to save the country from political chaos, plague and famine. It is presumed that the emperor employed a lot of descendants of Baekje in order to construct the temple, hoping to overcome the crisis by using the power of Baekje Buddhism. 동아시아 고대국가는 불교를 통해 사상적 통일과 왕권 강화,그리고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다. 한반도의 고대 삼국도 예외는아니었으며 고대일본도 다른 주변국과 마찬가지로 왕과 지배층의 권력을 강화 또는 회복하는데 불교를 적극 활용하였다. 일본에 불교를 전해준 나라는 백제이다. 소가씨는 백제불교를 정착시키는데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일본 최초의 사찰인 소가씨의 아스카데라 창건을 위해 백제 위덕왕이 공인집단을 파견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후 소가씨는 친백제를 강조하기 위해 백제불교를 적극 활용하였고 그 결과 최고의 권신이되어 정치를 장악하였다. 백제불교를 정착시킨 또 다른 주역은 쇼토쿠태자이다. 쇼토쿠태자는 소가씨에게 백제불교에 대한 주도권을 상실했지만 그가 창건한 시텐노지와 이카루가데라는 소가씨의 아스카데라 보다 백제의 가람배치를 더욱 충실히 답습하였다. 소가씨와 차별화한 방식을 채택하여 백제불교를 강조하고 왕실의 권위를 세우고자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백제대사는 일본 천황이 최초로 창건한 사찰이다. 명칭을 ‘백제’로 정하고 ‘대사’에 상응하는 당대 최대의 사찰을 창건한 이유는 전횡을 일삼던 소가씨를 견제하고 왕권을 회복하려는 죠메이천황의 의도에 있다. 도다이지는 일본 최대의 불상을 안치한 사찰이다. 쇼무천황이 정치적 혼란에 역병과 기근까지 덮친 불안정한 사회정세를 불교를 통해 회복하고자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에 백제인의 후예를 대거 등용한 이유는 백제불교의 힘을 다시 빌려 난국을 극복하고자 했던 쇼무천황의 정치적 판단에 의한 것으로이해된다.

      • KCI등재

        영화 <기생충> 연구 - 희비극으로 재현한 계급 공존의 불가능성

        이다운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inematic aspect of the film <Parasite> that reenacted how class affects human lives in an elaborate and unconventional manner and also the meaning that is conveyed to the contemporaries. Class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that is emphasized as the foundation of films by Director Bong Joon-ho, and he has reenacted the issue of class in various ways. However, the film <Parasite> displays distinction from other films directed by Director Bong Joon-Ho by the fact that it inclines on realism and plainly investigates the topic, class, in ways that penetrates into the personal lives of South Koreans in the same period. <Parasite> visually shows the circumstances of class through characters that live in different spaces like semi-basement, mansion, and basement. Amongst them, Ki-taek and Geun-se's families are the ruined middle class and precariat, neglected laborers in other words, and they are parasites in the mansion owned by Mr. Park, who is the upper class, and live as 'worms.' The film contrastively displays the aspect of the upper class that is more gentle than expected and the lower class that gives up on reputation and ethics for survival. At the same time, it identifies situations where class even influences the trivial aspects of people's lives. Moreover, it clearly reveals the fact that altruism and solidarity are not fitting for precariats, who struggle to survive, and also situations where capital assets turn humans into monsters. The film <Parasite> does not present a happy ending to anyone, and implies that the problem of class cannot be easily solved. However, while <Parasite> expresses the reality of the society in South Korea, it alerts those who have lived the lives as 'worms' or have no other choice but to live that kind of life. In conclusion, <Parasite> holds significance because it reconsiders the society, where a sense of defeat and humiliation from class are prevalent, and also an unfortunate society, where people target on those in the same class for survival. 본고는 계급성이 인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섬세하지만 파격적으로 재현한 <기생충>의 영화적 존재 양상과 그것이 동시대인들에게 던지는 의미를 함께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계급성은 봉준호 감독 영화의 근간을 가로지르는 주요한 문제 중 하나로 그는 다양한 방식으로 계급 문제를 재현해 왔다. 그런데 <기생충>은 리얼리즘에 기대어 동시대 한국인의 사적인 삶을 파고드는 방식으로 계급성을 노골적으로 파헤친다는 점에서 여타 봉준호 감독 영화와 차별성을 보인다. <기생충>은 반지하와 저택 그리고 지하실이라는 공간에 귀거하는 인물들을 통해 계급적 정황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그중 기택과 근세 가족은 몰락한 중산층이자 소외된 노동자인 프레카리아트로 이들은 상류 계급인 박사장 저택에 기생하며 ‘충’의 삶을 살게 된다. 영화는 생각보다 젠틀한 상류 계급과 생존을 위해 체면과 윤리를 방기한 하류 계급의 양태를 대조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계급성이 삶의 사소한 부분에까지 영향을 주는 상황을 목도하게 한다. 또한 생존에 내몰린 프레카리아트는 이타심이나 연대감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과 자본이 인간을 괴물로 만드는 정황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기생충>은 누구에게도 행복한 결말을 선사하지 않음으로써 계급 문제가 쉽게 해결될 수 없는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기생충>은 한국 사회의 현실을 모사하는 동시에 ‘충’의 삶을 살아왔거나 살 수밖에 없었던 이들에게 경종을 울린다. 다시 말해 <기생충>은 계급적 패배감과 모멸감이 만연한 사회 그리고 생존을 위해 같은 계급을 겨냥하는 불운한 사회를 다시 한번 재고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역시간 구조보정을 활용한 해저 기포플룸 영상화 연구

        이다운,정우근,김원기,배호석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3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6 No.1

        Various sources, such as wind, waves, ships, and gas leaks from the seafloor, forms bubbles in the ocean. Underwater bubbles cause signal scattering, considerably affecting acoustic measurements. This characteristic of bubbles is used to block underwater noise by attenuating the intensity of the propagated signal. Recentl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the large-scale release of methane gas as bubble plumes from the seabed. Understand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bubble plumes is crucial for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leaked methane gas and climate change. Therefore, a water tank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bubble plumes using seismic imaging techniques and acoustic signals obtained from artificially generated bubbles using a bubble generator. Reverse time migration was applied to image the bubble plumes while the acquired acoustic envelope signal was used to effectively estimate bubble distribution. Imag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optical camera images to verify the estimated bubble distribution. The water tank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ystem could successfully image the distribution of bubble plumes using reverse time migration and the envelope signal.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scattering signal of artificial bubble plumes can be used for seismic imaging. 해양 환경에서의 기포는 바람, 파도, 선박 및 해저 가스 누출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생성된다. 수중에서의 기포는 강력한 산란 신호 를 생성하여 음향 신호를 측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기포의 특성은 음파 신호의 세기를 감쇠시켜 소음 차단 목적으로 주로 이용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저에서 대규모로 누출되는 메탄가스 탐지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 누출은 기포플룸의 형태 를 취하며, 기포의 물리적 특성과 분포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누출된 가스를 기후 변화와 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파 영상화 기법을 이용하여 기포플룸의 분포를 추정하고자 수조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별도로 제작된 인공 기포 발생기, 자료 취득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포에 의한 음향 신호를 취득하였다. 기포플룸을 영상화하기 위해 지진파 영상기법 중 역시 간 구조보정을 이용하였으며, 획득한 음향 신호의 포락선 신호를 이용하여 기포 분포 패턴을 효과적으로 추정하였다. 영상화 결과의 검 증을 위해 추정된 기포플룸의 분포와 광학카메라 영상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탄성파 영상화 기법 통해 인공 기포플룸의 산란신호를 이 용한 영상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박찬욱 영화의 염세주의적 세계관 연구

        이다운 문학과영상학회 2019 문학과영상 Vol.20 No.1

        Director Park Chan-wook has secured unparalleled oeuvres comprising stylish and provocative films. His shocking narratives and florid mise-en-scene represent a chaotic world. Notably, shuttling between anxiety and rapture, Park’s films converge on a pessimistic view of the mankind and the world. Ranging from his debut film to his latest one, most of his pieces have stuck to a mood of pessimism that the world is replete with agonies. With the agonies haunting people, they fall victim to those agonies or inflict them on the world. The rule of causationism fails to apply to the world whilst even the God will not demonstrate any willingness to redeem the mankind. Thus, Park’s films have formulated a pseudo-message that all men are destined to undergo tragedies given to them.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essimistic world view, Park’s characters are transformed into monsters dashing into an irreversible and unredeemable state of misery.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pessimistic attributes characterizing Park’s films summon up some primordial skepticism and extreme despair about the mankind and the world. Nevertheless, Park’s films also carry a paradoxical message that ‘one should turn over a new leaf even in the face of hopelessness,’ leading the audience to a paradoxical position, where they ruminate over the humans and the world via extreme tragedies.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텔레비전드라마—<너도 인간이니?>를 중심으로

        이다운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4

        포스트휴먼(post-human)이란 인간(human) 이후(post)의 인간, 다시 말해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 및 현재의 인간과는 전혀 새로운 삶을 살게 될 새로운 인간을 총칭하는 말이다. 인간은 죽음을 향하는 존재라는 하이데거의 명제가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을 포스트휴먼 시대는 호모사피엔스가 축적해 온 사유와 정체성이 폐기될 수 있을 만큼의 대변혁을 예고한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사회에서는 ‘알파고 쇼크’ 이후 인공지능과 4차산업에 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었고, 텔레비전드라마에도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이 본격화되기 시작한다. 그중에서도 <너도 인간이니?>는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이 한국 사회에 출현한다면 어떠한 상황이 발생할 것인가를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보여준다. <너도 인간이니?>는 인간다움의 속성을 보존하며 진짜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다움의 속성을 부인하며 타락해 버린 인간들을 대조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인간다움’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너도 인간이니?>는 욕망과 자발적 의지를 확보한 ‘기계-인간’을 어떻게 대우해야 하며 그들과 공존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탐색해 나간다. 결론적으로 <너도 인간이니?>는 인간의 형상을 하고 인간의 마음까지 학습하는 ‘기계-인간’이 출현한다면 그들을 기계로만 치부할 수는 없으며, 그들에게 인간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지위를 부여해야 함을 피력한다. 더불어 ‘기계-인간’과 진실한 사랑을 나누는 인간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 유기체와 제조된 존재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타자와의 연대를 권유하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주체를 보여준다. 즉 <너도 인간이니?>는 인간만이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견고한 관념을 파기하는 횡단적 주체성을 제시함으로써 포스트휴먼시대를 위한 사유의 방향성을 지시한다.

      • KCI등재

        물리 기반 자유후류 모델링을 통한 소형 무인기용동축 로터 블레이드의 최적 설계

        이다운,홍윤표,박준휘,이관중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22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27 No.4

        Coaxial rotors can generate high thrust with a small aircraft volume, which makes them an attractive configuration for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particularly for hovering and low-speed flights. However, the aerodynamic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otors makes it more challenging to predict design trends for aerodynamic performance. Three-dimensional compressible unstead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3D URANS) solver can be a suitable choice, however, it requires burdensome computational cost for design optimization. One alternative that can alleviate the computational burden of design optimization with little loss of accuracy is lifting-line theory coupled with a free-wake method. Although the free-wake method provide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modeling the wake effects, a well-adjusted wake model can provide an accurate prediction of aerodynamic performance and design trends. In this study, the free-wake model has been adjusted to correlate the aerodynamic environment, such as sectional thrust, induced velocity, the effective angle of attack, and wake geometry, predicted by the 3D URANS simulation for the baseline coaxial rotor. By adjusting the physical model parameters of free-wake, such as core type, growth rate, and its initial strength, the free-wake model is adjusted based on the physical relationship, not the simple linear scaling factor generally used to inflow factor. The optimal coaxial rotor was derived based on the performance prediction of the adjusted free-wake model. The 3D URANS simulation was also conducted for the optimal coaxial rotor and compared the aerodynamic environments predicted by the adjusted freewake model. The performance index and aerodynamic environments predicted by both solvers also showed similar results for the optimal coaxial rotor. The present physics-based freewake adjustment can be an efficient design approach with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aerodynamic phenomena of a coaxial rotor system.

      • KCI등재

        Replantation of the Completely Amputated Adult Penis: Two Case Reports Using Microsurgical Technique

        이다운,홍석원,김준혁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4

        Traumatic penile amputation is a rare but catastrophic event, so all possible attempts should be made for salvage. Recent use of microsurgical methods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complications, but to date, most reported surgical successes have focused on survival and were not complication-free. To restore baseline penile function, normal anatomic structure must be re-established. We have attained flawless anatomic replantation of the adult penis and describe two case reports where complications were eliminated by a microsurgical approach. One patient was a 38-year-old schizophrenic, and the other was a 43-year-old chronic alcoholic. Under microscopy, normal function and aesthetics were restored, without com-plications. Rather than viability, the most critical issue is a return to normal status. Microsurgical replantation is thus the treatment of choice in instances of penile amputation, and is aimed at restoring normal anatomy and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