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약에 의한 급성 신부전 후 동시 발병한 급성 심근경색과 위궤양 출혈

        기운 ( Ki Woon Kang ),이경진 ( Kyung Jin Lee ),윤현수 ( Hyeon Soo Yoon ),조용수 ( Yong Soo Cho ),김시범 ( Si Bum Kim ),이상 ( Sahng Lee ),정성희 ( Sung Hee Jung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3

        Acute renal failur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and gastric ulcer bleeding (GUB) are associated with high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especially in older patients. The development of each of these conditions can b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another; however, it is rare for these three conditions to develop concurrently.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92-year-old man who was admitted because of generalized weakness that developed after the ingestion of nothing but functional foods, including herbal medications containing Glycyrrhiza and Aloe, for ten days. After admission, AMI and GUB developed approximately six hours apart. Conservative treatment was chosen for the bleeding ulcer because of the high procedural risk, and the use of antiplatelet agents and heparinization for treatment of the infarction were stopped. The patient remained hemodynamically stable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 statin, diuretics, and proton pump inhibitors. A healed scar at the site of the ulcer was confirmed three weeks later; however, postinfarct angina developed after the patient`s last endoscop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 two stents placed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Korean J Med 78:364-369, 2010)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의학서 간행과 불교

        이기운 ( Ki Woon L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8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서적 간행중에서 의서(醫書) 속에 나타난 불교사상을 고찰하였다. 의서의 간행 목적은 일실된 의서의 보충과 이들 의서는 의학적 지식을 기록하고 널리 알리기 위함이며, 의학적 지식을 가르치고 취재(取才)와 같은 국가 시험에 학습서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또한 현실적 문제로 전국에 창궐하는 질병을 극복하기 위하여 의학적 상식을 늘리고 계몽하기 위해서 간행되었다. 조선의 의서 간행은 외국의서와 국내의서의 간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외국의서로는 중국의서로 조선후기 과거제도에서 중국의서가 대부분채택됨으로써 다수 간행되었다. 국내의서는 향약 의학을 정비하고 외국의서의 내용을 흡수하면서 자주적인 의학체계를 구축해가고 있었다. 초기의 『의방유취(醫方類聚)』에 이어, 후기에는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등이 그 주축을 이루었다. 조선후기는 인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란을 겪고 사상과 문화적으로 큰 변혁이 있었다. 이와 같이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의학계는 적지않은 성과를 남겼다. 조선초기의 『의방유취』를 통하여 삼국시대 이래 전통적 향약(鄕藥)의 정리가 이루어졌고, 조선 후기 허준의『동의보감』을 통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여러 의서를 통합하여 조선실정에 맞는 의서 제작이 시도되었으며,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 등을 통하여 조선 특유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제창하기도 하였다. 이들 의서 중에 『의방유취』에서는 불교의 자비정신을 의학의 근본사상으로 수용하여 불교의 사대설(四大說)을 수용하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불교의 사대설과 수행법으로 대소승 불교의학을 종합한 천태(天台)의 태식법(胎息法)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의서의 경향은 유·불·도의 실증적이고 실천적인 조선 후기 사상적 조류의 영향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ideology as found in medical books (醫書) from among book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publishing these medical books is to supplement those medical books that have been lost, which recorded and spread medical knowledge, taught medical knowledge, and provided study material for national examinations such as the Chuijae (取才). Moreover, these books were published in order to increase common sense in medicine and enlighten the masses in order to overcome diseases that had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The medical book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reign medical books and domestic medical books. Among the foreign medical books, Chinese medical books were largely published, as these dealt with topics that were selected for the public state examinations (Gwageo)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omestic medical books formed an independent medical system by organizing the Hyang’yak medical system and absorbing the contents of the foreign medical books. The core of this independent medical system consisted of Uibangyuchwi (醫方類聚), followed by books including Donguibogam (東醫寶鑑) and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The late Joseon Dynasty was mark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Byungjahoran), resulting in large changes in ideology and culture. Despite the difficulties faced during the time, the medical community left behind significant achievements. Through Uibangyuchw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raditional Hyang’yak (鄕藥) was organized after the period of Three States. Heo Jun, along with Donguibogam, attempted to compile various Chinese and Korean medical books to create a medical book customized for Korea. This was followed by Lee Je-ma’s Donguisusebowon and other books that gave rise to the unique Korean medicine of Sasang typology (四象醫學). Among these medical books, Uibangyuchwi embraces the Buddhist spirit of charity as the founding principle of medicine, which in turn embraces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四大說). Donguibogam features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and the Buddhist performance method of Taesikbup (胎息法) of the Tien Tai Medicine, which combines the Mahayana and Theravada Buddhist medicines. The trend in these medical books seems to be the influence of the empirical and practical ideologi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feature Confucianism, Buddhism, and

      • KCI등재

        심신치유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지관명상(止觀冥想) 수행법 연구

        이기운(Lee, Ki-W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천태(天台)는 사마타 위빠사나 삼관(三觀) 등 근본불교로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수행법들을 총정리하여 지관법문(止觀法門)을 열었다. 그의 지관법은 선정과 삼매를 통해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심신의 안정을 추구하고 올바른 지혜를 개발해서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 수행법으로, 일종의 명상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마하지관??에서 “지관명정(止觀明靜)”이라 하여, 마음이 대상을 향하여 반연하는 것을 그치고 관조(관찰함)를 통하여 고요한 마음의 본성을 밝히는 일종의 명상법으로 보고 있다. 이 연구는 천태지관법문이 가지고 있는 지관명상으로 심신치유를 이루기 위하여 어떠한 지관 수행체계를 구축할 것인가를 모색한 것이다. 그의 지관법문은 불교 삼장의 모든 수행법을 수행자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점차지관의 『차제법문』(『釋禪波羅蜜次第法門』)에서는 낮은 단계로부터 높은 단계의 수행법을 닦아서 구경에 이르도록 정리한 수행문이고, 원돈지관의 『마하지관(摩訶止觀)』에서는 불가사의한 원융한 실상의 경계를 체득하는 관법의 수행문이며, 부정지관의 ??육묘법문(六妙法門)??에서는 앞의 두 지관문의 체계를 따르지 않고 단일의 수행체계를 능력과 상황에 맞게 활용하도록 한 수행문이다. 여기에 이들 법문의 중요한 수행법을 요약해서 초심자들의 깨달음을 돕도록 지어진 『소지관(小止觀)』을 포함하여 사종지관이라고도 한다. 근래에 들어 불교의 명상법들이 심리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수행법은 호흡을 통한 아나파나와 대상을 관찰하는 위빠사나 수행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천태는 이들 두 가지 명상수행법을 지관법문에서 모두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미 지관법문의 방편장 정수장에서 명상을 심신치유에 사용하였다. 심신치유를 위한 지관명상의 수행체계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첫째, 지관명상 수행체계는 지관법문에 있는 방편장과 정수장을 단일의 수행문으로 통괄하여 식문(息門) · 색문(色門) · 심문(心門)의 3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이다. 둘째, 차제지관 방법은 식문 색문의 순서로 단계적 수행체계를 구성하며, 원돈지관은 색문과 심문을 십승관법으로 수행하게 하고, 부정지관에서는 육묘문을 심신의 상태에 따라 10문을 취사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Ti?ntai (天台) opened Jigwan Sutra (止觀法門) by comprehensively organizing practice methods ranging from Origin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nd including Samatha, Vipassana, and Samgwan (三觀). His Jigwan Sutra aims to collect minds in one place, thereby pursuing the stability of the mind and the body and enabling the development proper wisdom to obtain enlightenment: this can be said to be a sort of meditation performances. In Maha Jigwan, he stated “Jigwan is illuminating and stabilizing (止觀明靜),” presenting Jigwan as a sort of meditations that enables the mind stop responding to objects and illuminates the nature of tranquil mind through observ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iscover a Jigwan system of practice that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mind and body healing through Jigwan meditation (止觀冥想), as set forth in the Ti?ntai Jigwan Sutra. Ti?ntai’s Jigwan Sutra organized all of the performances in the Pali Canon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performers’ abilities and situations and is commonly called “three kinds of Jigwan” (三種止觀). The three kinds of Jigwan refer to Jeomchajigwan (『釋禪波羅蜜次第法門』), Bujeongjigwan (『六妙法門』), and Wondonjigwan (『摩訶止觀』). The Jeomchajigwan is a performance writing organized so that the performer can begin with low level performances and progress to higher-level performances in order to reach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e indefinite Jigwan includes performances that do not follow the systems or writing styles of the order two Jigwan forms, but utilize a single performance system in order to match abilities and situations. These writings, plus the Sojigwan(小止觀) which summarized important performances in these writings in order to help the enlightenment of beginners are called four kinds of Jigwan (四種止觀). Recently, meditation methods from Buddhism have been widely used in psychotherapy. The performances mainly include Anapana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breathing and vipassana that is implemented by observing objects. Ti?ntai accommodated both of these meditation methods in the Jeomchajigwan, Wondonjigwan, and Bujeongjigwan. In addition, he already used these two methods of meditation to heal performers’ minds and bodies in the Bangpyeonjang (方便章) and Jeongsujang (正修章) of the Jigwan Sutra. The following two methods may be presented as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 systems for mind and body healing. First, as one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 system, it is useful to integrate the Bangpyeonjang and Jeongsujang in the Jigwan Sutra into one performance writing and composing it into three gates: the breathing gate (息門), the observation gate (色門), and the mind gate (心門). Second, as for a method for the gradual vipassana, a stepwise performance system can be constructed in the order of precedence of the breathing gate and the observation gate. In the case of Wondonjigwan, the observation gate and the breathing gate can be performed in the Sipseunggwan method (十乘觀法) and in the case of Bujeongjigwan, ten writings can be Jeomchajigwan selected from the Yukmyo writings (六妙門)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mind and body.

      • KCI등재

        천태지관에서의 심신(心身)의 병환과 치유

        이기운(Ki W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천태대사의 병환에 대한 입장은 『釋禪波羅蜜次第法門』의 分別禪波羅蜜前方便 제6의 제4 치병방법, 『天台智者大師禪門口訣』, 『請觀音經疏』, 『修習止觀坐禪法要』의 치병 제9, 『摩訶止觀』 정수장 제8의 제3 관병환경에서 밝히고 있다. 지관법문은 정수장과 방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방편장에서는 단편적인 설명이 있고 정수장에서 자세히 病患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는 이중에서 특히 지관법문체계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마하지관』의 병환경과 차제선법을 밝힌 『석선바라밀차제법문』의 방편장을 중심으로 지관법문에서 보는 병에 대한 진단과, 발생하는 원인, 병의 치유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천태대사는 心身에서 병의 증상은 맥 형상 소리로 판단한다고 하면서, 여기서는 맥을 통한 진찰과 형색을 살펴 진찰하는 법을 보여주었다. 병의 발생에 대해서는 사대가 순조롭지 못하고, 음식을 조절하지 못하거나, 좌선이 고르지 않고, 귀신 魔가 발생하고, 先世의 業相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이 갖추어지면 四大와 五臟 六神에 병환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병환의 치유는 止에 의해 몸과 마음을 더 이상 방종하지 않게 하고, 氣息法에서 기와 호흡으로 병환을 대치하며, 止觀에서 병환을 관해서 그 실상을 깨닫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태의 지관법문에서 보는 병환은 증세의 진단부터 원인 치유에 이르는 체계적인 의학체계를 보여주고 있어서, 천태의학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지관법문에서 천태는 심신의 병은 중생의 삶에서 태생적으로 발생하며, 불도를 이루는 因位에 있는 수행자들에게서 필연적으로 따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지관의 다양한 수행법으로 통해서 심신의 병환을 치유하도록 하고 있다. Great Master Tiantai expounded his perspective on the disease(or hindrances) during the practice in the fourth section ``The Method of Healing Illnesses`` 第四治病方法 of the sixth chapter ``Prior Means of Differentiating Meditation Paramita`` 分別禪波羅蜜前方便 第六 in his Explanation on the Stages of Practice of Meditation Paramita 『釋禪波羅蜜次第法門』; in his Verbal Dharma Transmission from Great Master Zhi-yi 『天台智者大師禪門口訣』; in the ninth chapter ``The Cure of Illnesses 治病第九 in his Essentials of Practicing Samatha and Vipasyana Meditation 『修習止觀坐禪法要』; and also in the eighth chapter ``The Right Cultivation`` 正修章第八 in his Great Calm-Observation 『摩訶止觀』. The teaching on the practice of calm and observation is composed of two chapters, ie., the right practice and the skillful means; the former handles diseases in detail but the latter fragmentarily. This article in particular investigated the diagnoses of the diseases arising from the calm and observation, their causes and cures. Such diseases are described at the chapter of ``The Diseases As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in The Great Calm-Observation, the acme of the calm and observation teachings. The symptoms of the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may be checked by the pulse, appearance and sound, but here the illnesses are shown to be diagnosed through the pulse and appearance. Diseases can take place when the four great elements are out of harmony with one another, when diets fail, when sitting meditation is done inconsistently, when evil demons appear, or when karmas of the former lives develop. Accordingly, various diseases in the four great elements, five viscera and six vital organs will occur if such various causes are met with. For the cure of these diseases, one should prevent any self-indulgence, replace the disease with energy and breathing while awakening to the reality of the diseases through the practice of calm and observation. Like this, the perspective on the disease in the Tiantai`s teaching of calm and observation shows an organized medical system ranging from the diagnosis of the symptoms to the cure of them to the root, which properly shows an aspect of Tiantai`s medical system. In his teaching of calm and observation, Great Master Tiantai proposes to cure the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through applying various calm-observation practice methods as these diseases inevitably break out from birth in life and stick to the practitioners on the path to the Buddhahood.

      • KCI등재

        조선후기 수륙재의 설행과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의 편찬 의도

        이기운(Lee, Ki-W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3

        우리나라의 수륙재는 고려후기부터 조선초, 그리고 조선후기에 빈번히 설행되었다. 그 이유는 이 시기가 정변과 전란 등으로 인한 많은 희생자들이 발생하여 외로운 고혼들을 천도하는 수륙재의 근본 취지와 잘 부합하는 면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전체적으로 조선시대 수륙재는 숭유억불의 시대조류로 인하여 그 설행양상에 큰 변화를 보인다. 이 연구는 기존 수륙재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16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조선후기 수륙재의 치폐추이와 수륙재 의식집의 설행의례를 통하여, 조선후기 수륙재 설행양상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시기 수륙재의 설행은 크게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수륙재의 형식적인 면에서 보면 조선전기 수륙재는 국행 수륙재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수륙전이라는 국가의 공식적인 지원이 있었고, 왕실의 호불 신앙이 아직도 존속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후기로 가면 유신들의 반대로 수륙전이 점차 사라지고 주자가례를 보급시키면서 불교신행에 제한을 받게 되어, 국행수륙재는 줄어들고 사찰중심의 수륙재가 종문(宗門)이나 가(家)를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수륙재의 내용면에서 보면 조선 전기에 비해서 후기로 갈수록 종교 신앙적 역할보다는 전란이나 천재지변 혹은 전염병 등 어지러운 사회혼란을 겪으면서, 백성들을 위무하고 치유하는 대사회적 역할이 더 중요시 되었다. 이와 함께 수륙재 의례의 근본이 되는 의식집의 발간이 빈번해졌다. 수륙의례집들은 초기에는 중국의 불교의식집을 간략히 하여 우리현실에 맞게 정비하는 촬요(撮要)나 찬요(纂要)형식이었다. 후기에는 여러 의식집들을 고증하여 번쇄한 것은 생략하고 부족한 것은 보충하는 산보(刪補)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기존 의례를 통합하고 종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조선후기 불교의례집으로 지환(智還)이 편찬하고 성능(性能)이 간행한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은 이러한 조선후기 수륙재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때의 수륙재의(水陸齋儀)는 대령의, 설재의, 시식, 봉송의, 공양의의 다섯 절차로 구성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복잡한 수륙재에서 탈피하여 상 ․ 중 ․하단을 중시하면서 범음과 작법을 중심으로 음악 춤 의식이 갖추어진 종합불교의식의 성격을 갖고 있어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Water-Land Dharma Function (suryukjae; 水陸齋) was vitalized in South Korea from late Goryeo and throughout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This phenomenon was likely a result of the intrinsic religious function of this Buddhist ritual—guiding forlorn spirits of the politically isolated and victimized to the afterlife—coinciding well with the political upheaval at the time. The development of Water-Land Dharma Function under the pro-Confucianism, anti-Buddhist policy in the Joseon dynasty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practice of Confucianism in the future. From the existing research available for Water-Land Dharma Fun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for practicing this Buddhist ritual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16thto 18thcenturywithregardtoitsformandcontent. From a formal perspective, Water-Land Dharma Functi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can be regarded primarily as a nationally held service. It was officially sponsored by the nation via farmlands that were dedicated to the funding of this ritual (suryukjeon; 水陸田), and was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in their pro-Buddhist religious stance. However, by the late Joseon period, these farmlands slowly disappeared due to opposition by Confucian followers, and Buddhism became restricted with the introduction of Master Zhu’s Family Rituals (Zhuzi Jiali; 朱子家禮); thus Water-Land Dharma Function, which was previously observed in Buddhist temples, became more commonly held in independent Buddhist branches and private households. In terms of its content, the social function of this ritual—to pacify and soothe the people in the midst of social turmoil caused by war, natural disasters, and plagues—had become more important than its religious role. Consequently, compilations of Water-Land Dharma Function rites became frequently published. While the early compilations abridged Chinese Buddhist rites and applied them to meet South Korean needs, later compilations consolidated and revised previous publications, discarding unnecessary parts and supplementing where needed. The condition of Water-Land Dharma Fun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especially well represented in the Revised Compilation of Buddhist Rites on Water-Land Dharma Function (Chunjimyeongyangsuryukjaeuibumsanbojip;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a Buddhist rites compilation assembled by Jihwan (智還) and published by Seongneung (性能). Water-Land Dharma Function rites during this period consisted of five steps: daeryung’ui, seoljae’ui, shishik, bongsong’ui, and gongyang’ui. This focus on top, middle, and bottom platforms, and the emphasis on Beomeum(梵音 A clear and pristine voice of Buddha and Boddhisattvas) and jakbeop (作法) depart from the complexity of previous Water-Land Dharma Function and exhibit composit Buddhist (綜合佛敎) characteristics in its incorporation of music, dance, and ceremony; such approachability appears to have contributed to the propagation of Buddhism.

      • KCI등재

        관음(觀音)신앙의 구조(構造)와 신행체계(信行體系)

        이기운 ( Lee Ki-w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대승불교가 발생하여 전파되는데 있어 觀音信仰의 역할은 적지 않아 보인다. 그것은 관음사상이 가지고 있는 폭넓은 구제사상과 다양한 관음신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을 설하고 있는 경전은 법화경을 비롯하여, 화엄 반야 정토 밀교 삼매 經典類와 疑經에 이르기까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경전들 중에서 법화경은 보문품에서 관음보살을 설하고 있어 관음신행의 근본 경전으로 여겨져 왔다. 이 경은 일찍부터 전역되어 관음신앙 유포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觀音經』으로 別行 유포되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수많은 관음관계 경전들이 함께 신행되므로써 관음 신앙을 한층 풍부하게 하였다. 첫째는 관음이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중생이 당면한 실생활의 苦難과 惱亂으로부터의 해탈을 이루어 주고, 중생들이 祈求하는 소원을 성취시켜준다는 구제사상이다. 둘째는 관음이 應身하여 法을 설해주어 불도에 이끌어 들인다는 대승 보살도를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이러한 구제사상이 관음의 因行시 서원과 보살도에 근거한 대자비의 실천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제사상은 중생들의 절실한 삶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利他行], 불도에 들도록 인도한다[自利行]는 점에서 대승보살도의 모범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은 중생들의 생사고난에 대한 해탈의 祈求가 있고, 이에 관음은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應하여 법을 설해 주며, 이러한 應現說法은 관음의 因行시 誓願과 菩薩道에 의한다는 重層構造를 보여준다. 관음의 신행 역시 이러한 관음의 구제사상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신행 체계는 중생이 관음의 명호를 일심으로 칭명하고, 관음의 주(呪)를 誦念하며, 禮懺하고, 경을 독송하는 등의 수행에 의하여 삼매에 들면, 중생이 感하고 관음이 應하여 救濟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행 방법들은 중생들로서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고 각자의 근기에 맞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들이라 할 수 있어서, 관음신행의 성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본다면 올바른 관음신행은 중생들이 당면한 고난의 해탈 뿐만이 아니라, 보살도를 실천하여 불도에 나아가는 수행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role of Avalokitesvara belief has had a notable role in the rise and propagation of Mahayana Buddhism. This began from the wide ideas on compassion within Avalokitesvara’s beliefs and the diverse Avalokitesvara practices. Scriptures that explain Avalokitesvara Bodhisattva’s ideas compris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otus Sutra, Avatamska, Prajna, Pure Land, Vajrayana, and Samadhi. Among these scriptures, the Lotus Sutra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scripture of Avalokitesvara practices that explains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scripture was completely translated from early on and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Avalokitesvara belief, and was even circulated separately as the Sutra of Avalokitesvara. Additionally, numerous scriptures related to Avalokitesvara were practiced together, making Avalokitesvara belief even more abundant. Avalokitesvara belief in these texts mainly features ideas on compassion. Avalokitesvara’s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is composed primarily of perspectives. First, Avalokitesvara is an idea of compassion that delivers mankind from the suffering and confusion of the present life through benevolence and prestige, and one that fulfills the wishes and hopes of mankind. Second, is the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which Avalokitesvara appears in order to save mankind, and explains the edicts to guide them to Buddhism. Third,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the practice of benevolence founded on vows and Bodhisattva at the time of Avalokitesvara’s Inhaeng(因行).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an exemplary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the sense that they resolve the earnest problems of life and guide one to Buddhism. The practice of Avalokitesvara takes place in a variety of manners by Avalokitesvara’s ideas of compassion. That practice system mankind reaches Samadhi by practices such as calling Avalokitesvara’s name, reciting Avalokitesvara’s wishes, venerating Avalokitesvara, and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Mankind feels, Avalokitesvara answers, and compassion takes place. These practices are most easily accessible to mankind, and each can carry them out according to their own perseverance. Thu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alence of Avalokitesvara practice. In this manner, the correct Avalokitesvara practice is not just for the deliverance of man from immediate suffering, but also is a practice that fulfills Bodhisattva and leads to Buddh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