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의 전통적 방법과 낭독의 효과

        이기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The general image in reading is often recalled the process of reading a book silently in the static space. This method of reading a book is deeply related to a change in the reading culture that was created with being made the modern space like a library.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was progressed with commonly reciting even at home as well as Seodang(書堂, village school) or Hyanggyo(鄉校, government-run provincial school) and Seowon(書院, Korean neo-Confucian academ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a widely known fact. But there wasn't such high interest in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through recitation. That is because of having disappeared at the moment of the speech in the sound of recitation before being developed the technology of storing sounds, and because of having been unable to actually conform this now. Owing to this, the main attention was paid to the written contents rather than to the sound itself. However, the recognition in those days relevant to reading aloud can be identified given gathering fragmentary records related to recitation and arranging those things according to the relevant phenomenon. And through these records, the perception on a reason and a method of reading aloud is highlighted clearly in comparison of a method of reading a book just with eyes. Also, it is available for finding out even a part, which had evaluated sound itself as well as the contents of a book to be read, and which had discussed about the essence of reading through the sound of reading a book. Thus,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se records, the necessity is revealed that will subdivide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recognition phase in reading, which was developed focusing on reci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and the awareness on this centering on documents that left a trace on reading aloud. Through this, the cultural meaning in reading related to a method, which did recite traditionally, is expected to be possibly understood more closely. 독서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흔히 정적인 공간에서 침묵 속에 책을 읽는 과정을 떠올린다. 이러한 책읽기의 방법은 도서관과 같은 근대적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생겨난 독서 문화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 전통적인 독서의 방법은 서당이나 향교 및 서원뿐만 아니라 집 안에서도 일반적으로 낭독하면서 진행되었다. 이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낭독을 통한 전통적인 독서의 방법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이 높지 않았다. 소리를 저장하는 기술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낭독의 소리가 발화되는 순간 사라져 버렸고 현재 이를 실제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리 자체보다는 글로 적힌 내용이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낭독과 관련된 단편적인 기록들을 모으고 관련 현상에 따라 정리하면, 낭독과 관련된 당대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기록들을 통해 눈으로만 책을 읽는 방법과 비교하여 소리내어 책을 읽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인식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또한 읽는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소리 자체를 평가하고 책을 읽는 소리를 통해 독서의 본질에 대해 논의했던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기록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낭독을 중심으로 전개된 독서의 문화적 현상과 인식의 단계를 세분화할 필요성이 드러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낭독에 대한 흔적을 남긴 문헌들을 중심으로 독서의 전통적인 방법과 이에 대한 인식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소리내어 읽던 방식과 효과를 중심으로 당시의 독서 상황에 대한 이해가 보다 면밀하게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료 발견을 통해 본 남계우(南啓宇)의 예술세계

        이기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1 No.-

        본고는 새로 발견된 남계우 관련 자료를 통해, 남계우의 생애 및 예술세계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계우는 나비를 잘 그린 화가로만 알려져 있던 인물이다. 그러나 필자가 후손가를 찾아가 관련 자료를 살펴본 결과, 화가이자 시인이었고 문학비평가이며 전각에도 능했던 인물로, 예술가적 면모를 두루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남계우는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통해, 다양한 나비 그림을 그렸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 맞는 다수의 제화시를 남겼다. 또한 자신의 고향과 전원생활에 대해서는 琶潭八詠과 田園八詠이라는 八景詩를 통해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評批를 통해 古詩인 <孔雀東南飛>를 비평한 古詩批評을 남겼는데, 이 자료를 통해 19세기 조선에서의 評批 유행과 시비평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남계우는 詩書畵에 고루 능했던 것을 이상으로 삼았던 조선시대 문인의 모습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각각의 자료를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기에, 이후의 연구에서 보다 심화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reatise is introducing the new material related to Nam, Gye-Woo, and the goal is to study Nam, Gye-Woo's whole Art World. Nam, Gye-Woo is famous for the artist who was drawing the butterflies very well. But, many posthumous works were discovered by my research from his descendants. That materials is showing that he was a artist, a poet and a literary critic. Moreover I realized he was a the artist who was good at seal engraving. There are around 20 butterfly works of Nam, Gye-Woo's until now, and some of them has the style of poem, which used to put a poem in beside the drawing. Nam, Gye-Woo composed the Poem <Padampalgyung> and the Poem <Jeonwonpalgyung> that he described his hometown, the Padam Area of Yongin Province. There is <Gosibipyung>, too, which was examined <Gongjakdongnambi> by him on the filed of his literary Criticism. According to these works, it is enough to evaluate that Nam, Gye-Woo described the life style of literary men who were equally good at composing a poem, writing and drawing during the Choson Dynasty period. That's why studying on the material connected to him need to begin in earnest.

      • KCI등재

        [明成聖后御筆] 연구

        이기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in terms of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tent. This collection included 10 Korean letters the empress sent to Min Eung-Sik and his son Min Byung-Seung in 1894. In the past, the whereabouts of this collection had not been clear, but it’s possible to make a full-fledged research in this collection since it was lately made public at auction. In this study, the letters of the col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letters described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problems with the royal family. The fact that King Kojong and his crown prince felt anxious about rapid-changing contemporary political circumstances was found in the letters, and the empress herself had a very hard time due to extreme tension. Second, the letters described the occupation of Kyungbok Palace by Japan, Prince Regent Daewon-gun’s return to power and the subsequent expulsion of the Min family from the political world. Specifically, the Empress Myungsung’s efforts to be on good terms with the prince regent to set free Min Eung-Sik who was exiled to Gogeumdo, South Jeolla Province, were depicted in detail. Third, the letters showed the Empress’s view of the Sino-Japanese war. She expected China to win the war in order to free herself from Japanese surveillance. But China lost the war, and she wrote down her despair about that. Thus,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was of importance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her awareness and activities in 1894, which can hardly be found in existing archives. 이 논문은 明成皇后가 1894년 閔應植과 閔丙承 父子에게 보낸 10통의 한글 편지를 모은 [明成聖后御筆]의 문헌적 특징과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명성성후어필]은 그동안 자료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최근에 경매를 통해 공개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편지의 내용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 번째, 편지에는 왕실 인물의 건강과 심리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당시의 급박한 정국의 변화로 인해 고종과 세자 모두 불안해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고, 명성황후 본인도 극도의 긴장감으로 인해 매우 힘들어 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두 번째, 일본의 경복궁 점령과 대원군의 재집권으로 인한 민씨 일족의 축출과정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특히 전남 고금도로 유배된 민응식이 풀려나도록 돕기 위해, 명성황후는 대원군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 상세하게 드러난다. 세 번째, 청일전쟁에 대한 명성황후의 인식을 찾아 볼 수 있다. 명성황후는 청일전쟁의 과정에서 청나라의 승리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감시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하지만 청나라가 일본에 패배하게 되자, 이로 인한 실망감을 편지에 적고 있다. 이와 같이 [명성성후어필]은 기존의 공식적 기록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1894년 당시의 명성황후의 인식과 활동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 치과용 고농도Pd계 금-은-팔라듐합금의 시효경화특성

        이기대,이화식 대구보건대학 2001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21 No.-

        An Ag-Pd-Cu alloy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Au is commonly used for dental purposes, because this alloy is cheaper than Au-base alloys for clinical use. However,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is alloy is age-hardenability, which is not exhibited by other Ag-base dental alloys. Dental Ag-Pd-Cu alloys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age-hardenability. Palladium represses the sulphurization of silver, and the age-hardenability is caused by the addition of copper. In order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 small amount of gold is added to the commercial alloys. The specimens used were Ag-Pd-Cu ternary alloy and Ag-Pd-Cu-Au alloy. These alloys were melted and casted by induction electric furnace and centrifugal casting machine in Ar atmosphere. They were rolled and drawn into plate and wire shape. These specimens were solution treated for 2hr at 800℃ and were then quenched into iced water, and aged at 350~550℃ Principal results are as follows : Hardening occured in two stages, stage Ⅰ in low temperature and stage Ⅱ in high temperature regions, during continuous aging. From the electron microscop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ause of age-hardening in this alloy is the precipitation of the PdCu ordered phase. It was very effective that addition of small amount of Au increased hardenability in Ag base dental alloy and increasing the Pd content of Ag base alloys also increased base dental alloy and increasing the Pd content of Ag base alloys also increased hardenability. The formation of the lamellar structure develpoed from grain boundaries by discontinuous precipitation. Ag-Pd-Cu alloy is more effective dental alloy as ageing treatment and is suitable to isothermal ageing at 450℃.

      • KCI등재

        강원도 지역 초기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이기대,전병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지역에 거주하는 초기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방문 인지 작업치료 프로그 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초기치매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학과 학생 30명과 자원봉사자들이 주 1회 총 8회기의 가 정방문 인지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의 대상자들의 인기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MMSE-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에 대한 초기치매 환자들의 인식과 만족 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초기 치매환자에게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 적용한 결과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 히 지남력, 기억회상, 주의집중력, 언어력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 인지기능의 향상과 일상생활능력의 향상을 위한 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중재에 있어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도입을 위한 다양한 가정방문 작 업치료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Home-based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conducted for the dementia patients in the initial stages living in Taebaek region in Gangwon-do. Methods : This study carried out Home-based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by 30 Occupational Therapy Dept. students and volunteers targeting 30 dementia patients in the initiative stages for eight sessions, once a week. To identify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of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MMSE-K was used for measuring. Results : As a result of applying Home-based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to the dementia patients in the initial stages, overal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was demonstrated. Espec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exhibited in orientation, memory retrieval,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Conclusion : The program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s considered to be usefully applied to intervention in the dementia patien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is required in order to adopt the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in the future.

      • KCI등재

        <효종대왕실기>의 서술적 특징과 북벌론의 문학적 형상화

        이기대 택민국학연구원 2023 국학연구론총 Vol.- No.31

        <효종대왕실기>는 1930년 덕흥서림에서 간행된 구활자본 실기류 작품이다. 효종의 일대기를 서술하면서, 청나라와의 관계 및 북벌론 관련 주요 인물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효종은 병자호란 이후에 심양에서 인질로 있으면서, 북벌에 대한 결심을 다졌고, 형인 소현세자가 사망한 이후에 왕의 자리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이후 북벌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완과 송시열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그러나 효종은 북벌을 완수할 수 없었고, 이후의 북벌론은 송시열에 의해 명나라에 대한 의리론으로 전개되면서, 실질적인 북벌은 전개되지 못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효종대왕실기>를 통해 드러난 북벌에 대한 인식은 나라가 위기에 처한 상황이라는 시대적 의미와 연결된다. 북벌의 실패에 대한 원인을 재구하고 효종을 재인식하면서, 효종이나 특정 인물에게 실패의 원인을 돌리지 않고 있다. 그보다는 나라의 위기에 맞서 임금을 비롯한 신하들과 백성들 그리고 하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낸다.

      • 의인화 과정을 통해 본 꽃의 문화원형 - 한국고전서사작품을 중심으로

        이기대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5 콘텐츠 문화 Vol.7 No.-

        꽃은 우리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자연물이다. 따라서 인류에게 중요한 문화 적 상징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문화원형으로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 문에 꽃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산업적으로 이용되기까지 한다. 우리나라에서 꽃에 대한 상징과 의미는 의인화에 따른 국가의 흥망성쇠를 집약적으로 보 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꽃을 활용한 서사작품은 교훈을 목적으로 창작되면서 폭넓은 공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꽃에 대한 문화원형의 양상은 보다 복합적이면서 도덕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는 「화왕계」, 「화사」, 「화왕전」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꽃을 이해하는 과정은 다소 막연하면서 상식적으로 꽃에 의미를 부여하는 오늘날과 다르다. 꽃에 대한 의미 부여의 과정이 서양에서 유래된 꽃말과 연계되어 있는 경우가 현재는 일반적이기 때문 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의 꽃에 대한 문화원형은 다채로우면서도 현실 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A flower is one of natural objects that is closely bound up with human life. Its cultural symbol and meaning are pretty important for mankind, and it has long affected mankind as a cultural archetype. A variety of cultural events that make use of flowers are under way, and these events are even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In our country, the symbol and meaning of flower were linked to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ification, and some narrative works that utilized flowers were composed to give a king lesson. Thus, the nature of flower as a cultural archetype is moral and quite complicated. There are typical works to show this nature of flower:“ Hwawanggye,”“ Hwasa” and “Hwawangjeon.” Therefore understanding a flower as a cultural archetype is a little vague and not the same as understanding it from a commonsense point of view, because the way of giving meaning to it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its floral language that originated from the west. Indeed,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flower as a cultural archetype, since that makes it possible to create diverse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