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법관의 임용과 인사제도의 개혁방안

        이국운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강법학 Vol.11 No.1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a reform plan for the recruitment and personnel policy of Korean judiciary. Recently Korean judiciary and Korean court as a whole have faced very severe criticism from inside and out, because a former head of Seoul Central District Court(current1y one of the Supreme Court Justices) did a kind of misconduct which was believed harming the independence of trial especially the judges who were under his control in terms of judicial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personnel evalua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figure out an more applicable reform plan only by new legislation and/or some revisions of current laws(without any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do that, the author starts with a brief recollection of the Korean judiciary's histor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unhealthy hybrid of Anglo-American judicial system and Romano-Continental one. Later on, he summarizes some guidelines of judicial reform and submits a skeleton of reform plan with a relatively deep discussion with the other plans especially insisted in the judiciary by some judges. The range of the author's plan covers (1) the qualifications of judge (2) the process of judge recruitment (3) the division of judge's group (4) the structure of judicial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personnel policy of judges (5) the issue of the Korean Supreme Court's reform. According to the author, a more decentralized judicial administration including judge recruitment and personnel policy is possible and preferable for the Korean people and the members of Korean judiciar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자유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헌정주의자의 시각 ―

        이국운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7 No.4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democracy which is evidently presumed as a prerequisite of public law nowadays. The author tries to answer this theme by surveying the very nature of liberal democracy,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public law and democracy stems from a specific dogmatization of human liberty such as the universal and categorical imperative proposed by Immanuel Kant. The author starts his reasoning from a kind of phenomenological observation that identifies human politics as representation-politics and formulates the concept of the constitutional as a meta-thinking of representation-politics. This leads us to redefine liberal democracy as a modern constitutionalism or a new version of constitutionalism in modern political conditions. After a theoretical rearrangement of the politics of liberal democracy, the author ponders upon the marginal problems of liberal democracy in order to have a perspective on its future especially in this age of death both of God and human subjects. 이 글은 오늘날 공법의 근본 개념으로 당연히 전제되는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려는 시도이다. 저자는 이 주제를 자유민주주의의 본질 문제로 답하고자 한다. 공법과 민주주의의 연결은 자유민주주의를 출범시킨 자유의 독특한 이념화, 즉 보편적/정언적 자유의 명령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저자는 인간의 정치의 현상학에서 시작하여 표상정치의 재사유화를 뜻하는 ‘헌정적인 것’(the constitutional)의 개념으로부터 헌정주의를 재규정함으로써 자유민주주의가 근대적 헌정주의임을 밝혀낸다. 나아가 자유민주주의의 정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모더니티와의 관련 속에서 자유민주주의의 아포리아를 살핀다. 논의의 실천적 목표는 신과 인간의 죽음이라는 상황에서 헌정주의적 주체의 재구성을 타진함으로써 자유민주주의의 미래를 조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직접행동민주주의와 헌정수호― 최근의 정치상황에 관한 이론적 성찰 ―

        이국운 한국헌법학회 2008 憲法學硏究 Vol.14 No.3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theoretical understanding about the political struggles which had overwhelmed the main streets and squares of Seoul under the title of “Candle Demonstration” from May to July of 2008 in Korea. Being apart from the polemics on the candle demonstration in real political arena, the author starts with a kind of investigation upon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Korean politics. There were many signs that showed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system was getting weaker and wrong-headed, for example low late of vote in election and the malfunction of party politics. The author wants to theorize the candle demonstration as a kind of direct action democra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because there were many interesting and moving features in the streets and squares showing that the Korean Nation, the subject of Korean Constitution, were revealing their “Constituent Power.” Hence, the author tries to grasp this direct action democracy as a kind of fountain of energy which can reform and renew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It is very unreasonable for him to regard the direct action democracy as an enem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이 글은 2008년 7월 10일 현재 계속되고 있는 촛불집회를 헌법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촛불집회에 관하여 극단적으로 엇갈리는 긍정과 부정의 두 입장을 넘어서기 위하여 초점으로 삼은 것은 직접행동민주주의와 헌정수호의 문제다. 2008년 여름의 한국 사회에서 직접행동민주주의가 발현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몇 차례의 선거과정에서 축적된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때문이다. 역대 최저의 투표율, 정당정치의 현저한 약화, 공적 정치과정이 아니라 사적 거래과정으로 전락한 선거, 선출된 대표들의 능력 바깥에서 삶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진공해 들어오는 글로벌 이슈들, 무능할 뿐 아니라 권력 독점에 여념이 없는 선출된 대표들, 거기다가 지리멸렬한 야당, 다음 번 선거까지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을지 모른다는 무력감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헌법의 주어인 대한국민은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 이 점에서 촛불집회는 직접적인 헌정참여의 형태로 대한국민의 헌정권력이 발현되는 헌법적 현장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헌정수호는 반드시 이와 같은 헌정권력을 대의민주주의의 갱신을 위한 동력으로 이끄는 방향에서 기획되어야 한다. 이를 부인하고 대의민주주의 체제 그 자체를 수호하는 것을 헌정수호라고 강변하다가는 자칫 거짓 헌정수호 또는 헌법침해를 정당화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또한 신자유주의적인 사회 자체의 재구성이 심화되는 현실 속에서 직접행동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의 관계설정에도 많은 고민과 토론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자유교양법학의 자리

        이국운 법과사회이론학회 2023 법과 사회 Vol.- No.72

        The article aim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leg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level in South Korea. First of all, the author recollect the unique social context of legal education by focusing the history of Korean graduate law school system and its impact on the infrastructure of the legal science. This must be followed by the question upon the nature of legal education as a part of liberal art education. The author’s answer is based upon an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Zetetik(science) and Dogmatik(norm). He presents why legal dogmas should be taught with their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at the same time in undergraduate level. Therefore it should be under the motto of ‘law as liberal art’ and concentrate on the importance of basic legal science such as jurisprudence, sociology of law, cultural approaches to law, comparative law etc. As an example of liberal art education in law, the author looks bact to experience of Handong University where he has been serving as a full time professor for the past 25 years. On top of it, he emphasizes that the approach of law as liberal art is a decisive factor not only for the legal profession, some of whom must be recruited in the seats of higher courts, but also for the civil society whose citizens should select good lawyers from the bad very prudently. 이 글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육에서 자유교양법학의 자리를 기초법학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려는 시도이다. 저자는 한국 사회에서 기초법학의 등장 맥락을 짚어 본 뒤 자유교양법학교육의 본질에 관한 질문을 제기한다. 그에 따르면 자유교양법학교육은 기초법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 이유는 기존 법도그마 및 그 정당화 논리의 한계를 드러내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식으로만 자유교양교육의 목적인 자유로운 시민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자는 지난 25년 동안 추진되어 온 한동대학교의 독특한 경험을 자유교양법학교육의 입장에서 검토한다. 교육철학, 교육과정, 교육방식, 교수학생관계 등에서 한동대학교의 경험은 주목할만한 성과와 함께 특수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결론을 대신하여 대한민국의 로스쿨 체제에서 자유교양법학교육의 전망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법조계 전관예우의 원인과 대책

        이국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법학 Vol.25 No.2

        이 글은 한국 사회의 고질병인 법조계 전관예우의 원인과 대책을 시민혁명의 흐름 속에서 다시 논의해보려는 시도이다. 법률가의 권력은 법이라는 매개를 통하여 행사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매개(媒介) 권력’이며, 자유민주주의는 이와 같은 위험을 내장하고 있는 정치체제이다. 이 글은 자유민주주의의 사법정치를 사법관료주의와 사법전문주의의 두 모델로 구분한 뒤,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법조계 전관예우의 구조적 원인을 추적한다. 그 역사적 기원은 해방공간에서 선택된 관료사법체제가 긴급정부 하에서 법률가 개개인의 직업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오용되었던 것이며, 그 연장선상에서 민주화 이후의 사법개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대형 로펌을 중심의 새로운 전관예우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 분석에 기초하여 이 글은 전관예우에 대한 종래의 미시적 영업제한조치가 효과적이지 못함을 지적하면서, 변호사길드의 강화, 사법행정권의 분리, 전문법원체제의 도입, 검찰의 재사법기관화 등을 헌법개정논의와 연결시켜 근본적인 대책으로 주장한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deal with the causes and remedies of judicial corruption (Jeonkwanyewoo) in Korea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civic revolution and the rule of Common law, which is often called Candle Revolution of 2016-7. After criticizing Korean Supreme Court’s attitude that deny the existence of Jeonkwanyewoo, I attempt to explain it with a theory of lawyer’s politics which is about the unique and prevailing position of lawyers in the constitutional politics of liberal democracy. The main part of this article is a kind of historical and structural review of Korean judicial system in which Jeonkwanyewoo has been systemiz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ew, the judicial bureaucracy which had been built in the military dictatorship provided the foundation for large law firm’s domination in Korean society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1987. In the last chapter, I present a series of remedy for Jeonkwanyewoo in the perspective of judicial professionalism, which has been replacing judicial bureaucratism since 2007 when the professional law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지방분권형 헌법개정안 소고 - 21세기 자치입법의 전망을 담아 -

        이국운 한국입법학회 2018 입법학연구 Vol.15 No.2

        이 글은 2012년 이후 다양한 맥락에서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 작업에 참여해 온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8년 3월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한 헌법개정안의지방분권 관련 조항들에 관하여 비판적 검토를 시도한다. 특히 자치입법권의 연원과 범위, 수준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그 보완점을 모색하는 것이 논문의 초점이다. 2018년 5월 26일 대한민국 국회의 표결불성립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헌법개정안이 좌절된 상황을 고려하면서, 저자는 향후의 추진을 위하여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의 새로운 로드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는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의 이론적 배경이라 할 헌정적 다원주의(constitutional pluralism)의 입장에서 21세기 자치입법의 전망을 간략하게 덧붙이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residential proposal for constitutional revision raised by President Moon Jae-in of Korea in March 2018. With his own experience to participate in various projects for constitutional revision, the author tries to focus upon how decentralization and localization would be advanced in the presidential proposal. His evaluation is basically good, even if there is critical weakness in guaranteeing the legislation power of local governments. Being disappointed by the National Assembly’s irresponsible denial for the Presidential proposal for constitutional revision on May 26th 2018, the author suggests a kind of supplementary proposal for the next chance that hopefully starts in 2 years. At the end of the article the author adds his own prospect about the local legislation in 21st century as a constitutional theo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