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3년 민법 판례 동향

        이계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서울대학교 法學 Vol.65 No.2

        This article dealt with significant Supreme Court decisions in civil cases in 2023, aiming to provide a scholarly perspective on their implications. This article concentrated on twelve decisions, including two related to general provisions of civil law, four related to property law, four related to the law of obligation, and two related to family law. Firstly, the two decisions on general provisions of civil law addressed issues such as how to determine the person who is supposed to preside over ancestral rites and how to explore the hypothetical intentions of the parties in cases where both parties had mutual mistakes of motive. Next, the four decisions on property law dealt with following issues; 1) the validity of perpetual lease agreements defining the lease period as 'permanent', 2) whether the period of prescription of a claim based on acquisitive prescription does not run if the possessor who has already fulfilled the requirement of acquisitive prescription transferred the possession to another person, 3) whether the person who had acquired possession by prohibited interference on the original possessor is entitled to restore possession in case the possession of the former was deprived by the latter by prohibited interference and 4) whether a third-party acquirer of mortgaged property can exercise the lien by claiming reimbursement if he/she expended necessary or useful funds to preserve and improve the property. Following that, the four decisions on the law of obligation addressed following issues; 1) when it would be considered improper exercise of judge’s discretion to reduce a specified sum due upon failure of performance, 2) whether a creditor obtaining a seizure order from the court is obligated to return proceeds due to the principle of unjust enrichment in cases where an auction turns out to be invalid, 3) under what circumstances damages equivalent to fixed costs can be recognized in cases of illegal industrial actions, and 4) the burden of proof and degree of proving facts required for patients in medical lawsuits. Lastly, the two decisions on family law addressed disputes regarding whether a spouse of the inheritee would inherit exclusively if all sons and daughters renounce their inheritance, and what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recognize an invalid will as valid gift effective on death under the principle of conversion of invalid juristic acts into valid ones. This article elucidated the logical structures of each decision and provided deep analysis, facilitat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se decisions. 본 논문에서는 2023년에 대법원에서 선고된 민사 판결 내지 결정(이하 합쳐서 “판결”이라고만 한다) 중에서 학자의 시각에서 상당한 의미를 부여할 만한 판결을 분석하였다. 민법총칙 관련 2건의 판결, 물권법 관련 4건의 판결, 채권법 관련 4건의 판결, 친족상속법 관련 2건의 판결 등 총 12건의 판결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민법총칙 관련 2건의 판결은 제사주재자를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 쌍방 공통의 동기의 착오가 있었던 경우 당사자의 가정적 의사를 어떻게 탐구해야 하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다음으로 물권법 관련 4건의 판결은 임대차계약기간을 ‘영구’로 정한 영구임대차계약이 유효한지, 점유취득시효 완성으로 인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취득시효 완성자가 다른 사람에게 부동산을 처분하여 점유를 승계하여 준 경우에는 진행되지 않는지, 점유의 상호침탈의 경우에 점유회수청구권이 인정되는지, 저당물의 제3취득자가 비용상환청구권을 피담보채권으로 주장하여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그 다음으로 채권법 관련 4건의 판결은 법원이 손해배상 예정액을 감액하는 경우에 어떤 경우에 위법하다고 볼 수 있는지, 임의경매가 무효인 경우에 배당금을 수령한 압류채권자가 매수인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하는지, 위법한 쟁의행위가 있는 경우에 어떤 경우에 고정비용 상당 손해를 인정할 수 있는지, 의료소송에 있어서 환자 측이 증명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이고 그 증명의 정도는 어떠한지가 쟁점이 되었다. 끝으로 친족상속법 관련 2건의 판결은 피상속인이 배우자와 자녀를 두고 사망한 경우에 자녀 전부가 상속을 포기하면 배우자가 단독상속을 하는지, 무효인 유언을 무효행위 전환의 법리에 따라 사인증여로 인정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가 쟁점이 되었다. 필자는 위 각 판결에 대하여 해당 판결의 논리구조를 밝히고 이에 대한 필자의 분석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판결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 KCI등재

        신탁의 수익권의 성질에 관한 연구

        이계정 한국민사법학회 2016 民事法學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beneficiary’s right, which is deemed to be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he area of trust law. The legal characteristic of the beneficiary’s right has been questioned – whether it is proprietary or personal. This paper makes comparative research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the beneficiary’s right, focusing on the long time controversy in the U. S. and U. K. The comparative study on tracing in equity supports the conclusion that the beneficiary has a proprietary right. This paper further makes a strong argument that the beneficiary’s right in the Korean trust code is “the personal right retaining the proprietary right”. On the basis of the separateness of the trust, the beneficiary can claim his exclusive right against trustee’s creditors in case the trustee has become insolvent. This shows that the beneficiary’s right can be protected from bankruptcy and execution, which distinguishes the proprietary right from the personal right. In addition, Given that the beneficiary can claim the rescission right, entitling the beneficiary to rescind the transaction between the trustee and the contractual party (the third) in case where the transaction is proved to breach the trust purpose,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beneficiary’s right is protected comprehensively by various remedies, which is one of the peculiar aspects of the proprietary right. Lastly, considering the persuasive opinion that the beneficiary can claim his right directly against the unlawful possessor of the trust property in order to evict him, the beneficiary’s right is deemed to retain proprietary characteristics. With such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beneficiary’s right, we can place more positive position on the beneficiary’s right to an extent that the beneficiary can effectively keep the trustee’s discretion in check. By doing so, the purpose of the Code to invigorate the trust can be accomplished. 본 논문에서는 신탁의 이념형에 해당하는 수익자신탁과 관련하여 수익권의 성질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수익권의 내용을 논하고, 영미 신탁에서의 수익권의 성질과 독일의 신탁이론에서의 수익자의 지위를 논하였다. 특히, 영미 신탁에서 수익권의 성질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으나 형법평상의 추급권은 수익권을 대물적 권리로 보아야 그 설명이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수익권이 대물적 권리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우리 신탁법상 수익권의 성질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수익권은 ‘물권화된 채권’, 즉 채권이지만 물권의 표지를 갖추고 있는 권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을 전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신탁재산에 대한 강제집행 시 신탁재산의 독립성의 법리에 따라 수익자는 제3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익자의 권능은 물권의 표지 중 ‘도산 및 강제집행에서의 보호’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수익자는 수탁자가 신탁 목적에 반하여 법률행위를 한 경우 수익자와 제3자 사이의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일탈된 신탁재산의 회복을 꾀할 수 있는데, 이는 물권의 표지 중 ‘포괄적인 소에 의한 보호’에 해당한다. 끝으로 수익권에 기한 방해배제청구권을 인정할지 여부와 관련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필자는 수익권이 신탁의 공시방법에 의하여 제3자에도 미치는 점 등을 이유로 이를 긍정하였는데, 위 방해배제청구권은 물권의 표지 중 ‘포괄적인 소에 의한 보호’에 해당한다. 따라서 수익권은 ‘물권화된 채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이러한 분석틀을 통해 우리 사법의 체계를 존중하면서 영미 신탁의 핵심 원리를 규범조화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소유물방해제거청구권 행사를 위한 방해의 현존

        이계정 한국민사법학회 2020 民事法學 Vol.91 No.-

        The Korean Supreme Court issued a decision (“the Decision at Issue”) denying the claim for removal (Beseitigungsanspruch) in the case where the defendant buried a pile of garbage under the land and the plaintiff, who acquired the land after burial, demanded the removal of a pile of garbage based on the ownership (Supreme Court [S. Ct.], 2016Da205540, July 10, 2019(S. Kor.)). This article dealt with the Decision at Issue with a critical eye and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laim for removal is aiming at the removal of the source of the disturbance rather than the restoration to the original condition. Since a pile of garbage can be considered as the source of the disturbance and a pile of garbage has continued to exist, the presence of disturbance for the claim for removal can be affirmed in this case. Therefore, there are no difficulties affirming the claim for removal of a pile of garbage in this case. Secondly, even though a pile of garbage has been mixed with the soil and the defendant lost the ownership over a pile of garbage, the plaintiff can still claim a right of removal given the principle that the claim for removal is a right against the person who acts for creating the source of the disturbance (Handlungsstörer). The defendant cannot deny his/her obligation to remove by asserting that he/she has lost his/her ownership of the source of the disturbance, i.e. a pile of garbage in this cas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Korean Civil Code §217 stating that the person who may disturb the neighbor’s land by liquid, heat gas, and the like has a duty to take the appropriate measure, the plaintiff can claim the removal against the defendant who caused harm to the ownership by dumping the trash. Thirdly, the Korean Supreme Court put much emphasis on the protection of the soil in the previous decision where a previous landowner sold the land after causing soil pollution by illegally burying waste (Supreme Court [S. Ct.], 2009Da66549, May 19, 2016(S. Kor.)).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at a previous landowner has a duty to remove waste in the decision. However, the Decision at Issue denied the claim for removal. It can be submitted that the Decision at Issue lacks in the integrity as law that Ronald Dworkin emphasized as the core of the court decisions. Given the factors that the defendant is a municipality that has a solemn duty to protect the soil for the citizen and therefore, the defendant should assume the heavy responsibility for contaminating the soil, the defendant should bear a duty to remove a pile of garbage for the plaintiff. 본 글에서는 타인의 토지에 쓰레기를 매립한 사안에서 쓰레기매립물이 현존하더라도 토지소유자는 쓰레기를 매립한 피고에 대하여 쓰레기매립물의 제거를 구할 수 없다고 한 대법원 2019. 7. 10.ᅠ선고ᅠ2016다205540ᅠ판결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해제거청구권은 원상회복을 구하는 권리라기보다는 방해원(妨害源)의 제거를 구하는 권리라고 보아야 하며, 방해원에 해당하는 쓰레기매립물이 현존하고 있는 이상 방해의 현존성이 인정되므로 토지소유자(원고)의 방해제거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 둘째, 방해물이 부합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미 발생하여 존속하고 있는 방해원이 소멸하였다고 볼 수 없는 점, 방해제거청구권은 소유권을 침해하는 물건의 소유권을 가진 상대방에 한정하여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니고 방해원을 야기한 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 책임을 묻는 권리라는 점, 민법 제217조가 토양 오염에 대하여 방해제거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원고의 토지에 쓰레기를 매립함으로써 방해원을 조성한 피고는 방해제거의무를 부담한다고 보아야 한다. 셋째, 대상판결 이전에 선고된 위 2009다66549 전원합의체 판결에서는 자기 소유 토지에 폐기물을 매립한 자에 대하여 그 매립한 폐기물이 현존한다는 이유로 엄격한 책임을 물어 방해제거의무를 인정한 반면, 대상판결에서는 타인 소유 토지에 무단으로 쓰레기를 매립함으로써 위 전원합의체 판결 사안보다 위법성이 중한 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 방해제거의무를 부정하였는바, 대상판결은 판결이 구축해야 할 법적 통일성을 결여하고 있다. 특히 토양환경보호에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지방자치단체(피고)가 국민에 대한 보호의무를 저버리고 토양을 오염하였다는 점에서 피고에 대한 비난가능성이 가중되는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고의 방해배제청구권을 인정하지 않은 점은 구체적 타당성의 측면에서도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대상판결은 쓰레기매립자에 대하여 방해제거의무를 부정하였는바, 방해제거의무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우수등재

        채권자대위권의 행사와 전부명령의 효력 - 대법원 2016. 8. 29. 선고 2015다236547 판결 -

        이계정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2

        In decision 2015Da236547, the Supreme Court made a judgment that in case civil litigation based on the obligee’s right of subrogation was filed and obligor acknowledged the filing, the assignment order can be null and void.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text “seizure or provisional seizure or demand for a distribution” in the civil execution code §229(5) can be applied to the exercise of obligee’s right of subrogation by analogy. However, I believe the decision is not well-grounded and should be overridde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the exercise of obligee’s right of subrogation cannot be subsumed under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the civil execution law. Therefore, the civil execution code § 229(5) cannot be applied to the case. Secondly, the reasoning of the decision can be said to ignore the legitimate legal expectation of the holder of the assignment order and destabilize the system of the civil execution law. Thirdly, in case the obligee’s right of subrogation collides with the holder’s right of the assignment order, it is logical to judge whose right is superior based on the civil execution code. Fourthly, the decision erred in weighing compelling interests. It is righteous that in case the obligee neglected provisional seizure, he should be disadvantaged for it. However, according to the decision, such an obligee can still claim his interest at the expense of the holder’s interest of the assignment order. 대상판결은 채권자대위소송이 제기된 채권에 관하여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가 전부명령을 받은 경우 전부명령의 효력이 인정되는지 여부에 관하여 밝힌 최초의 판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대상판결은 제3채무자에게 전부명령이 송달될 때까지 채권자대위권 행사 사실이 채무자에게 통지되거나 채무자가 이를 알게 된 경우에는 전부명령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판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따르기 어렵다. 첫째, 채권자대위권 행사가 집행법상 의미를 가지는 권리행사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채권자대위권 행사에 관하여 압류의 경합에 관한 민사집행법 제229조 제5항을 유추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둘째, 대상판결의 법리는 전부채권자의 정당한 법적 기대를 무시하고 집행절차를 불안정하게 한다는 점에서 따르기 어렵다. 집행절차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부명령의 무효 여부는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여 판단을 하여야 하는바, 채무자의 주관적 인식을 기준으로 전부명령의 무효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은 집행절차의 안정을 해하는 해석이다. 셋째, 채권자대위권은 기본적으로 강제집행의 준비의 기능을 하는 것이지 그 자체가 집행의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채권자대위권 행사와 집행법이 충돌할 때에는 이미 완비된 체계를 가지고 있는 집행법에 따르는 것이 기본적으로 타당하다는 점에서 대상판결을 따르기 어렵다. 넷째, 대위채권자의 경우 피대위채권에 대한 가압류, 압류가 충분히 가능한 상황임에도 스스로 이를 하지 않고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한 것인데, 할 수 있었던 가압류, 압류를 하지 않음으로써 배당절차에서 배제되는 불이익은 스스로 감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위채권자를

      • KCI우수등재

        신탁의 경제적 분석

        이계정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4

        The structures of the law of trusts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structure, interior and external. The interior structure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es of the trust including beneficiary and how to control the power of the trustee. The external structure is mainly related to the insolvency protection of the trust estate and the rescission right, entitling the beneficiary to rescind the transaction between the trustee and the third party in a case where the transaction has been proved to breach the trust purpose. This article made an economic analysis on the law of trusts by looking into the interior structure and the external structure and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aw of trusts developed the regime of the fiduciary duty to mitigate the agency cost. In addition, disgorgement of profits can be said to be economically efficient means to discourage the trustee from committing wrongdoing by internalizing an externality. The trustee’s duty to inform and the minimization of the trustee’s discretionary powers can be evaluated as strategies to lessen the agency cost. Secondly, according to the Coase theorem the minimization of the transaction cost should be foremostly considered to achieve efficiency in establishing the legal principle and policy. The law of trusts established the scheme to reduce the transaction cost by incorporating the regime of the fiduciary duty into the contract and prescribing the default rules that people would have been negotiated if the costs of negotiating at arm’s length for every contingency were sufficiently low. Additionally, no-further-inquiry rule and the rule of the presumption can be helpful for lessening the decision cost. Thirdly, the insolvency protection of the trust estate and the separateness of the trust estate can be economically justified given that when the third made a contract with the trustee not in his fiduciary capacity but in his individual capacity, the third can be considered as the cheapest cost avoider in comparison to the beneficiary. As Calabresi mentioned, the inalienability rule can be justified when the paternalism is applied. The rescission right is one of the examples of the inalienability rule and economically justified since the paternalism is emphasized for the protection of the beneficiary exposed to a special vulnerability in the law of trusts. Lastly, it is desira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s that the trustee should not be personally liable on contracts properly entered into in his fiduciary capacity in the course of administration of the trust estate. Therefore, the Korean trust code stating that the trustee is also personally liable on contracts properly entered into in his fiduciary capacity should be revised for improving the utility of the trust. This paper also made an economic analysis on the limited liability trust under which the trustee shall be responsible for the debts belonging to the trust estate only by the trust estate. 본 논문에서는 신탁의 기본구조를 내부적 관계와 외부적 관계로 나누어 경제적 분석을 시도하여 신탁이 어떻게 효율을 달성하고 있는지를 논하였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탁이 대리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탁자에게 매우 엄격한 의무인 신인의무를 부과하고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아울러 수탁자에게 이득토출책임을 부과하고 있는데, 외부효과를 내부화하고 수탁자로 하여금 위법행위를 할 유인을 제거하기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 이득토출책임이 법경제학적으로 정당화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수탁자에 대한 정보제공의무 부과, 수탁자의 권한 축소도 대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신탁이 거래비용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를 코즈의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신탁계약을 체결하면 수탁자의 의무를 포괄적으로 표현한 신인의무가 계약에 편입되게 함으로써 거래비용을 줄이고 있으며, 신인의무는 규칙이 아니라 기준에 해당하여 사법비용이 드는바 신인의무의 내용을 구체화한 하위규범, 법원의 심리의 단순화를 위한 심리배제 원칙 등을 통해 사법비용의 감소를 꾀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당사자가 거래비용이 없었다면 합의하였을 사항을 신탁법에 규정함으로써 거래비용의 감소를 꾀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 다음으로 수탁자의 고유채권자가 최소비용회피자(the cheapest cost avoider)라는 점을 논증함으로써 신탁재산의 독립성과 도산절연기능이 법경제학적으로 정당화된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수익자취소권은 양도불가규칙(inalienability rule)이 적용된 것인데 수익자가 가지는 취약한 지위로 인하여 신탁의 법률관계에 후견주의가 적용되므로 양도불가규칙의 적용이 정당화된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수탁자의 대외적 책임에 관한 경제적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수탁자가 신탁사무 처리와 관련하여 채무를 부담한 경우에 수탁자가 신탁재산만으로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현재의 신탁법과 같이 수탁자가 고유재산으로도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설명하였다. 수탁자가 신탁재산으로만 책임을 지기 위해서는 유한책임신탁을 설정하면 되는바, 유한책임신탁의 의의를 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KCI등재

        특허소송 심리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계정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59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Patent Act’s provision concerning the order to produce materials, the provision’s contents and limits, and lessons from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It goes on to discuss improvements that could be made regarding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in patent litigation. This paper’s finding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limits to rectifying the structural maldistribution of evidence in patent lawsuits since the party that files for an order to produce materials under the current provision would find it difficult in specifying the materials that ought to be produced. Secondly, while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has its flaws, it has strong points of allowing both parties to collect and examine the relevant materials on equal terms, leading to better establishment of facts as all evidence materials are examined, thus making possible early resolution of disputes which in turn reduces the burden on courts. Therefore, when it comes to improvements that could be made regarding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in patent lawsuits, a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provision that allows access to materials held by the adverse party, lessons from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are noteworthy. Thirdly, if we are to improve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in patent lawsuit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sanctions against failure to comply with an order to produce materials; there is a need to make improvements to provisions for confidentiality-protective order in order to more adequately protect trade secrets in evidence collection process - with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in mind; an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new regulations regarding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and right to inspection. Fourthly, regarding introduction of the discovery process in Korea, we need to focus our attention on the key issues such as: whether we will allow fishing expeditions; whether we will change the current practice of setting trial dates early on; how we will deal with the increase in litigation costs; and how we will protect trade secrets or privacy. If we believe in the ideal that lawsuits should lead to an approach of the substantive truth through evidence collection, then we might seriously consider introducing the discovery process in Korea. 본 논문에서는 현행 자료제출명령제도의 내용과 한계를 살펴보고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의 시사점을 검토한 다음 특허소송 심리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자료제출명령제도는 신청인이 신청대상이 되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특허사건에서의 증거의 구조적 편재를 시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둘째,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는 단점도 많지만 쌍방 당사자가 대등하게 자료를 조사 및 수집할 수 있고, 모든 증거자료가 조사됨으로써 실체관계가 명확하게 파악되며, 이에 따라 분쟁이 조기에 해결되고 법원의 심리부담이 경감되는 장점이 있다. 특허소송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방안을 논의함에 있어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자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제도 마련이 시급한바,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가 주는 시사점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특허소송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을 위해서 자료제출명령 불이행에 대한 제재를 보다 강하게 정할 필요가 있고,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를 참고하여 증거수집 과정에서 영업비밀을 적절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비밀유지명령제도를 보완해야 하며, 전자적 정보 및 검증청구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요청된다. 넷째,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모색적 증거신청의 허용 여부, 변론기일을 조기에 지정하는 현재의 실무의 변경 여부, 소송비용 증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영업비밀이나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등의 논점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가 요청된다. 다만 증거수집의 도모를 통한 실체적 진실에의 접근을 소송의 바람직한 지향점으로 삼는다면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고령사회에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언 – 공익신탁을 중심으로

        이계정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100 No.-

        This article dealt with proper models of donations in the aged society, focusing on the charitable trust.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stablishment of the charitable corporation, as well as donations to the collector of donations, can be considered to be ways of donations. However, donations to the collector of donations have a shortcoming in that the donor does not have enough means to force the collector to use donations for the purpose designated by the donor. Also, the establishment of the charitable corporation has shortcomings in that the governance to control the wrongdoing of the director is not fully set up and there is a complicated procedure for obtaining permission for the establishment from the competent administrative agency. Secondly, the creation of a charitable trust can be considered a proper model of donations. This model has strong points in that it has sufficient means (e.g. the regime of the fiduciary duty, the mandatory appointment of the trust administrator, supervision by co-trustees and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trustee’s duty to disclose) in order that the trustee has no choice but to use the donation for the designated purpose. In addition, this model has merits given the fact that it is relatively easy to set up a charitable trust and does not need a substantial amount of money to set up, unlike the charitable corporation. Thirdly, since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shall not be applied to the charitable trust, the trustee of the charitable trust does not need to obtain authorization from the Financial Services and it is not prohibited to commingle the trust property under several trust contracts. The Charitable Trust Act(“the Act”) does not follow the cy-près doctrine and can be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intent of the settlor of the charitable trust in full degree. Lastly, to invigorate the charitable trust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charitable trust combined with the private trust such as the charitable remainder trust in U.S., to encourage the specialist in public services to assume trusteeship of the charitable trust, to revise the Act with a view to establishing the special and independent commission like the Charity Commission in U.K. In addition, it is recommendable to change a grossly strict way to manage the trust asset of the charitable trust into a more flexible way. 본 논문에서는 고령사회에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언을 하면서 고령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적절한 기부모델에 관하여 공익신탁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를 위한 기존의 기부제도로 단순한 기부, 공익법인 설립이 있다. 기부의 경우 기부의 법적 성질에 비추어 기부금이 지정된 공익목적을 위해 쓰이도록 강제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공익법인 설립의 경우 이사의 전횡을 효율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거버넌스가 확립되었다고 보기 어렵고, 설립허가라는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고 상당한 규모의 재산을 출연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둘째, 고령자를 위한 기부모델로서 공익신탁은 수탁자의 적정한 기부금 집행을 신인의무의 부과, 신탁관리인 선임의 강제, 공동수탁자와 이사회에 의한 감시, 공시의무의 부과 등에 의해 강제하고 있는 점, 공익신탁 설정을 위해 인가만 받으면 되는 점, 소액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공익신탁을 둘러싼 법적 쟁점과 관련하여 공익신탁법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므로 공익신탁의 수탁자는 위 법에 따른 인가를 받을 필요가 없고, 신탁재산 집합운용 금지 규정도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속세 과세가액 불산입의 요건으로 정하고 있는 ‘신탁이행’은 공익신탁을 위해 수탁자 앞으로 신탁재산을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익신탁법은 원래의 씨프레 원칙과는 다른 구조로 입법을 하였는바 위탁자의 의사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 넷째, 공익신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익신탁과 결합하는 형태의 공익신탁을 인정하고, 공익활동 전문가가 수탁자로 활동하며, 영국의 공익위원회와 같이 전문적으로 공익신탁을 관리․지원하는 기관이 설치되도록 공익신탁법이 개정되어야 하고, 현재의 경직된 공익신탁재산의 운용 방식을 재검토해야 한다.

      • KCI등재

        담보신탁과 분양보증신탁에 관한 연구

        이계정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1

        This paper makes comprehensive research with regard to the collateral trust and the lotting-out guarantee trust (hereinafter “the LOG trust”),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in Korea. As for the collateral trust, the settlor transfers his asset to the trustee, with a view to setting up collateral to the creditor, i.e. the beneficiary. In case the settlor fails to repay, the trustee is entitled to dispose of the asset and provide proceeds from sale to the beneficiary.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he area of the collateral trust is whether it should be governed mainly by the principle of collateral law or the law of trusts. In my view, the collateral trust must be deemed as a kind of the cestui que trust to be governed by the law of trusts on the following grounds. When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we can find high similarities between the status of the settlor, the trustee and the beneficiary in the collateral trust and those in the cestui que trust. The settlor transfers the ownership of his asset in the collateral trust, as the settlor in the cestui que trust does. Based upon such understanding,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in case the settlor becomes insolvent, the trust asset is not subject to the settlor's creditors. This means that the collateral trust has the function of insolvency protection as is the same in the cestui que trust. Also, it can also safely be said that even though the settlor's obligation to the beneficiary based upon the promissory note is transferred, the beneficiary can claim his right against the trustee as a beneficiary, since the beneficiary's right is not dependent upon the promissory note but upon the trust contract. As such, the collateral trust falls right into the scope of the law of the trusts. Another controversial issue in the collateral trust is on whom the duty of VAT payment must be imposed. Given that the collateral trust is a kind of the cestui que trust, the issue can be decided by the logic of the cestui que trust. In addi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s of the LOG trust. The LOG trust means that the settlor, the condominium construction company who parcels out the apartment, transfers both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ndominium to the trustee in order to protect the contractorsthe beneficiarieswho are expected to claim the possession and ownership against the condominium when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In case the settlor becomes insolvent, the trustee is supposed to assume the obligation of the settlor to return the purchase money offered by the contractors. Once the settlor returns the purchase money, he is entitled to dispose of the trust asse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ndominium) and appropriate proceeds from the sale for reimbursement for his payment to the contractors. This paper argues that the LOG trust is the mixture of the management trust and the collateral trust.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legal principle to be applied to the collateral trust can also be applied to the LOG trust. This might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LOG trust has the function of insolvency protection as in the collateral trust, and further, the transfer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ndominium to the trustee is a gratuitous conveyance.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담보신탁과 분양보증신탁의 법률관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담보신탁과 관련하여 담보목적이라는 경제적 기능을 강조하여 담보권 법률관계로 규율할지 아니면 소유권이전의 형식을 중시하여 수익자신탁의 법리에 따라 규율할지 문제가 된다. 필자는 담보신탁에서의 위탁자, 수탁자, 수익자의 지위에 비추어 담보신탁을 수익자신탁의 한 유형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담보신탁에서도 신탁재산의 독립성을 인정할 수 있고 도산절연성을 인정할 수 있다. 또한 담보신탁에서 우선수익자의 원인채권이 양도 또는 전부된 경우에 우선수익권도 소멸하는지 문제가 되나, 수익자신탁의 일반 법리에 따라 규율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담보권에서 인정되는 수반성과 부종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우선수익권은 소멸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담보신탁에 있어서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가 누구인지 문제가 되나 수익자신탁에 있어서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에 관한 논의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다. 한편 분양보증신탁은 관리신탁과 담보신탁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담보신탁에서의 법리가 분양보증신탁에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분양보증신탁에서 도산절연성은 인정된다. 실무에서 환급이행을 한 수탁자가 신탁재산을 취득한 경우에 그 취득이 유상취득인지 무상취득인지 문제가 되는데, 분양보증신탁이 담보신탁의 구조를 띠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탁자의 신탁재산의 취득은 무상취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분양보증신탁에서 누가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인지 문제가 되나 담보신탁에서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에 대한 논의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