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화활용 언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Lee Kyunghwa),이연주(Lee Yeonju)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동화를 이용한 언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화활용 언어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와 도형 영역에서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 12명으로, 이들을 무선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6명씩 무선 배치한 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수업은 주 2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활용 언어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와 도형영역에서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성을 계발시키고자 하는 수업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것과 같은 동화활용 언어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ertify what effects language activity programs have on progress in children"s creativity. That is, this study aims at find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progress in creativity by clarifying whether telling fairy tales to children and making them participate in language activities ha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a rich imagination, curiosity, and creative ideas, and on the formation of creative personality.<BR>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would affect progress in children"s linguistic and creative abilities in a figural field and their creative personality.<BR>  A total of twelve 5-year-old children were randomly sampled and the respective six subjects were then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and a control group where teachers mainly led language activities.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ice every week for 6 weeks from March 23rd to April 27th, 2007, amounting to 12 sessions.<BR>  As instruments,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Lee Kyung-hwa and Lee Shin-dong(2003) was used for both pre-and post- test. Then data was treated by SPSS WIN 12.0 to conduct the t-test.<B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BR>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increased their creative ability(linguistic creativity and figural creativ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where the teacher led general language activities.<BR>  Secon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showed progress in their linguistic creativity (imagination, fluency, and original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gress in linguistic creativity.<BR>  Thir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showed progress in their figural creativity(continuity, connection, accomplishment, addition of new elements, themes, and nonhabitua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gress in children"s figural creativity.<BR>  Fourth,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improved their creative personality(curiosity, independence, adventurous spirit, and attachment to assignment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language activities programs using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gress i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BR>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language activity programs using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ogress of the children"s creativity. Therefore,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eaching method for a progress in children"s creativ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독서경험과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언어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Lee Kyunghwa),박숙희(Park Sookhee),이명애(Lee Myounga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2 창의력교육연구 Vol.5 No.1

        This research was for finding, in reading education during a picture book activity, how the teachers question types with interaction of the children s experience of reading affected the creativity of language. For this purpose, laying stress on imagination, fluency and originality, which were components of creativity,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Is there any difference of improving the creativity of language in depending on the teachers question types (divergent and convergent) in reading education? 2. Is there any difference of improving the creativity of language in depending on the children s reading experience (high and low) after reading education? 3. Is there any distinctive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of language among the four groups composed in depending on the reading experience (high and low) and question types (divergent and convergen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0 six-year-old children at S kindergarten located at Shingil-dong, Youngdeungpo-gu, in Seoul. Out of all the 65 children of the 2 classes, 40children were selected according as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for finding the children s reading experiences. And children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20 children in reading experience group and 20 children in low reading experience group). The research tool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by Kyunghwa Lee et al. to test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 as a standardized test was organized to test the children s creative ability and inclination in integration. The sub-groups of creative ability test were language and figure and the sub-factors were imagination, fluency and originality. In this study, only the test of creative ability was used and the test of language creativity was utilized. The experiments were executed ten times (2 or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 reading education with a picture book, the children who educated by using convergent questions were improved in the creativity of language more than the children who educated by using divergent questions.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ren who had high reading experience and the children who had low reading experienc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ith P<0.5 in imagination, fluency and originality through reading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Therefore, the children who had high reading experience were improved in the creativity of language through reading education by divergent questions more than the children who had low reading experience. Third, the teachers question types had distinctive influences on the four groups differently in depending on children’s reading experience. In imagination,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significant with P<0.5 statically. In the concrete, the high reading experience group with divergent and convergent questions ha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low reading experience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language using method and proper question types of parents an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babyhood s distinc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to improve the children s creativity. Therefore, these results would be very useful for children to form a proper reading habit and sense of value through making good reading environment in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활동에서 유아의 읽기지도시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독서경험과 상호작용에서 언어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에 소재한 S유치원의 6세반 유아 40명이다. 2개 학급의 전체유아 65명 유아중 독서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40명을 선정하여 독서경험 상위집단에 20명, 독서경험 하위집단에 20명을 할당하여 4개의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동화를 활용하여 읽기지도 수렴적 질문을 사용해 읽기지도를 받은 유아는 확산적질문에 의해 읽기지도를 받은 유아에 비해 언어창의성을 더 의의 있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독서경험이 많은 유아들은 독서경험이 적은 유아들에 비해 창의력 증진을 위한 읽기수업을 통하여 상상력, 유창성, 독창성에 있어서 집단간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절문유행은 유아의 독서경험에 따라 네 집단간에 있어서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력에 있어서 집단간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확산적 질문을 받은 독서경험 상집단과 수렴적 질문을 받은 독서경험 상집단에 비해 독서경험 하집단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온라인 창의수업의 효과

        이경화 ( Kyunghwa Lee ),김정연 ( Chungyu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융합인재 육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개발된 온라인 창의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과 관련된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창의수업을 실시하기 전, 후에 사전, 사후검사로 창의적 성격(이경화, 2014)과 자아개념(이경화, 고진영, 2015)을 측정하여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수업효과를 분석하였다. 한편, 온라인 창의수업의 효과가 대학생들의 성,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면 향후 대학에서 실시되는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을 제공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실험설계를 하였는데. 온라인 창의수업을 수강하는 374명의 대학생들을 실험집단에, 온라인 자기주도학습을 수강하는 321명의 대학생들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한 학기 수업 후에 실험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온라인 창의수업을 수강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은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향상 정도는 대학생의 배경변인인 성, 학년, 전공에 따라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서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 함양을 위해 대학 강의를 체계적으로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ster creative confluent talented students, identifying the effect of online creativity class on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and average score differences before/after online creativity class and online self-directed clas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So, an experimental group of 374 and a control group of 321 were com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creative personality of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Lee, 2014) and self-concept test(Lee & Koh, 2015).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re were partiall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of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Therefore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foster creative confluent talented studen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for a long term.

      • KCI등재

        글로벌리더 언어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이해, 표현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화(Kyunghwa Lee),장숙현(Sookhyun Ja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능력과 창의성 함양을 목표로 개발된 글로벌리더 언어프로그램(이경화, 2009b)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세 유아 30명을 무선 선발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2010년 10월 4일에서 10월 29일까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선발된 유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배치한 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이해 및 표현능력과 창의성에 있어서의 동질성을 확인한 후,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16차시에 걸쳐 글로벌리더 언어프로그램을 적용한 언어수업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의 유아에게는 같은 시간에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어생활영역에 근거한 언어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실시한 사후검사 점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검정(t-test)을 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리더 언어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 유치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글로벌 언어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읽기와 말하기의 언어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global leader language program that was developed for fostering the language capability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by Lee(2009a, b) and then would like to provide the learning program to the kindergarten for effective appl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four years old children who were selected randomly from K kindergarten and assigned 15 childr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The test tools for measuring language capability and creativity were “Hangul start and arrive” by Lee(2004) and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by Lee(2003), and used for pre and post test. Experimenta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4 weeks during 4th~29th Oct.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global leader program on language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were identified from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more improved in language comprehension cap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 after experimentation(p

      • KCI등재

        SIGT 탐구형 영재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영재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Kyunghwa Lee),김미숙(Mi-Suk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7 창의력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소수의 유아영재를 대상으로 SIGT 탐구형 영재과학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유아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과학 활동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개인의 과학적 태도나 지식, 기술 등의 향상과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 126-141에 해당되는 유아영재 4명을 대상으로 하여 탐구형 영재과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질적 접근과 양적접근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IGT 탐구형 영재과학 프로그램은 유아영재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was analysed an investigative science program through quality approachment. This research was presented a problem as following statements. 1. Is the investigative science program for gifted children effective for increased diagram creativity (continuation & connection, completion, new elements addition, theme, unconventionally)? 2. Is the investigative science program for gifted childr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gifted children's problem solving capability (question comprehension and explanation, the problem solving idea and its application, the conclusion of the problem solving)? 3. In three phrase of investigative science program for gifted children's process, what changes are emerged in children's creativity (figure, control)? Four children who were training in the SIG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ten times in total, over the course of nine weeks. For the collection of material, both camcorder and recorder were used to record useful data during class, and this data was used to check changes in levels of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shown in the relevant graph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under this program have experienced marked improvement in continuity, connectivity, perfection, and theme. Second, in the process of this program, gifted children had an interest in question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and their levels of concentration improved. In addition, question finding and explanation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 However, the capability of idea suggestion, related application and the reaching of a cohesive conclusion experienced a lessened improvement. Third, the whole research process was divided into 3 steps; early, middle, and final. The investigation of creativity, ingenuity, flexibility and imagination had been improved at each step. Flexibility and imagination were especially advanced. In conclusion, the investigative science program for gifted children has a notably positive effect toward the improvement of gifted children’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y.

      • KCI등재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Lee, Kyunghwa),여종일(Yuh, Jongil)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사회적 기술과 일반적 적응에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사회적 기술이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한 곳의 영재교육원과 두 곳의 일반 초등학생들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적응에 대한 질문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5명 아동들에 대한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각 측정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통하여 각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먼저 살펴보았고, 사회적 기술과 적응변인들에 대하여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t-test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에서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회적 기술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주장성과 같은 사회적 기술과 또래문제의 적응에서,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들은 일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사들은 아동의 정서적 증상이나 품행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한편, 아동의 사회적 기술은 부적응과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긍정적 적응지표인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기술의 하위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아동의 인지적 특성뿐 아니라 사회적 특성을 이해해야 하며, 영재의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할 때 자기통제와 같은 사회적 기술변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ocial-emotion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ng gifte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in gifted and average children perceived from parents and teacher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in gifted and average children. Data from a total of 2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n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and 2 comparabl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province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package SAS 9.1 were used to examine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subscale. t-test, intercorrelations for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indicated that ratings on assertiveness of gifted children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verage children. Social skills were negatively related to adjustment difficulties and positively related to prosocial behavior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ub-variables of social skil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justment difficulties and pro-social behaviors, after controlling gender. The findings reveal the importance of socialemotional as well as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kill variables like self-control can be used as a potential target for intervention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 KCI등재

        〈양씨아미본풀이〉의 장르 교섭 양상과 그 의미

        이경화(Lee KyungHwa)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6

        〈양씨아미본풀이〉는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조상신본풀이로 심방의 자질을 보였던 양씨아미가 가족의 반대로 입무에 실패하고 조상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을 담은 본풀이다. 〈양씨아미본풀이〉는 네 개의 각편이 존재하며, 양창보본을 제외한 세 개의 각편에서 핵심 구성 요소인 ‘입무 실패, 부정의 발생, 부정의 해소, 좌정’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서사 전반에서 당신본풀이의 화소가 나타나는 점이 특징적인데, 특히 부정의 발생과 해소의 서사에서 돼지 비린내로 인한 부정, 팥죽을 통한 부정의 해소 등 당신본풀이의 화소가 중심 화소로 역할한다. 당신본풀이 화소를 통한 서사 확장은 양씨아미의 위력을 보다 강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양씨아미본풀이〉의 교섭 양상은 제주도 무가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당신본풀이와 일반신본풀이의 교섭 양상에 대해서는 여러 논문을 통해 논의되었으나, 그에 비해 조상신본풀이와 당신본풀이의 관계는 조상신본풀이의 신앙의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당신본풀이로 흡수된 경우만이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당신본풀이의 화소가 조상신본풀이에 수용된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조상신본풀이와 당신본풀이의 영향 관계가 상호적임을 보였다. 〈Yangssiamibonpuri〉 is a Josangsinbonpuri passed down in Jeju Island. The key components of 〈Yangssiamibonpuri〉are ‘failure of being Shimbang(심방), occurrence of misfortune, elimination of misfortune, posi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motif of DangShinBonpuri appears in the whole narrative. Particularly in the latter part, motif of DangShinBonpuri serves as the key motif, and the motif expands the narrative. And it emphasis the power of the Yangssiami. This aspect of 〈Yangssiamibonpuri〉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nlarges the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eju island myths. Through 〈Yangssiamibonpuri〉, w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angsinbonpuri and the DangShinBonpuri is mutual. There is also a mutual influence in narrative as well as ritual.

      • KCI등재

        北塞宣恩圖 연구

        이경화(Lee Kyunghwa)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4 No.254

        《북새선은도》는 1664년 함경도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정식 외방별시를 기념하여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기록화이다. 본고는 작품의 제작을 규정하는 '17세기’와 ‘함경도’라는 시대적ㆍ지역적 조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 의도와 회화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구체화하고 그 문화적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함경도 별시는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였던 17세기 중반 전통적인 소외 지역이었던 함경도의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사회 통합과 왕권 강화를 이루는 데 근본적인 목적을 두고 시행된 행사였다. 《북새선은도》는 과거시험의 보고서적 성격을 지니는 기록화이지만 상당수의 조선시대 기록화가 그렇듯이 그림의 제작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구체적인 제작 의도와 배경을 시대적 상황과 과거시험에 관한 기록을 바탕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기록화의 제작 의도를 이해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작품의 제작을 계획하고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는 중심인물이 누구였으며 이들이 회화를 통해 남기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가이다. 본고에서는 《북새선은도》의 제작을 주도하였을 인물로서 당시에 함경도에 파견된 경시관 김수항, 관찰사 민정중을 비롯한 문관 시관을 주목하였다. 문관 시관들은 당시 예학의 종주인 송시열과 이식의 문인이며 서인 정국을 이끌어가던 김수항의 지지자였다. 동시에 17세기 중반 양반 문화의 중심에 위치하던 문인으로서 특정한 정치적ㆍ사회적 목적에 맞춰 시각적 수단을 정치하고 계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과 경험을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당시 문화적으로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던 함경도를 배경으로 궁중기록화에 필적하는 작품이 제작될 수 있었던 특별한 조건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북새선은도》의 가장 중요한 회화적 특징은 실제 지형을 기록함으로써 행사가 시행된 장소를 기념하였다는 점이다. 재현 방법으로서 군현지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회화식 지도 형식을 채택하였다. 기호적인 속성을 가지는 지도 형식을 이용하여 화면 안에 함흥과 길주의 부지 대부분을 효과적으로 포괄하되 지역의 통치와 관련된 주요 지형지물을 선택적으로 강조함으로서 제작 의도를 드러냈다. 행사와 더불어 계획적 질서를 부여하여 진채의 청록으로 재현된 실경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 혹은 감흥의 대상이 되는 자연이 아니라, 왕권이 효력을 미치고 있는 통치의 공간이라는 현실적 의미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게 된다. 이는 국가가 함경도 과시를 시행한 목적과 《북새선은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만나는 지점이다. 즉《북새선은도》는 17세기 중반의 회화적 역량을 보여주는 기록화이자 중앙의 권력이 미치기 어려운 변경 지역에 王道의 질서가 실현되기를 바리는 태평성대의 이상을 담은 회화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documentary paintings, Buksaeseoneundo 《北塞宣恩圖》 records the first official governmental examination taken place in Hamgyeong province in 1664.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its execution date and pictorial features that determine this painting as a seventeenth-century topographical documentary painting as well as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its pictorial features closely tied with its political function. The special governmental examination in Hamgyeong province. a place which had been traditionally neglected for its geographical isolation. was conducted with an attempt to unify the divided political environment by propagating the political power of the king. Buksaeseoneundo was usually discussed as a mere documentary painting that reported the result of that significant governmental event, however. its specific function and polit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event had not been fully explored for the lack of substantial records about the painting. For this reason, it will be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social milieu that surrounded the paint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in which this documentary painting was commissione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key figures who determined the content and format of this work. as well as to find out what aim this painting was created with. In such a discussion, I suggest that the following literati officials such as Kim Suhang (金壽恒), an official dispatched by the royal court. and Min Jeongjung (閔鼎重), a provincial governor might have led the creation of Buksaeseoneundo Those literati officials were in the political lineage of Song Siyeol and Yi Sik as well as me political supporters of Kim Suhang who led the Westerners party. They were also the literati scholars sophisticated enough to employ a visual image as an important means in order to fulfill their political missions. Therefore, Buksaeseoneundo done in highly sophisticated court style brushwork seems to have been created under such a special political circumstance.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Buksaeseoneundo lies on its pictorial exactness that captures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Hamgyeong province, The painter seems to have been inspired by the so called "Pictorial Map." Borrowing the pictorial format of maps whose main function was sign. the painter unmistakably portrayed topographical and architectural objects located in Hamgyeong province as an highly effective sign in order to emphasize topographical likeness, I believe that such a pictorial choice explicitly reveals the role of this painting as a political propaganda, More importantly, the landscape colored with vibrant blue and green suggests that the painter neither aimed to portray the real scenery nor to inspire inner consensus from the viewer, but rather to visualize a political space viewed and governed under the absolute power of the king, The primary purpose of conducting the special government examination for the first time in Hamgyeong province was successfully fulfilled though certain pictorial vocabularies chosen for Buksaeseoneundo. It seems to be true that Buksaeseoneundo is a mid-seventeenth century documentary painting thar displays a successful encountering of the use of visual image and the political vision of the king that wished his peaceful governing to reach even the most isolated place like Hamgyeong province

      • KCI등재

        이광정 초상 : 중국과 조선에서 그린 조선 문인의 초상화

        이경화(Lee, Kyunghw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6

        1609년 사은사로서 북경에 파견된 이광정은 이곳에서 초상화를 제작하였다. 원승광이라는 북경의 화가가 제작한 그의 초상화는 조선의 관복을 착용하였으나 두 손은 허리와 무릎에 얹은 채 정면을 응시하는 명청대의 초상화 형식을 따르고 있다. 조선에 돌아온 이광정은 1604년 호성공신에 녹훈되며 하사받은 공신화상과 중국본의 초상을 비교하였다. 그의 공신화상은 엄격한 제도적 규정을 따라 정형화된 도상과 형식으로 제작된 초상화였다. 두 그림을 비교한 이광정은 중국본의 초상이 자신의 모습을 더욱 근접하게 재현하였다고 결론 내렸다. 17세기 들어 북경을 방문하는 조선 사절들 사이에는 중국본 초상화를 제작해오는 풍조가 성행하였다. 사절에 의해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초상화에 주목한 기존 연구자들은 이들 초상이 지닌 명말청초의 초상화 양식에 관심을 두었으며 이들이 조선의 초상화 제작에 미친 회화적 영향을 집중적으로 규명하였다. 이 시기에 중국에서 유입된 다수의 초상화는 중국 특유의 초상화 양식을 향한 문인들의 선호를 반영한다. 그러나 북경에서 초상을 제작하는 데에는 화가와의 만남 외에도 제작비, 사절의 체류 기간 등 현실적인 제약이 따랐다. 이와 같은 다양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초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태도에서 단순한 선호를 넘어서는 의식적 차원의 강한 동기를 목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17-18세기 중국을 방문한 조선 사절들이 남긴 중국본 초상화가 지닌 문화적 함의를 논구하며 각국의 초상화 제작 방식, 형식적 특징을 비롯하여 초상 제작의 이면에 놓인 문사들의 인식에 주목하였다. 중국과 조선에서 모두 초상을 제작하고 양자를 비교 · 평가하였던 이광정을 중심으로 조선 사절이 남긴 중국본 초상화와 관련 기록을 섬세하게 살펴보며 이들이 지닌 초상화를 향한 의식적 측면에 접근하고자 시도하였다. 이광정 외에 또 다른 흥미로운 사례는 1735에 중국을 방문한 이덕수이다. 그는 남경출신의 직업화가인 시옥이 그린 중국본과 도화서 화원으로 추정되는 장학주가 그린 조선본의 초상화를 모두 소장하였다. 두 초상을 비교한 이덕수는 섬세하지만 규범적으로 그려진 조선의 초상화보다 닮음은 부족하지만 생동감 있는 시옥의 초상화를 높이 평가하였다. 중국의 화가들이 그린 초상화는 당시에 관찰한 바에 의거하여 그려졌으며 여기에는 주인공의 개성과 감정이 표현될 여지가 높았다. 이 때문에 초상화가 자신의 진면모를 보여주기를 기대한 문사들에게 중국본은 더 높은 만족감을 안겨주었던 것이다. 이광정이 남긴 자신의 초상에 관한 소회에서 그가 초상화를 후대와 관계 맺는 매체로서 여기고 있음이 간취된다. 후대와 보다 긴밀한 소통을 위하여 그에게는 자신이 핍진하게 재현된 초상화가 필요하였다. 공신화상은 주인공의 사회적 지위와 권위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최적화된 형식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드러내고자 할 때 공신화상의 추상적이고 정형화된 회화 표현은 이 기대를 온전히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이것은 이광정이 중국에서 초상을 제작한 이유일 것이며 다수의 문인들이 중국본 초상화를 높이 평가한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17세기의 시작과 함께 제작된 이광정의 두 초상은 초상화가 자신의 존재를 후대에 전하는 시각적 매체로서 작용하기를 기대하였던 조선 문인의 초상화 인식의 일단을 확인해 준다. Yi Gwangjeong (李光庭,1552-1629) had his portrait painted in Beijing, the capital of Ming China, while he was dispatched there as an envoy in 1609. In this portrait by a Beijing-based professional painter Yuan Chengguang (袁承光), Yi is depicted as a Joseon envoy in formal attire. However, his posture follows a typical Chinese portrait style wherein a figure is seated on a chair covered with the tiger skin rug, facing at the front and exposing the hands to the audience. After returning to Joseon, Yi Gwangjeong compared this portrait with his other portrait produced in 1604 to commemorate his designation as Hoseong gongsin, an honorable title granted to meritorious vassals who escorted the King in 1592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ereafter, “gongsin portrait”). His gongsin portrait followed the formal style and iconography strictly prescribed by rules and regulations. Yi considered that the Chinese-style portrait represented him closer to his true self than the formal gongsin portrait.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it was popular among Joseon envoys to commission Chinese-style portraits in Beijing. Existing studies on such portraits from China generally pay attention to the styles and techniques of Ming- and Qing-period portraits reflected in these examples and also investigate the artistic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a. The portraits of Joseon envoys produced in Beijing clearly reflect the Joseon literati’s preference for Chinese culture. However, high production cost, short period of stay in Beijing, lack of skilled artists, and other factors must have imposed constraints on commissioning portraits in Beijing.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it is likely that stronger motivation beyond cultural preferences was behind the commission of Chinese-style portraits. This essay investigates portraits of Joseon envoys produced in Ming-Qing China from the seventeenth to eighteenth century. Focusing on Yi Gwangjeong’s two portraits, it will closely examine the extant Chinese portraits of Joseon envoys and related records to understand Joseon literati’s perceptions of portraits in the seventeenth century. Yi Gwangjeong’s remarks on his portraits reveal that he saw a portrait as a visual medium to make a relationship with posterity. For better communication with later generations, Yi wanted to leave a lifelike portrait of him. While his formal gongsin portrait was made in accordance with high standards of the royal academy, another portrait by the Chinese painter faithfully described what the painter observed. The Joseon literati of the time, who expected an authentic portrayal of one’s true self from a portrait, must have been hardly satisfied with conventional Joseon portraits. That is why Yi Gwangjeong intended to make another portrait of him in China even though he already had a gongsin portrait, the most authoritative portrait in Joseon. The two portraits of Yi Gwangjeong painted in Joseon and China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represent Joseon literati’s belief that a portrait should serve as a visual medium that expresses the true self of the subject and forges a link between the subject and posterity.

      • KCI등재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사례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융합영재교육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민사고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민사고는 민족적 주체성을 가진 국제적 지도자 육성을 위해 중요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겸비한 국제적 인재양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한국적 정신’ 및 ‘융합형 영재 교육’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 실현을 위해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모형’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과정의 수립‧운영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숙고는 민사고라는 특정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적 주체성을 가진 지도자 양성의 방향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overseas convergent gifted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introduced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of KMLA through questionnaire, site visitation and interview to debate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een through KMLA. Then,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as deba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KMLA provided the important empirical case to cultivate international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and show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ultivating international elite with Korean identity. However, more obvious conceptual embodiment of ‘Korean spirit’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establishment‧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model is required for specialized realization. Meanwhile, the speculation over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cultivating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in the national level instead of task of specific school called KM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