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초등학교의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비교 : 한국의 창의적 체험활동 과 중국의 종합적 실천활동‘을 중심으로

        이경진(Kyoungjin Lee),천단(Chen Da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경우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국의 경우는 ‘2017 중소학종합실천활동과정지도강요’의 ‘종합실천활동’을 기초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국의 교과 외 활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내포하고 있다. 공통점은 첫째, 학생들의 삶에 기반한 실천적인 교육과정이라는 성격적 측면이 유사하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지역과 단위 학교의 재량의 폭이 넓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첫째, 내용상 강조점이 다르다. 한국은 안전교육을 강조하는 데 반해 중국은 제작교육을 강조한다. 둘째, 학생의 집단 활동에 대한 사상적 바탕이 다르다. 집단 활동을 통해 한국은 민주 시민으로서 자치 능력의 육성을 강조하는 데 반해 중국은 공산주의 체제 유지를 위한 감정적 바탕 형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양국 교과 외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by comparing curriculum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To do thi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reative experience and activities of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comprehensive practice and activities of 2017 comprehens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struction for small and medium schools in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Extra curricular activities’ of both countrie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irst, they are similar in nature to the practical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lives. Second, there is a wide range of discretion in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First, the emphasis is different on the content. While Korea emphasizes safety education, China emphasizes production education. Second, the ideological basis for student group activities is different. Through group activities, Korea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citizenship as a democratic citizen, while China emphasizes the formation of emotional grounds for maintaining a communist syste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curriculum development outside the curriculum of both countr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식 통합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의 교육과정적 함의

        이경진 ( Kyou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지식 통합을 인식 행위의 한 국면으로 이해함으로써 통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확장하고, 분과와 통합으로 나누어진 교육과정 내의 이분법적 진영 구도를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지식 통합에 대한 기존의 정의들을 기능적 이해로 규정하고 그 한계를 고찰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지식 통합을 인식론에 의거하여 논의한 후 그 교육과 정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식 통합을 인식론적으로 논의한다는 것은 모든 학문의 논리적 관련을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인식의 발달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미분화는 인식 이전의 상태이고, 분화와 통합은 개념을 통한 인식 행위의 양면을 구성한다. 통합을 인간 인식 행위의 자연적 과정으로 이해하게 될 때, 이 개념은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에 모두 적용 가능한 개념이 된다.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theoretic basis for knowledge integration by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as a phase of cognitive behavior and to overcome the dichotomy that divides the curriculum into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To this end, the existing definitions of knowledge integration were defined as functional understandings, and their limitations were examined. On the other hand, knowledge integration was discussed based on epistemology, after which curricular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results are that knowledge integration is a natural process in human knowledge-creating activities, so it is applicable to both separated subject and integrated subject. This discussion can serve to overcome the dichotomy in curriculum, in addition to reconsidering the quality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 KCI등재

        교사의 교육권 관점에서 본 초등통합교과서 제도의 개선 방안 탐색

        이경진 ( Kyou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권이라는 관점에서 현행 초등통합교과서 제도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사의 교육권에 대한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교과서 제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현행 교과서 체제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교육권은 학생의 학습권 실현이라는 법적 근거와 교육 본질적 근거로 인해 정당성을 획득한다. 이러한 교사의 교육권은 교육 내용과 방법의 선택과 결정이라는 행위로 구현된다.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의 특성은 학생의 생활사적 맥락에 기반 한 경험중심 교과에 해당하므로, 획일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지양한다. 이로 인해 교사의 교육권 강화가 필수적인 교과에 해당한다. 따라서 현행 국정교과서라는 체제는 교육과정과 정합성을 획득하고 있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개선의 방법으로는 교육 방법의 선택권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 내용의 선택권 확대를 위해서는 서책형태의 교과서가 온라인 자료센터와 같은 지원시스템으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rovement plans for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textbook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right to teach.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d the legal foundations for teachers’ right to teach and analyzed its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system. Next, this articl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textbook system as well as the current textbook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eachers’ right to teach gains legitimacy based on the legal basis of fulfilling students’ education right and the essential basis of education. This teachers’ right to teach is fulfilled by selecting and deci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s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the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life contexts, standardiz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re not preferred. In this regard, it amounts to a curriculum that is required to fortify teachers’ right to teach. Since the current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system fails to gain valid curriculum and consistency, some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A possible way for improvement is to develop various guide books which can expand teachers’ right to select educational methods and to replace form of books with online resource centers which can expand teachers’ right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s.

      • KCI등재

        유아기 자아개념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이 초등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대욱(Kim, Daewook),이경진(Lee, Kyoung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만 5세 유아기에 나타난 자아개념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만 7세 초등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자료는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 조사와 8차년도(2015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차년도 자아개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초등기 학교적응에 대한 응답이 있는 아동 882명이다. 연구 결과 자아개념, 문제행동, 학교적응 전체 간 중간 수준 이상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기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중 중요성, 덕목을 가진 유아와 초등기 학교적응 간 낮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유아기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초등기 학교적응 간 낮은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아기의 자아개념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초등기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중 정서적 안정성과 불안/우울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며, 외현화 문제행동은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유아의 사회정서적 문제와 초등 학교적응의 관련성을 판단하는데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기에 내재화 문제행동이라고 여겨지는 민감하고 예민한 유아에 대해 이해적 지원이 필요하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조기 발견, 조기 중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 다각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concepts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s early childhood at the age of five on school adaptation at the age of seven. The data from the study were used in the 6th year(2013)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and the 8th year(2015).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82 children who responded to the 6th year s self-concept,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tudies have shown no intermediate or higher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aptation as a whole. Among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self-concepts, there was a low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with virtu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a low non-conformity correlation between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elf-concepts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Emotional stability and anxiety/depression during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have a static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have an inappropriate influence.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ly, a diversified approa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children s social emotional problems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econd, understanding support is needed for sensitive children who are considered to have intrinsic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and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are necessary for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Third, various practical support measures are neede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 to school.

      • KCI등재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용석(Kim, Yongseok),이종호(Lee, Jongho),신수경(Shin, Sookyung),김용묵(Kim, Yongmug),송승연(Song, Seungyeon),이경진(Lee, Kyoungjin),김소연(Kim, Soyeon),김상우(Kim, Sangw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2

        다수의 중독 클라이언트가 강요에 의해서 치료에 참여하기 때문에 강요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코올사용장애 클라이언트가 경험했던 강요에 대해서 연구된 바는 없다. 강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강요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지각된 강요 척도(PCQ)는 치료 강요에 대한 중독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지각을 측정할 뿐 아니라 다양한 강요의 출처를 측정해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중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각된 강요 척도의 한국어판을 개발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17명의 알코올사용장애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에 대한 평가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는 영어판 척도처럼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평가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결과도 양호하였다. 이는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를 구성하는 6개 하위요인에 적재된 문항들은 동일한 요인을 측정하였고 각 요인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을 측정하는 정도가 양호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개발은 중독 클라이언트가 인지하는 강요를 측정 가능하게 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many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enter treatment by coerc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coercion in treatment entry process. However, studies on coercion have been very scarce. The reason for the lack of research on coercion may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proper instruments measuring the construct. The 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is an instrument not only to measure individuals’ perception of coercion but also measuring various sources of coerc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PCQ). A total of 217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atisfac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like its English version, is composed of 6 factors (self, family, legal, finance, health, work).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would contribute to conducting scientific studies on coerc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