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귀함과 고결함, <양반전>의 인물 대립과 양반상(兩班像)

        이강엽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This article discusses the character confrontation of the <Yangban-je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nity and nobility. First, after looking at the characters of Bangkyeong-gak Oeje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nity and nobility, the disagreement of the dignity of social status and the nobility of mind were emphasized. Secondl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Yangaban- jeon> permeates each other between dignity, lowliness, integrity and vulgarity. It is a confrontation between Jeongseon yangban vs lowly rich, Jeongseon Yangbang vs reeve. As a result, it reveals a total mess where no one side can live off ordinarily, unlike other works from Bangkyeong-gak Oejeon where dignity and nobility are in a paradoxical relationship. Third, if we examine the yangban image in <Yangban-jeon> while looking at the whole composition even considering business contract documents, the name, the desire, and the shame that Park Ji-won insists in <A Debate on Honor> become important criteria. 이 글은 존귀함과 고결함의 관계에서 <양반전>의 인물 대립에 대해 논하였다. 첫째, 존귀함과 고결함의 관계에 입각하여 『방경각외전』의 인물들을 살핀 결과, 신분의 존귀함과 정신적 고결함의 엇갈림이 강조되었다. 둘째, <양반전>의 인물은 정선양반 대 천부(賤富), 정선 양반 대 군수가 양반 대 상민, 사(士) 대 대부(大夫)의 대립구도를 보인다. 전자에서 정선양반은 표면적으로는 고결한 정신 상태를 보이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몰염치한 면을 드러내는 이중성을 보이며, 천부 또한 표면적으로는 양반에 상응하는 덕목을 갖춘 듯이 기술되지만 그 이면에는 남의 어려운 틈을 타 사욕을 채우려는 욕망이 드러난다. 후자에서 정선 양반은 선비의 미덕을 갖춘 훌륭한 양반으로 기술되지만 그 이면에는 생활력이 부족한 무능력함을 드러내며, 군수는 표면적으로는 관할 백성들을 편안하게 다스리고자 애를 쓰는 면이 부각되지만 그 이면에는 특정세력의 이익을 위해 간계를 쓰는 사악함을 담고 있다. 결과적으로 『방경각외전』의 다른 작품들처럼 존귀함과 고결함이 역설 관계를 보이는 게 아니라 어느 한쪽도 정상적으로 살아나가기 어려운 총체적 난국임을 드러낸다. 셋째, 전체구성에서 <양반전>에 나타나는 양반상을 살피면 박지원이 <명론(名論)>에서 주장한 명(名), 욕(欲), 치(恥)는 중요한 준거가 된다. 박지원은 세상 모든 사람들이 군자일 수 없기에 명과 욕과 치를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세상이 잘 다스려진다고 보았는데, <양반전>의 세 인물은 최소한 어느 한쪽의 부족으로 인해 한결같이 결함을 지니게 된다.

      • KCI등재

        『三國遺事』「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條의 삽화 구성과 그 의미

        이강엽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6 No.-

        이 글은 三國遺事 <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條의 개별삽화들의 구성을 토대로 전체 조목의 의미를 조망하고자 씌어졌다. 첫째, 개별삽화들이 갖는 공통적 특성을 찾아보았다. 이 조목에는 義湘, 元曉, 梵日, 乞升, 調信의 다섯 인물의 삽화들이 이어지는데, 어느 이야기에서든 중심되는 사건은 두 차례에 걸쳐 반복되는 행위를 하도록 구성되어 전체 이야기에 통일성을 심어주면서 각 삽화들의 다양성을 짚어낼 근거가 되기도 한다. 둘째, <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條의 전체 구성과 調信 삽화의 의미에 대해 살폈다. 먼저, 義湘은 眞身의 친견을 원했고, 元曉는 의상이 모신 眞身을 찾아 예불하고자 했으며, 梵日은 당나라의 고승을 만나 불법을 구하고자 했고, 乞升은 보물 구슬을 수호하려 했으며, 調信은 배필을 원했다. 그리고 그 결과, 義湘은 절을 짓고 관음보살을 친견하였고, 元曉는 眞身의 現身을 뒤늦게 깨닫지만 끝내 親見하지 못하고, 梵日은 뒤늦게 깨달은 뒤 절을 세우며, 乞升은 땅에 묻어 보물을 지키며, 調信은 잘못을 뉘우치며 절을 세우고 정진한다. 다음으로, 각 인물이 이룬 成敗의 의미를 탐색했다. 의상은 두 차례 모두 초월적인 존재의 뜻에 따랐고 원효의 모두 인간의 뜻대로 행했다면, 범일과 걸승은 한 차례는 인간의 뜻에 따라 실패하지만 한 차례는 초월적인 존재의 뜻에 맡겨 성공하게 된다. 조신은 그 처음부터 이야기가 끝나갈 무렵까지 모두 인간의 뜻을 고수하다가 맨 뒤에서 초월적인 존재의 뜻에 따르는 쪽으로 선회하여 정진함으로써 앞선 삽화들을 아우른다. 이는 인간의 뜻에 따라 일을 행할 때보다 하늘[혹은 부처]의 뜻에 따라 일을 할 때 더욱 큰 성취가 일어나는 것을 강조한 처사로 보인다. 끝으로, 전체구성의 관점에서 <調信> 삽화의 의미에 대해 살폈다. 다섯 인물의 俗化 정도로 따지자면 의상>원효>범일>걸승>조신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일정한 흐름을 보인다. 또한 <調信>삽화에서는 앞서 보인 네 삽화의 핵심적인 내용들이 조금씩 스며들어있어서 전체적으로는 종합적인 완결판처럼 여겨지게 되어 있다. 최종적으로는 앞선 삽화들에서 부분적으로 드러나던 관음보살의 자비와 정취보살의 지혜가 극적으로 통합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전체 조목이 하나의 주제로 응집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entire chapter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its meaning of episodes of the chapter <Avalokitesvara and Ananyagamin, two saints of Naksan and Choshin> of the Samkukyusa. Firstly, I try to find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llustrations. Those episodes about five characters - Uisang, Wonhyo, Bumil, Girlseung and Choshin- appear to show that a central incident repeats twice in that chapter. Secondly, I examine entire composition of this chapter and the meaning of episode about Choshin. Uisang wants to meet Jinshin, kind of real body of Buddha, in person and Wonhyo desires to find the Jinshin of whom Uisang took care in order to have a Buddhist service. Bumil tries to gain the philosophy or norm of Buddhist and Girlseong wants to secure a treasure marble. Choshin wishes to have a suitable partner. As a result, Uisang builds up a temple and met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in person and Wonhyo, even though he realized the presence of Jinshin too late, ends up failing to meet Jinshin in person. Gaining wisdom later, Bumil builds up a temple and Gilseong keeps the treasure marble by burying it in the ground. Deeply repenting his fault, Choshin builds up a temple and then devotes himself to study Buddhism. Thirdly, I explore the meaning of the success and failure made by each character. Uisang, in both two occasions, complies with the transcendent God's wishes. Bumil and Girlseung fail at the first time because they yield to ordinary people's will, while they succeed at the second time by following the transcendent God's wishes. In contrast, Choshin sticks to ordinary people's will but, finally, he serves at the pleasure of the transcendent God's wishes and thus devotes himself to study Buddhism. Finally, I examine the meaning of the episodes about Choshin in terms of its entire composition. Considering the degree of secularization, the episode about Uisang is most heavily secularized one, the one about Wonhyo is the second and the one about Bumil is the third. The ones of Girlseong and Choshin takes the places of third and fourth. These shows a certain flow. Moreover, in the episode about Choshin, the core contents of all the episodes about four characters are integrated and describ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바보행운담과 삶의 진정성

        이강엽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4 No.-

        This study focused on and examined the authenticity of life with regard to the meanings of the stories of fools' good fortune, depending on the types that fools get good fortune among the tales of fools. How the stories of fools' good fortune existed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ir meanings by classifying them into several types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isting patterns on the stories of fools' good fortune, the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First, a type that good fortune comes through an unexpected opportunity Second, a type that good fortune comes by another person or creature's help Third, a type that good fortune comes by a smart person's misjudgment or misunderstanding Fourth, a type that good fortune comes when the concerned fool changes on a specific occasion The meanings of the four types mentioned above have been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ly, accidentally obtained good fortune has a meaning more than accident. Although, superficially fortune seems to be brought by accident, on the other side, good fortune was meant to be. Even though a fool appears to be foolish superficially, on the other side, merits that can offset such foolishness potentially exist. Though separately good fortune can be generated by accident, when it is built up in sequence, they may create an epoch making accident. In this regard, those stories urge to recover the flexibility in life, no matter what the situation is. Secondly, as for the type that good fortune comes by the help from another person or creature, although one cannot solve a problem, as a fool's authenticity is known, another person or creature can help to solve the problem. A setting in which a wise woman comes to see a fool implies that the fool has potential merits to the extent that a woman actively finds and helps the fool. By demonstrating a simple belief that the Creator can be touched and that some help can be brought about, if a person gives warm heart to another, a message for harmony and co-existence in communal life is sent. Thirdly, in the stories that fools obtain good fortune by another person's misjudgment, misunderstanding, or a mistake, we may fi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based on optimal view of life. Through the stories about a fool can do something, which an able man cannot, a poor fool may marry a rich bride, or about good fortune of a fool cannot be destroyed thoughtlessly, a positive view of world accepting that anyone has his/her own role and bliss is unfolded. Lastly, in the stories that good fortune comes by a fool's change, the change seems to fool's change superficially. However, in fact, general people spend their energy to think of, worry about, and prepare something in advance, but fools always concentrate on the problem they face with, and find a breakthrough. As we can see through the discussion results above, the stories of fools' good fortune make us look back upon the general people's lives. Those stories imply a warning that the world is not exclusively for those who are smart, and also a voice to call upon communal life. In other words, it is interpreted that the stories of fools' good fortune emphasize the need for authenticity simply and honestly facing with problems, as much as an ability to wisely solve problems. 이 논문은 바보설화 중 바보 인물이 행운을 얻는 유형인 바보행운담의 의미에 대해, 주로 ‘삶의 진정성’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바보행운담이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해 개략적으로 파악한 후 몇 부류로 나누어 의미를 분석하였다. 우선, 바보행운담의 존재양상에 대해 살핀 결과, 그 행운이 오는 경로에 따라 네 부류로 구분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첫째, 우연한 기회에 운이 좋아 행운이 오는 부류, 둘째, 다른 존재의 도움에 따라 행운이 오는 부류, 셋째, 똑똑한 사람의 착각이나 오해에 따라 행운이 오는 부류, 넷째, 바보 인물이 특정한 계기에 변화함으로써 행운이 오는 부류이다. 다음으로 네 부류의 의미에 대해 살폈다. 첫째, 우연히 얻어진 행운은 우연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표면상으로는 우연이지만 그 이면에서는 그럴법함을 갖추고 있으며, 표면에는 우둔함이지만 이면에는 그 우둔함을 상쇄해줄 장점 또한 잠재하고 있고, 하나씩은 사소한 우연이지만 그것들이 연쇄적으로 누적되면 획기적 사건을 만들어낼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이 이야기들은 어떤 것이든 삶의 유연성을 회복할 것을 촉구한다. 둘째, 다른 존재의 원조에 따라 행운이 오는 부류는 자신은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자신의 진정성이 알려져서 그 일을 해결할 수 있는 존재가 도와줄 수 있다는 믿음이 작동한 것이다. 현명한 여자가 바보를 찾아온다는 설정이 가능한 것은 바보인물에게는 그런 여자가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서 도움을 줄 만한 장점이 잠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자기의 불편함을 미루어 다른 존재에게까지 온정을 보내면, 하늘을 감동시켜 그 도움이 올 수도 있다는 소박한 믿음을 보임으로써 공동체적 삶에서 추구해야할 화합과 공존의 메시지를 준다. 셋째, 상대의 착각이나 오해, 실수에 의해 바보가 행운을 얻는 이야기들에서는 낙천적 인생관을 기반으로 하여 삶을 긍정하는 자세를 읽어낼 수 있다. 능력 있는 사람이 못한 일을 바보가 하고, 가난한 바보도 부잣집에 장가들 수도 있으며, 바보의 복도 함부로 채뜨릴 수 없다는 내용을 통해, 사람에게는 누구나 주어진 역할이 있고 그에 따른 分福이 있음을 긍정하는 세계관이 펼쳐진다. 넷째, 바보인물의 변화에 의해 행운이 오는 부류는 이야기의 외형상 인물의 변화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바보 인물은 언제나 문제에 직면하여 맞닥뜨리는 일에 충실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인들이 미리 생각하고 걱정하고 준비하는 데 힘을 쏟는 반면, 바보는 언제나 직면한 문제에 열중함으로써 돌파구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바보행운담은 기실은 보통사람들의 삶을 되짚어보게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해 순박하고 소박하게 맞서는 진정성을 역설한 것으로 풀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바보설화에서 바보를 보는 시각과 공생의 문제

        이강엽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1

        This paper explores types and meanings of symbiosis demonstrated in fool folktales while focusing on the problem of symbiosis in which fool characters live together with others. First,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to view fools. First, the fool is a little bit foolish, but he is a sincere and simple person, so he can live well with just a little help. Second, the fool is a man who can be tricked and taken advantage of, and third, that person who took advantage of the fool should be punished. Second, I looked at the symbiosis with the fool. The four types derived from this are the “assistive type” where normal people help the fool, the “inverted type” due to the mistake or illusion of normal people, the “innocent type” where the fool's innocence retributes, and the “leap type” in which the situation suddenly changes due to a sudden jump or a chain of actions of the fool. Fool characters of the assistive type possess good personalities, and they receive compassion and sympathy from surrounding characters. The inverted type indicates the orientation of some balance and reconciliation by showing that many mainstream groups are rather inferior to a few minority groups. Within the innocent type, the fool characters ironically get rewarded from not being able to handle works properly. The leap type emphasizes that, considering that anyone can become valuable and can become a hope in a poor life, we should regard each other valuable just because we are humans and live out well together. The point that there exist such possibilities to seek ways of symbiosis in fool folktales is meaningful for finding a way to seek ways of living well together by communicating with the social weak. 이 논문은 바보인물이 주변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문제에 중심을 두고, 바보설화에서 바보를 보는 시각과 바보설화에 나타난 공생의 유형과 의미에 대해 탐구하였다. 첫째, 바보를 보는 시각은 세 방향이다. 바보인물은 조금 모자라기는 하지만 순박하고 성실한 인물이어서 조금만 도와주면 잘 지낼 수 있다는 시각과, 바보인물은 어리석기에 그를 속여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시각, 바보인물을 속여 잇속을 챙긴 사람은 응징해 마땅하다는 시각 등이다. 둘째, 바보인물과의 공생에 대해 살폈다. 여기에서 도출된 네 유형은 보통인물이 바보인물을 돕는 ‘조력형(助力型)’, 보통사람의 잘못이나 착각 등으로 인한 ‘전도형(轉倒型)’, 바보인물의 천진함이 보응을 불러오는 ‘천진형(天眞型)’, 바보인물의 갑작스러운 비약이나 행위의 연쇄에 급전이 일어나는 ‘비약형(飛躍型)’이다. 조력형의 바보인물들은 선량한 인물들로 주변인물들로부터 연민과 동정을 받는다. 전도형은 다수의 주류집단이 소수의 비주류집단에 비해 오히려 못한 모습을 보임으로써 일정 부분 균형과 화해의 지향 가능성을 내비친다. 천진형은 바보이기 때문에 세상일을 제대로 처리할 수 없었고 그 덕에 도리어 보답을 얻어내는 내용이다. 비약형은 누구나 귀하게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열악한 삶 속에서의 희망이 되기도 하며,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귀하게 여기고 함께 살아나가야 함을 역설한다. 바보이야기에서 이렇게 공생의 길을 모색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은 사회적 약자와 소통을 통해 함께 잘살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일이다.

      • KCI등재

        바보설화의 전통과 현대적 변모 양상

        이강엽 洌上古典硏究會 2002 열상고전연구 Vol.15 No.-

        This thesis aimed at researching the tradition and modern transformation of fool-folktales. To purpose it, first, I confirmed old tradition of fool-folktales, and second, studied Jaedamjip(a kind of gag collection), modern novel, and humor of PC-network. There are five type in old fool-folktales, i.e.'foolish coduct' type, 'foolish nobleman' type, 'foolish son-in-law' type, 'idiot's filthy tales' type, and 'good luck of fool type'. The following is result of researching modern transformation of fool-folktales founding on comparing with old fool-folktales. First, humor in Jaedamjip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 writing as popular taste. Generally, following old fool-folktales, it described cultural shock occuring in transition period. Also it taught readers new problems born in new age, and urged enlightenment. Second, foolish character presented in modern novel of Yoojeong Kim, Mansik Chae, and Taeeung Chio. They has important social meaning of colonial tyranny, confusion in independent period, and wound of war, through complex narrative. Third, humor of PC-network(internet) has characteristic showing attactive attendance. It seems to make out of giving consolation for modern people pained by heavy competition. And it function as instant responding with current questions.

      • KCI등재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대립적 구성과 신화적 이해

        이강엽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5

        이 글은 『삼국유사(三國遺事)』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가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두 대 립적 인물이 등장하여 서사를 이끌어간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신화적 이해를 모색하기 위 해 씌어졌다. 첫째, 하늘-아버지와 땅-어머니라는 견지에서 남신과 여신의 특성을 간략히 정리했다. 먼저, 남성은 머리이고 여성은 몸이라는 대립적 자질을 보이는 것을 필두로 하여, 차별성과 평등성, 지혜와 사랑[불교의 ‘자비(慈悲)’]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관음과 문수가 서사에 관여하는지 살폈다. 먼저 이 조의 구성을 살핀 결과, [관음] 삽화가 학문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한다면 [문수] 삽화는 세속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하는 식으로 두 서사단락이 대립쌍을 이루었다. 다음으로, 두 삽화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관음] 삽화는 경흥이 지혜(智慧)를 내세워 생긴 문제 해결을 위해 감성(感性)을 보충하는 방법이 쓰인 데 비해 [문수] 삽화에서 는 교만한 마음이 들어 문제를 일으키자 혹독한 질책으로 문제를 깨우치게 했다. 다음으로, 전자가 해학을 통해 양자의 동화(同化)에 주목했다면 후자는 풍자를 통해 양자의 이화(異化) 에 주목했다. 끝으로, 경흥을 대하는 태도가 관음보살은 연민에 기반하는 데 비해 문수보살 은 시비(是非)를 가려내는 데 치중한다. 결국, 두 삽화는 먼저 지혜를 깨쳐준 후, 거기에 자 만하여 청정(淸淨)함을 잃은 데 대해 질책하여 다시 중심을 잡아주는 식으로서 서사가 통합 되었다. 셋째, 이야기 속에 담긴 현실 문제를 짚어보았다. 경흥은 신라와 백제 사이에서 고민하 는 가운데 처세(處世)와 처신(處身)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타개해나가는 서사였다. 또, 맨 끝에 일연이 마무리 진술과 찬시(讚詩)를 덧보탬으로써 신화적 통합과 현실적 타협을 이루 어냈다.

      • KCI등재

        효행담의 새로운 이해와 교육

        이강엽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9 No.-

        This paper understood the stories of filial piety from a new angle, based on which, did research on an educational plan. First, this paper checked the characteristic of the stories of filial piety. A difference between a story of filial piety and a daily life is that a story of filial piety is woven around unusual contents, so it's desirable for readers to accept the trials and miracles exposed in stories of filial piety as the contents distinct from one's real lif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terials on stories of filial piety, they were roughly divided into three types of story groups, i.e. a story of a miracle's happening after withstanding trials; a story of feeling regret for filial impiety, or doing repentance, and a story of being converted to filial piety by using filial impiety. Among these stories, the story of filial piety showing the largest distribution is the first type. In view of such points, three problems were examined in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narratives. First, in selection of topics, there is the necessity of diverse types of filial piety narratives' having to be aggressively selected. The most printed first type of filial piety story has an aspect of making it difficult to accept a main character's filial affection comfortably due to the appearance of a young child as a main character on the whole. Second, there is the need to consider a story, in which the people, who repent their filial impiety, appear, or a story, in which parents arrange the condition for children to do filial piety. Next, a method of re-narrative of reconstituting a new topic by intro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 For example, even in case of a filial piety story putting emphasis on sacrifices, it's preferable to broaden the width of deep impression while carefully reading out the concret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a work rather than writing up a story in the form a discussion, or a subject of a composition away from the descriptive context. Lastly, it's necessary for education to arrange the strategy for broadening the width of empathy. Should the filial duty emphasized in filial piety stories be linked with other ethical virtues other than just remaining in a story, or be extended up to the respect for other senior citizens, the width of empathy will be much bigger. 이 논문은 효행담에 대해 새롭게 이해하고, 그 교육 방안에 대해 탐구하였다. 첫째, 효행담의 특성에 대해 점검했다. 이야기가 일상과 다른 점은 특이한 내용이 중심이라는 점이며, 효행담에 드러난 시련과 기적을 실생활과는 구분되는 내용으로 수용해야 한다. 둘째, 효행담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대략 ‘시련을 견디고 기적이 일어나는 이야기, 불효를 후회하거나 개과하는 이야기, 그리고 불효를 이용하여 효도로 전환하는 이야기’의 세 유형이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효행담은 첫째유형이며, 둘째 유형은 그보다 적고, 셋째 유형은 실린 바가 없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효행담의 교육에서는 세 가지 문제가 검토되었다. 먼저, 제재 선택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효행담이 적극적으로 선택될 필요가 있다. 첫째 유형의 효행담은 주인공이 겪는 시련도 어려운 데다 주인공이 대개 어린아이로 등장함으로써 주인공의 효성을 편안하게 받아들이기 어렵게 하는 측면이있다. 둘째 유형과 셋째 유형의 효행담이 적극적으로 취택되어 편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부모자식 관계를 상정하여 제재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재화(再話)의방식이 요구된다. 가령, 서사문맥을 벗어나 토론이나 작문 주제 등으로 활용하기에 앞서 부모자식 관계 등을 세심하게 읽어내면서 감동의 폭을 넓혀야 한다. 끝으로, 교육에서 공감을 폭을 넓히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효행담에서 강조하는 효(孝)가 거기에 머물지 않고 다른 윤리 덕목과 연계된다거나, 자기 부모에대한 효도에서 다른 노인에 대한 공경까지 나아간다면 공감의 폭은 더욱 넓어질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