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건축물 외부색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윤희철,Yoon, Hee-Cheol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06 교육·녹색환경연구 Vol.5 No.1

        This study tried to search the defferences between color designer's intentions of the exterior color design in elementary school design and the students' recognitions. I made a questionar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3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the north Kyung-Gi Do. I got the som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have different recognitions of the exterior color of the school from coloer designers' intentions. Second, with fixing the Hue, changing the Value and Chroma, the students have more preferances than before. And they have more preferances in high value higher than N8, and they have more preferance lower than 4 in chroma. But in chroma, they have highest preferance in existing status which are low chromas. Therefore, when exterior color designing in elrmentary school design, designer must consider high value higher than N8, and low chroma lower than 4.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필요 면적과 모듈에 관한 연구 - 경기북부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윤희철,Yoon, Hee-Cheol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1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0 No.3

        우리나라는 OECD 국가 평균수준과 2025년에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 실시와 관련하여 학급당 학생수를 20명 이하를 준비해야하는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급당 학생수 20명 이하에 적합한 학급교실의 크기와 모듈에 대하여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본인이 앞서 연구한 경기북부의 초등학교 10개교에서 조사하였던 학급교실의 통로폭을 바탕으로 20명 규모의 학급교실에 필요한 모듈과 면적을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식 수업에서 2열 배치는 최소 5.4m × 8.1m(43.74m<sup>2</sup>), 최대 5.4m × 8.7m(48.6m<sup>2</sup>)의 면적이 필요하다. 둘째, 일제식 수업에서 3열 배치는 정방형의 모듈이 필요하며 최소 7.2m × 7.2m(51.84m<sup>2</sup>), 최대 7.5m × 7.5m(56.25m<sup>2</sup>)가 필요하다. 셋째, 모둠 수업은 4인 1조와 5인 1조로 구분할 수 있으나 필요 면적에는 큰 차이가 없다. 최소 6.0m × 8.7m(52.2m<sup>2</sup>), 최대 6.3m × 9.3m(58.59m<sup>2</sup>)가 필요하다. 넷째, 모둠 수업이 일제식 수업(2열 배치)보다 최소 2.34m<sup>2</sup>에서 최대 14.85m<sup>2</sup>가 더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 다섯째, 3열 배치를 제외한 2열 배치와 모둠 수업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모듈은 6.0m × 8.7m(52.2m<sup>2</sup>)이다. 여섯째, 현재의 교실과 비교하면 최소 10.3m<sup>2</sup>에서 최대 23.76m<sup>2</sup>를 줄일 수 있다. Before long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 class will be 20 in Korea, but the current Area and Module of Elementary School are planned for 30 students. Therefore, necessary Area and Module for less than 20 students should be prepar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necessary Area and Module for less than 20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 researched 60 Classrooms of 10 Elementary Schools before 2 researches of mine, and researched the sizes of every path in the classrooms. With the Plans for 20 students, I foun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one-way class requires a minimum of 5.4m×8.1m (43.74m<sup>2</sup>), a maximum of 5.4m×8.7m (48.6m<sup>2</sup>). Second, the 3-row alignment class requires a minimum of 7.2m×7.2m (51.84m<sup>2</sup>), a maximum of 7.5m×7.5m (56.25m<sup>2</sup>). Third, the group study class requires a minimum of 6.0m×8.7m (52.2m<sup>2</sup>), a maximum of 6.3m×9.3m (58.59m<sup>2</sup>). Fourth, the group study class requires a minimum of 2.34m<sup>2</sup>, a maximum of 14.85m<sup>2</sup> more than the one-way class. Fifth, the suitable module which fits both 2-row alignment class and group study class except the 3-row alignment class is 6.0m×8.7m (52.2m<sup>2</sup>).

      • KCI등재후보

        교과교실제 운영에 따른 교과교실 공간배치 구성에 관한 연구

        윤희철,Yoon, Hee-Cheol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1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0 No.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2009 to 2014, try to establish the setting of Department System in the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y selected 45 Schools in 2009 and 61 Schools in 2010 for the Advanced Department System. I studied 2 High schools in 2009 and 3 High schools in 2010 of them, which located in GyeongGi-Do. I studied the Location of Department Classrooms, Teachers' Labs, Homebases and Resting Spaces of them. The conclusions are follows. 1) Most of them take Horizontal Zoning System in the Department Classrooms. 2) The Number of Teachers' Labs were increased in most of floors. On the other hand, most of Labs' Area were decreased. Every department Classroom Zone has one Teachers' Lab. 3) Every schools took much more spaces of Homebases and Resting Spaces than before. And various Resting Spaces using Corridors and Outdoors are prepared for students, those who moves every changing class time by the Department System.

      • KCI등재

        남양주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 폭에 관한 조사 연구

        윤희철,Yoon, Hee-Cheol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0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9 No.4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평균 22.3명(2017년 기준)으로 우선 OECD 평균인 21.3명에 비해 1명 정도가 더 많은 수준이다. 최근에 교사들이 OECD 상위수준인 초등 19.2명(2015년 기준)으로 학급당 학생 수를 감축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면 초등학교 학급당 인원은 최대 20명 정도로 귀결될 듯하다. 본 연구는 20명 수준에 맞는 학급교실의 모듈을 설정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모듈결정에 주요 변인이 되는 교실에서의 각 지점의 통로폭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남양주 지역에 위치한 2010년 이후에 개교한 초등학교 중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교 1, 평균에 가까운 학교 3, 가장 적은 학교 1개교 총 5개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학교 당 저, 중, 고학년 각 2학급씩 총 30개의 교실을 대상으로 학급교실에 필요한 교사 및 학생들의 개인공간 크기, 교구를 둘러싼 통로 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의 크기를 결정짓는 가장 기초적인 단위공간인 학생들의 책걸상으로 학년에 관계없이 책상은 650(W)×450(D), 걸상은 380(W)×400(D)의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책상 간 거리는 앞뒤 거리는 45cm의 걸상 깊이(D)에 뒤 책상 경계와 5cm의 여유를 둔 50cm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학생 1인당 단위공간의 크기는 650(W)×950(D)이 된다. 둘째, 대부분(87%)의 교실들이 일제식의 책상배치를 하고 있고, 모둠학습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학급은 13%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학급이 평상시에는 일제식 수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교실에서 학생들이 이동 가능한 통로 폭은 조사한 학교들의 평균값에 의거하여 ① 칠판과 최전열 책상 간 최소 폭은 2.17m ② 최후열 걸상에서 뒤쪽 사물함과의 최소 통로 폭 1.32m ③ 복도쪽 벽에서 책상(걸상)까지 최소 폭 0.8m ④ 창가에서 책상 간 최소 폭 0.8m ⑤ 책상 간 종통로 2개의 평균 폭은 각각 0.67m, 0.68m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공간의 면적은 가로 2.1~ 2.25m ×세로 2.16m=4.5~4.8㎡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out the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amyangju City, Kore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unit for 1 student was 650 (W) × 950 (D). Second, the desk placements for most classrooms were one-way types (87%), and group-study types constituted 13%. Third, the width between the blackboard and the very front desk was 2.17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very back seat and the backside lockers was 1.32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window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average widths of 2 vertical passages between the desks were respectively 0.67 m and 0.68 m. Fourth, the area of the teacher was 2.1-2.25 m × 2.16 m = 4.5-4.8 ㎡.

      • KCI등재

        체성감각피질에 적용된 경두개자기자극이 프리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윤희철(Yoon, Hee-Chul),이경현(Lee, Kyung-Hyun),이지항(Lee, Ji-Hang)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3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rism adaptation have received extensive research interests for the last few decades, and the recent emergence of the cognitive neuroscience has started to unveil the neural correlates of this proces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facilitating such sensory-motor realignment process isn’t clea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proprioceptive suppression as one of the driving mechanisms for the prism adaptation. Single puls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when applied to the somatosensory cortex can simulate the proprioceptive suppression. If this suppression is a part of the adaptation process, the changes in the adaptation pattern can be hypothesized if the TMS introduced this in an artificial manner. As a result, the amounts of changes in total (total shift) and proprioceptive (proprioceptive shift) perceptions did not displayed the influence of the TMS upon completion of the prism adaptation process.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reveal the effect of the TMS during the prism-on period. The rate of adaptation and the amount of trial-to-trial adjus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stimulation was applied during the initial phase of the reaching movement. While the effect of TMS successfully facilitate the adaptation process during the prism on trials, the performance seems to experience the saturation effects so that the benefit of the proprioceptive suppression may not be reflected to the post-prism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influence of the proprioceptive suppression during the prism adaptation process has been confirmed.

      • KCI등재

        저층 건축물의 지붕색과 몸통색의 적정 명도차에 관한 연구

        윤희철(Yoon Heecheol)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지붕과 몸통으로 이루어진 층 이하의 소규모 건축물들에 4 있어서 지붕색과 몸통색이 일정한 명도차이를 유지하면 색상을 달리 하더라도 비교적 일정한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건축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Brown(5R 4/2), Gray(N4) 2가지의 지붕색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붕과 몸통으로 구성된 입면도를 2층, 3층, 4층으로 작성하였다. 몸통색은 한국표준색표집에서 R, Y, G, B의 색상 중 각 색상의 순색에 가까운 5R, 5Y, 5G, 5B에 있는 색상 챠트에서 4가지 계열 모두 3에서 9까지의 7단계의 명도 단계를 공통적으로 가질 수 있는 채도로 각 색상마다 ‘2’의 채도를 가지는 색상을 선택하였다. 설문은 학생들에게 7개의 입면을 빔프로젝트를 통하여 한 화면에 비춘 뒤 선호하는 입면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된 설문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가지 지붕색에 따른 지붕색과 몸통색간의 명도차는 몸통색이 3∼4정도 더 높은 명도차를 가지면 양자간의 비교적 조화로운 배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지붕색에 따른 몸통색의 색상 선호도 차이는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rown과 Gray계열의 지붕색에서는 어떠한 지붕색을 선정하던지 3∼4정도의 명도차가 있는 몸통색을 선정하면 일정한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붕색을 고정하고 몸통색을 변화해도 일정한 명도차(3∼4)의 명도를 지닌 배색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지붕색의 명도가 ‘4’라면 몸통색의 명도가 7∼8정도이면 어떠한 색이건 지붕과 몸통은 일정한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성별에 따른 선호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몸통색의 명도가 약간 더 낮은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의 경우 여자들보다 지붕색과 몸통색의 명도차가 낮은 배색을 하는 것이 더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다섯째,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근소한 차이이기는 하나 지붕색과 몸통색의 명도차가 작은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여자보다 남자가,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지붕색과 몸통색의 명도차를 더 낮게 배색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I supposed, in those buildings that lower than 4th floor which consisted of Roof and Body, if you keep a little bit Value differences between Roof and Body Colors, even though their different colors, anyone can get reasonable Color Harmony. To verify this, I made some elevations that consisted of Roof and Body with 2nd, 3rd, 4th floor. I chose two colors of Roof which made of shingles, Brown(5R 4/2) and Gray(N4) colors. And I took the colors of Body that have Chroma "2", which have Value 3 9 in 5R, 5Y, 5G, 5B. I selected ~ every Body Colors in the color chart "Korean Standard Color(1991)". And then I took some questionnaires to 121 students who study architecture in the university by using beam projector in the dark room. After that, I analyzed those datum with SPSS package. Analysis methods are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s. In conclusion, 1st, in case of two Roof Colors(Brown(5R 4/2) and Gray(N4)), if Body"s color is 3~4 higher Value than Roof, there will be reasonable Color Harmony between Roof and Body Colors. 2nd,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Body Color in according to Roof Color. Therefore, there will be somewhat reasonable Color Harmony between Roof and Body Colors even if you select any Roof Color that has 3~4 differences of Value in those cases of Brown and Gray Roof Color. 3rd, many students prefer 3~4 higher Value color arrangements in every Body Colors with fixing Roof Color by one. 4th, in the preference of sex, men prefer lower Value of Body color than women. Therefore, to make higher preferences of Color Harmony for men, you"d better to make arrangement lower differences of Value between Roof Color and Body Color. 5th, higher grades prefer little differences of Value of Body and Roof Color arrangements. Therefore, you"d better to make arrangement lower differences of Value between Roof Color and Body Color for men and higher grades.

      • KCI등재후보

        노인생애에 따른 노인주택의 가변적 실내 공간디자인 연구

        윤희철 ( Hee Chul Yoon ),김주연 ( Joo Yun Kim ),김정욱 ( Jung Wook Kim ),전태숙 ( Tea Suk J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사회 진입을 맞아 노인층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특성은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되는 생애를 갖는다. 이와 같이 심신의 기능 저하와 요구되는 생활 형태적 특성의 니즈를 고려하여 생애 별 보다 안락하고 행복한 생애를 갖도록 가변적인 디자인 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귀농, 귀촌을 통해 농촌에 정착하는 노인층 진입단계에서 새로운 삶의 시작과 그 후 육체적 정신적 쇠약해 지는 단계, 그리고 평안한 죽음을 기다리며 마지막으로 생을 다하는 단계까지를 연구의 시간적 디자인 범위로 잡았으며 공간적 디자인 범위는 노인이 생활하는 주택내의 주거공간으로 전제하였다.(결과)결과적으로 디자인 컨셉을 제1생애“새로운 삶의 시작, 새로운 희망의 조각”의 오브제로써 기본모델을 기준하여 제2생애“심리적 치유와 불편해지는 신체의 보조역할” 제3생애 “인생의 회상과 죽음의 준비와 신성함”을 공간디자인 컨셉으로 하여 “머사 앤 리 사용자 이득”이론에 의해 발취된 디자인 요소를 반영하여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progression of the aging society,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are changing. Considering mental and physical impairment as well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examines changeable design alternatives for a more comfortable and happy life for the aged. (Method) The range of visual designs included several steps, including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 generation, returning to rural areas, settling in rural areas, starting a new life, physical and mental decline, fulfilling the last stages of life, and waiting for a peaceful death. The range of spatial designs was based on the home residential areas. (Result) The first life.“beginning of a new life, a piece of new hope”. was proposed as the standard basic model for the design concept. The second life, “psychological cure and assistant role for inconvenient body,” and the third life, “recall of life, preparation and sanctity of death,” were selected for the space design concept. Both design concepts were proposed based on Murtha and Lee`s User Benefit Criteria.

      • KCI등재
      • KCI등재

        세계 정상급 엘리트 배드민턴 남자복식 선수들의 초구 선택유형과경기력과의 관계

        윤희철 ( Hee Chul Yoon ),이지항 ( Ji Hang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세계정상급 배드민턴 남자복식 선수들의 서비스권 경기 및 랠리포인트 경기를 통하여 서비스 리턴 및 서버의 초구에 해당하는 3구 등의 랠리 상황에 따른 타구들이 득·실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공격기회의 증대 및 효율적으로 득점을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전술적 방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경기분석 대상자는 각 국가를 대표하여 주요 국제대회 3위 이상의 입상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남자복식 12팀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랠리포인트 3경기 및 서비스권 3경기에서 12팀의 선수들이 시도한 전체 타구의 유형에서는 랠리포인트 경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격타구 성향의 기술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 시도 후와 서비스 리턴 후의 경기상황을 구분한 후 타구성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리턴 후의 상황에서 공격타구의 비율 및 승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버의 3구 시도 종류에 따라서 승, 패 및 승률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경기에서 차이가 없었다. 서비스 리턴 타구 종류에 따른 승, 패의 분석에서는 랠리포인트 경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서비스권 경기에서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를 시도한 선수가 상대의 서비스 리턴을 공격적으로 대응하여 처리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서버의 적극적 3구 처리시 공격타구의 비율 및 승률의 분석 결과, 랠리포인트 경기에서는 승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서비스권 경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한국 남자복식 선수들은 서비스 시도 후 상대의 리턴 종류 및 방향을 예측하고 경기초반에 공격적인 전위 플레이를 전개하는 것이 더 좋은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service return and the 3rd stroke in relation to the winning and losing points in Badminton men``s doubles matches. Especially the comparison of the patterns between rally point and service server game systems was made. Video records of 12 top elite team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troke patterns between the rally point system and the server game, and there was a higher offensive stroke tendency. After classification of situations with ‘after the service trial’ and ‘after the service return’, there were high number of winning ratio and offensive stroke in the after the service situ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nning/losing points and winning ratio when the types of 3rd shot attempts were analyzed. I case of the win and lose in service retur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ver game while not in the rally point system. offensive stroke ratio in the server’s return categories and the service return strokes’ categories, and was no difference in shots after the return of service in the server team. From the investigation of offensive stroke ratio and winning ratio, there was a high ratio in the rally point system game but no difference in the server game. When aggressive service return took place, rally point system had higher winning ratio, but the server game system did not display such characteristic.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of service anticipation and aggressive plays for Korean Men``s doubles game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16주간의 체육영재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유소년의 스포츠 성취목표성향 및 내적동기의 변화

        윤희철(Yoon, Hee-Chul),이지항(Lee, Ji-Ha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fferenc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training program participation group and non participation group.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tudents in S city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 total of 74 students were in the training program participation group and 51 students were in the non training program decided. Two time repetition measurement per 16 weeks were executed for 2×2 mixed design with repeated measure. The scale was developed by verification of task-disposition, self-disposition and enjoyment-effort, perceived competence, tension based on understood by children. For this statistic SPSS 12.0 for window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wo-way mixed ANOVA.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utual affect between training program and non participation group on task-disposition. Second, there was no mutual affect between training program and non participation group on self-disposition. Third, there was mutual affect between training program and non participation group on enjoyment-effort. Fourth, there was no mutual between training program and non participation group on perceived competence. Fifth, there was no mutual between training program and non participation group on tension. In conclusion, training program participation of Youth tended to have effect increasing task-disposition, enjoyment-effort but have little effect increasing self-disposition, perceived competence, t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