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등권이론의 발전과 현대적 의의 :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윤진숙(Yun Jin-Sook)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論叢 Vol.21 No.-

        It is clear that the legal guarantee of equality and the guarantee of women’s rights equal to men’s, taken seriously in the liberalistic legal system, established the cornerstone of extending women’s rights. However, while women and men should be treated equally under law, there are situation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in which they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Therefore, in addition to an ethic of justice based on the logic of universal moral principle, a concept of justice which takes human relationship seriously and gives more consideration to the loss impacting all concerned than to the relationships of particular interests, in other words, an ethic of care which manifest more with women, can also be understood as another principle of justice. According to MacKinnon, even a nation and the law are not neutral, and this is so because when the law is interpreted by the group in power, dominantly of men, there is ample likelihood of male-oriented interpretation. In addition to formal equality, if practical equalit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 due to the woman’s body and the particularities of being the subject of sexual domination is not given consideration, then the meaning of equality for women becomes tarnished. Therefore a further step needs to be taken from the stage of guaranteeing formal equal rights to that of guaranteeing substantial equality. To achieve guarantee of substantial equality, a critical self-examination must first be made of the principle of formal equality that the liberalistic legal system, which had been developed based on the ideology of modern liberalism, attempted to guarantee. Walzer criticizes from a communitarian position Rawls’s theory of justice as being an unrealistic, abstract theory of justice and asserts a pluralistic theory of justice that takes cultural particularities and differences into account. The existing theories of justice can be seen as theories which, in nominally seeking the good for all human being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real experiences of women, while Okin, Young, and Cornell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scholars who have developed theories of justice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of promoting real equality of women. To achieve fair social justice, Okin draws attention to equality and justice within the home, the first place of socialization training regarding the female and male gender. Young criticizes the ideals of both communitarianism and liberalistic individualism and asserts as an alternative, the normative ideal of “city life” where strangers live together. Furthermore, in discussing the right to equality,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system in which women are perceived as an inferior class. Women have been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classified as an inferior entity, and marriage and family created from the union of both sexes were connected in a paternalistic relationship. Cornell asserted that gender functions as a system within society that is structurally connected with other social system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guarantee of equality under law for women does not have direct connection to substantial equality is tha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systematized in society such that legal equality does not lead directly to equal treatment of women. Cornell’s observation tha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embedded in society as a large hierarchical system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for guarantee of substantial equality for women needs to advance. 자유주의 법체계에서 중시되었던 평등권의 법적 보장과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에 대한 보장은 여성의 권리신장의 초석이 되었음은 확실하다. 하지만 여성과 남성은 법적으로 동등하게 취급되어야 하는 동시에, 양성의 차이(difference)에 따라 다르게 대우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편적인 도덕원칙의 논리에 기초한 정의의 윤리(ethic of justice) 이외에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이해관계보다는 모든 사람에게 미칠 손해 등을 고려하는 정의관념, 즉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보살핌의 윤리(ethic of care)도 또 다른 정의의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맥키넌(MacKinnon)은 국가와 법도 중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권력을 가진 집단이 법을 해석할 때 충분히 기득권자인 남성위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형식적 평등 이외에도 여성의 신체로 인한 차이점, 성적 지배 대상으로서의 특수성 등을 고려한 실질적 평등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차별받는 지위에 있는 여성에 대한 평등은 그 의미가 퇴색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형식적 평등권 보장의 단계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서 실질적 평등의 보장이 필요하다. 실질적 평등의 보장을 위해서는 현대 자유주의사상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자유주의 법체계에서 보장하고자 했던 형식적 평등의 원리에 대해서 비판적 성찰이 우선되어야 한다. 왈쩌(Michael Walzer)는 공동체주의의 입장에서 롤즈의 정의론을 현실적이지 않은 추상적인 정의론이라고 비판하고 문화적 특수성과 차이를 고려한 다원적 정의론을 주장한다. 기존의 정의론이 모든 인간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여성의 실질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이론이라면, 여성들의 실질적 평등을 위해 여성주의의 입장에서 정의론을 전개한 대표적인 학자로서 오킨(Susan Moller Okin), 영(Iris Marion Young), 코넬(Drucilla Cornell) 등을 들 수 있다. 오킨은 공정한 사회정의 달성을 위해서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화 교육의 최초의 장소인 가정 내에서의 평등과 정의에 주목한다. 영(Young)은 공동체주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의 이상 모두를 비판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낯선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도시생활’(city life)을 규범적 이상으로 구성할 것을 주장한다. 더 나아가서 평등권을 논의함에 있어서 여성을 열등한 계층으로 인식되는 하나의 시스템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성은 남성과는 육체적으로나 심리학적으로 구분되고 열등한 존재로 여겨져 왔고, 양성의 결합체의 결혼과 가정은 가부장적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평등권의 법적 보장이 보장해 줄 수 없는 위계질서가 양성 간에 존재하는 것이다. 코넬(Drucilla)은 젠더가 다른 사회체계와 구조적으로 연관되어 사회에서 체계(system)로서 작동한다고 주장하였다. 여성들에 대한 평등권보장이 실질적 평등과 직결되지 않는 주된 이유중의 하나도 여성에 대한 차별이 사회에서 체계화되어 있어서 법적 평등이 여성에 대한 평등한 대우로 바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성에 대한 차별은 사회에서 하나의 거대한 위계체계로서 자리 잡고 있다는 코넬의 지적도 여성에 대한 실질적 평등권 보장을 위해서 나아가야 할 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인체의 아연필요량 측정방법

        윤진숙(Jin-Sook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2

        The dietary requirement for zinc to maintain optimally the various metabolic and physiological functions is still under study. Human beings adapt to reductions in zinc intake by reducing the rate of growth or zinc excretion. Reductions in dietary zinc beyond the capacity to maintain homeostasis lead to utilization of zinc from an exchangeable pool. Loss of a small, critical amount of zinc from this pool leads to both biochemical and clinical signs of zinc deficiency. Zinc requirements have been assessed by balance studies and factorial method. As tissue zinc status influences endogenous losses and the dietary needs, individuals in good status may require higher amounts of zinc than those in poor status. While plasma zinc is insensitive to reductions in dietary zinc, it is regarded as a valid, useful indicator of the exchangeable pool of zinc. Plasma metallothionein concentrations may prove useful for identifying poor zinc. status. It has been suggested that functional end point measurement is the new direction for zinc requirement. However,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al response to a marginal zinc intake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ack of a specific, sensitive indicator of zinc status. Presently, no good method for assessment of human zinc requirements exists.

      • 성희롱·성폭력의 특수성과 젠더법학의 과제

        윤진숙(Jin-Sook YUN) 한국젠더법학회 2022 젠더법학 Vol.13 No.2

        21세기가 오래전에 시작되었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가 최고의 전문가를 압도할 수 있는 현재에도, 인류사회가 시작된 이후에 지속적으로 존재해 왔던 성희롱, 성폭력, 성착취는 또 다른 형태로 피해를 주고 있다. 성폭력은 다른 사건과 달리 여성인 피해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특징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약자인 여성, 약자인 남성, 다양한 계층과 계급 속의 소수자들이 성폭력의 대상이었다. 성희롱·성폭력을 폭로하는 미투 운동의 피해자는 대부분 위계질서 속에 일하거나 생활하던 여성이 대부분이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성폭력은 성(sex)에 대한 ‘차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실질적 불평등과 직간접으로 연관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법적 평등을 넘어서서 사회, 문화, 전통 속의 성차별이 개선될 수 있도록 사회가 전반적으로 변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사회 각 영역에서 실질적 평등 달성과 함께, 성희롱·성폭력 가해/피해의 구조를 약화할 수 있는 인간의 존엄과 상호존중의 정신, 그리고 인권 신장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성과 사회적 약자는 성차별과 인권 침해의 현실에서 서로 연대하고 지원하며, 더욱 적극적으로 삶을 개척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런 자세가 젠더법학이 추구하는 여러 지향점 중의 하나일 것이다. Even though two decades have passed since the 21st century began, and big-data-based AI can overwhelm the best experts nowadays,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and sexual exploitation still exist, only to threaten the weak in new ways. Unlike other cases of sexual violence, sexual assault is characterized by an overwhelming majority of female victims. Strictly speaking, humans who belong to the underprivileged, and minorities from various levels of society or classes are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fact that most of the victims in the #MeToo movement, exposing sexual harassment and violence, are women who work or live in the lower classes of the hierarchy is great implications. Since sexual violence can be sai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substantive inequality, going beyond the ‘difference’ in sex, society needs to change for alleviating sexual discrimination in cultural or conventional perspective. This will lead to the spirit of human dignity and mutual respect, which can weaken the structur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ssailants/victims while achieving substantial equality in each area of society. In the face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women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should be able to form solidarity and support each other and more actively pioneer their lives. This attitude will be one of the many directions pursued by feminist jurisprudence.

      • 대구지역 저소득층 성인여성의 비만, 나트륨 섭취 및 식행동 특성

        윤진숙(Yoon, Jin Sook),정주원(Jeong, Ju Won)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4 科學論集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besity, sodium intake and dietary behavior of low-income women adult in Deagu. Subject were 85 adult women from low-income classes. Dietary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24 hrs-recall method for nonconsecutive two days including weekday and weekend and by food frequency method. The results were compared among groups classified by BMI and sodium intake level. Mean Na intake of women exceeded the recommended upper level. When we compare each food group by BM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intakes. By cotrast,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grains and vegetables were observed in the higher sodium intak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up saltness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sodium intake level. Soup salt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continuous efforts on reducing Na intake among low income women regardless of obesity status.

      • KCI등재
      • KCI등재

        종교의 자유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고찰

        윤진숙 ( Jin Sook Yu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硏究 Vol.20 No.2

        Most of people are somehow related to religion, whether or not they believe in that religion. Freedom of religious belief, freedom to exercise religious belief, freedom of an assembly and an association within a religious context, freedom of a missionary work and religious education are all a fundamental right.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nature of religion, a legal implication of freedom of relig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law and religion, and case studies of United States and Korea. The Lemon test was developed for the test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 United States. Also, freedom of religion is guaranteed comprehensively so that the court has developed a doctrin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Recently, there has been a strong debate about the limitation of freedom of religion regarding student`s right to freedom of religion and allowance of conscientious objectors.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student`s right to freedom of religion should be guaranteed in private high schools, and this decision is persuasive considering that most of high school students are compulsory assigned to high school.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do not allow conscientious objectors and alternative service. It is desirable to consider more comprehensively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ors, and further reconsider the limitation of personal religious belief when it is expressed publicly. A more thoughtful review of religion and spiritual freedom will result in a considerable decrease in social conflict.

      • KCI등재

        Marianne Weber의 시각으로 본 Max Weber의 학문적 여정

        윤진숙(Yun, Jin-Sook)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3

        마리안네 베버는 사회와 가정에서의 여성의 종속과 가부장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한 여성운동가였으며, 학자이자 정치인이었다. 마리안네 베버는 사회학, 여성의 사랑과 일, 결혼제도에 관한 자신의 저서를 출간하였고, 막스 베버의 유고를 정리하고 편집하여 책으로 출간하였다. 막스 베버라는 대학자의 영향력에 있어서 마리안네 베버의 역할은 시간이 갈수록 조명받고 있다. 「경제와 사회」에서 법과 사회에 관한 부분이 마리안네 베버가 막스 베버의 ‘옛 원고’(1910-1914)를 막스 베버의 집필 구상을 참조하되 다른 학자와 상의하면서 세운 자신의 편집정책에 따라 적극적으로 편집하여 출판한 부분에 속한다는 점에서 법사회학적 의미가 재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막스 베버 자서전에서 소개된 막스 베버에 관한 내용과 이 책을 저술한 마리안네 베버의 학문적, 인간적 경로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고, ‘경제와 사회’에 관한 위대한 저서인 「경제와 사회」에서의 법사회학, 그리고 사회학이라는 생소한 학문의 지평을 넓힌 새로운 사회학의 한 영역인 종교사회학에 관한 최초의 저술인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통해 본 사회학적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막스 베버 사후 마리안네 베버의 학문적·사회적 여정은 인간의 ‘합리성’ 을 넘어서는 사회적 행위로서 그 의미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마리안네 베버가 열어 간 학문적·인간적 헌신과 성과에 대해서, 기존의 비판적 의견과는 다른 해석이 가능한 면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Marianne Weber was a feminist, scholar and politician who recognized more than anyone else about the patriarchy of marriage and the subordination of women in the family and society in the capitalist system. However, while publishing her own book, Marianne Weber devoted herself to editing Max Weber s studies and published Weber s unfinished works, Economy and Society. The uniqueness of Marianne Weber in the completeness and influence of Max Weber s writings will be highlighted over time. Moreover, the fact that “law and society” in Economy and Society based on Max Weber’s old manuscripts belongs to a part newly edited by Marianne Weber may have significant meanings. In this article, the content of Max Weber written in the biography of Max Weber,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Marianne Weber, who wrote this book, and the academic and human paths of Max and Marianne Weber are briefly reviewed. The sociological research embedded in Protestant Ethic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broadens the horizon of sociology and law. In Marianne Weber s academic and social journey after Max Weber s death, it is possible to discover a social meaning that goes beyond human rational behavior . Marianne Weber s academic and human dedication and achievement will b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horizon of social action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