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화면에의 개입: 제임스 맥닐 휘슬러의 나비 서명

        윤지원(Yun, Jiwon) 서양미술사학회 2023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8 No.-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 제임스 맥닐 휘슬러(James McNeill Whistler, 1834-1903)의 나비 서명에 관한 연구이다. 휘슬러는 유럽에서 성공한 미국인 예술가이자 당대의 이슈메이커라는 이유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휘슬러의 나비 서명은 독특한 양태에도 불구하고 집중적으로 다뤄진 적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휘슬러의 작품에서 나비 서명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화면 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려는 데에 그 목표를 둔다. 휘슬러가 거점을 두고 활동한 런던은 19세기 유럽의 자연 및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의 진원지였다. 곤충을 포함한 자연물에 대한 흥미가 폭발적인 가운데, 특히 나비는 문학과 예술 전반에서 자주 사용되는 모티브로 여성의 패션에 도입되는 등 대중적으로도 크게 유행하였다. 휘슬러가 자신을 대표할 이미지로 나비를 선택한 것은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따르면 휘슬러의 여성적인 성향으로부터 비롯한 것으로 보이며 한편으로는 아버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신을 창조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나비 서명은 이름의 약자를 이용한 추상적 형태에서 시작하여 점차 변형되어 그림 서명의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휘슬러의 작품에서 화면내 요소들과 동등하거나 때로는 그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등장 초기부터 나비 서명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자연물과의 접촉을 통해 화면 안의 회화적 개체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휘슬러가 색채에 중점을 두고 화면을 구성하기 시작하자 화면의 균형을 완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하였다. 나비 서명은 작품 내의 한 요소로서 휘슬러가 추구하는 작품의 완결성에 일조하여 예술가의 자아를 적극적으로 실현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며, 이를 통해 휘슬러의 작품 속 서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tterfly signature of James McNeill Whistler (1834‒1903), a painter who was mainly active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19th century. Whistler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Europe. His butterfly signature, however, has rarely been the focus, despite its uniquen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butterfly signature in Whistler’s works, focusing on the layout. London, where Whistler was based, was the source of interest in natural sciences in 19th-century Europe. Butterflies in particular were a popular motif frequently used throughout literature and the arts. The butterfly signature plays a role equivalent to or sometime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elements of Whistler’s work. Since it first appeared, the signature has blended in with natural objects in the painting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 pictorial entity on canvas. Moreover, as Whistler began to construct the canvas with a focus on colors, the butterfly signature served as a key element to complete the balance on the canvas. By contributing to the completeness of work pursued by Whistler, the signature fulfilled the artist’s ego inside the canvas.

      • KCI등재

        상비군 감축 시대 선진화된 예비전력 운용과 구축 방안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9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인구급감 시대 병력자원 감축이 불가피함에 따라 상비군을 보완할 수 있는 최정예 예비전력 운용과 과제를 제시해 봄에 있다. 이를 위해 예비전력의 개념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국방개혁 2.0」을 중심으로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 현황과 과제를 제시했다. 무엇보다 지속적인 상비병력 감축을 고려해본다면 현재 시행 중인 평시복무 예비군 제도를 보완하여 상시복무(Full-Time)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 상시복무 제도 도입을 통해 전ㆍ평시 필요한 부족한 간부 문제를 해결하고 전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위해 관련 법 규정 및 개정과 보상 등이 선행돼야 한다. 또 예비군 훈련비의 적정 수준과 전력보강이 필요하다. 예비군 훈련 수당을 최저임금에 준하는 수당을 지급하고, 정부, 국방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예비군 복지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 예비군 병력 축소를 보완할 수 있는 상비군에 준하는 무기체계 현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실제 전장과 같은 훈련장 구축과 ‘코로나-19’ 위기 상황과 같은 비전통적 안보 위협 대비 원격교육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보안과 제반 여건 조성이 요구된다. 아울러 전시에 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상비군과 예비군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꾸준히 모색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비부대 하에 동원보충부대를 편성하고 상비부대와 연계하여 전시 임무수행 훈련이 가능해져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article is to suggest how to operate the best reserve force and examine challenges to supplement standing armies. This is necessary as the reduction of troop resources in South Korea is inevitable due to a sharp decrease in the population. To this end, it explores the concept of reserve forces and its development, and then present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encouraging elite reserve forces focusing on 「Defense Reform 2.0」. Above all, considering the continuous reduction of standing forces,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full-time military reserve system by supplementing the current peacetime reserve military system. Establishing and revising related laws and compensation should be a prerequisite to solving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military officers needed in war and peacetime and to ensure combat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appropriate level of reserve force training spending and military reinforcement are needed. Currently, the compensation for reserve forces training is inadequate, particularly when compared to the minimum wage. Reserve army training allowances equivalent to the minimum wage should be paid, and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work together to promote policies for reserve army welfare. It is vital to modernize weapons systems suitable for standing forces to supplement the reduction of reserve forces, build training sites (such as actual battlefields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create security conditions necessary to build remote education systems again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COVID-19. Ultimately, the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tanding forces and reserve forces so that they can be deployed to the battlefield during wartim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dvanced elite reserve forc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upplementary mobilization units should be organized under the standing army and military exercises to perform wartime missions should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standing forces.

      • KCI등재

        러시아 국방개혁의 구조적 특성과 지속성에 대한 고찰 : 푸틴 4기 재집권과 국가안보전략을 중심으로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6 No.3

        이 논문은 2000년대 초반 집권이후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의 리더십과 국가안보전략에서 가장 중요했던 국방개혁의 구조적 특성과 4기 재집권 동안의 지속성,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푸틴은 2008년 8월 러시아-조지아(Russo-Georgian War) 전쟁에서 초래된 군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방안 모색을 위해 국방개혁을 본격적으로 단행했다. 러시아군의 21세기 변화된 전장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국방개혁은 병력 감축, 여단 중심을 군 편제 개편, 무기체계의 현대화와 작전 및 전투능력 향상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로 이어졌다. 그 결과 러시아는 2014년 3월 우크라이나의 크림합병에서 전개된 고도의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fare) 방식으로 전환됐다. 이어 2015년 말부터 전개된 시리아 공습과 같은 일련의 대외정책에서 ‘신냉전’(New Cold War)으로 불리는 무력 개입을 통해 국방개혁의 성과와 군사전략적 우위성을 발휘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국방개혁의 주된 성공요인은 푸틴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과 군 수뇌부들의 추진 의지를 통해 주권과 영토를 보존하고, 자국의 군사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방어형 대규모 군대에서 ‘공격형 기동군대’로의 탈바꿈과 국방예산의 증액을 통한 첨단무기 현대화의 꾸준한 추진에 기인한다. 푸틴 4기 집권이후에도 대내외적으로 현재와 같은 국방개혁을 통한 군의 현대화 추진과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에 대한 공세적 안보전략, 미사일 방어(MD) 확대 및 첨단정밀무기 개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확대에 대한 무력 강화, 사이버 및 정보전과 이슬람 무장세력(IS)와 같은 국제 테러리즘 등에 대응하는 공격형 전략 무기개발 및 군사안보전략을 유지할 것으로 간주된다. This article aims to intensively examine the driving force of military reform and the substantiality during the fourth presidential term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s leadership and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since the early 2000s, and to investigate its implications. Putin actively pursued military refor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structure resulting from the Russo-Georgian War that broke out in August 2008 and seek solutions. Russian military reform to be adapted to the changed battlefield environment in the 21<sup>st</sup> century led to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force cutback, the reform of military system into a brigade, the modernization of weapon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operational and combat capabilities. As a result, Russia demonstrated a highly advanced ‘hybrid warfare’ strategy in the annexation of Ukraine’s Crimean peninsula in March 2014. Russia also exhibited the achievements of military reforms and strategic superiority through the military intervention called a ‘New Cold War’ in a series of foreign policies such as air strikes in Syria that was launched from the end of 2015. Major factors behind the successful military reform are the preservation of sovereignty and territory through the top military commanders’willpower to put the reform into action under Putin’s strong leadership, the transformation from large-scale defensive armed forces to integrated offensive maneuver troops to cope with military security threats to the homeland, and the steady promotion of weapon modernization through budgetary expansion for national defense. Even after the Putin’s fourth presidential term, Russia is expected to pursue the military modernization through defense reforms, devise offensive security strategy against ‘America First’ policy, expand Missile Defense(MD) system, develop high-tech precision weapons, strengthen the military force against the expansion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 and maintain military security strategies to cope with cyber/information warfare and international terrorism by the Islamic State(IS) terrorist group.

      • KCI등재

        탈냉전기 한국군의 파병패턴 변화에 대한 연구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4

        한국은 1991년 유엔 회원국이 된 이래 분쟁지역의 평화유지 및 민주주의 수호, 전지구적 안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재난 구호 활동에 대하여 우리 군을 파병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실한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실제로1991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무력 대응 방침에 따라 다국적군의 일환으로 걸프전에 다국적군을 파병한 이래로, 2016년 까지 43,408명(연인원 기준)의 PKO와 다국적군을 파병하였으며, 2016년 6월 시점 기준 13개국에 1,118명의 우리 군 부대 및 장교가 파병(파견)되어 활동 중에 있다.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우리 군의 파병을 평화유지활동(PKO), 다국적군, 군사협력 등의 파병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파병별 주요 특징을 배경, 파병규모, 주요 활동 순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지는 파트에서는 우리 군의 해외파병이 군사 및 국익적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아울러 파병 관련 국내 제도 분석을 통해 국력의 신장과 함께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하며, 정당한 법적 절차에 기반을 둔 파병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 하였다. Since the year of 1991 when the Republic of Korea dispatched its troops for the first time, ROK dispatched 43,408 soldiers(year-based) to the pace-keeping operations for the purposes of peace-keeping operations in conflict areas. As of June 2016, the number of Korean army is 1,118 around 13 countries. This article reviews ROK army`s peace-keeping operations(PKO), multinational force operations, and military cooperation abroad: history and key features. It also seeks to assess its contribution in the aspect of military capability, national interes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Lastly, this paper aims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enabling legitimate, effective, timely, and predictable dispatch of Korean army for the purposes of PKO, multinational forces, and military cooperation.

      • KCI등재

        박종홍과 동·서양철학 - 열암 박종홍의 <철학하는 것>과 동·서양 철학 -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박종홍은 한국 서양철학 연구의 1세대 학자로 하이데거의 실존철학과 과학철학을 비판적으로 흡수했으며 전통철학에 대한 주체적 계승을 위해 노력한다. 그는 전통철학에 부정적인 서양철학 1세대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철학하는 것>과 현실인식을 통해 새로운 현대 한국사상을 창조하는 것을 그 철학함의 목표로 삼았다. 그리고 우리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형성된 전통철학에 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을 통합적으로 사유한다. 본 논문은 한국철학의 1세대 연구자인 열암 박종홍의 현실인식과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에 대한 그의 태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동·서철학의 융합적 사유의 바탕이 되는 박종홍의 현실과 <철학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에 대한 그의 태도에 대하여 고찰할 한다. 일제강점기 서양의 철학이 일본의 지식인들을 통해 우리에게 어떻게 수용되었고 박종홍이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그의 철학사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ality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of Park Jong-hong,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philosophers. To this end, I will first discuss Jonghong's perception of reality and “doing philosophy”, which are the basis for the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and then discuss his attitude toward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Through Park Jonghong's philosophical thought, we can understand how Western philosophy was received by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how Park Jonghong overcame it. The acceptance of Western knowledge, which began with the crisis of exile, made intellectuals aware of a different world, and the overcoming of Western knowledge, based on this, gave them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mselves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 KCI등재후보

        벨라루스의 국가적 민족주의 기원과 양상에 대한 소고

        윤지원 ( Ji Won Yu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4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1990년대 초 구소련에서 독립한 벨라루스에서 발생했던 민족주의 정치운동이 어떻게 태동되었고 발전되어왔는지, 탈소비에트시기 민족주의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내외적인 정치적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여타 신생독립국가들과 달리에 벨라루스 내에 소극적인 민족주의 운동의 양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해 봄에 있다. 역사적으로 벨라루스에서는 19세기 러시아의 무라비요프에 의해 급진적으로 추진된 ‘러시아화’ 정책을 통해 러시아적인 민족의식이 확산됐다. 이로써 20세기 초 벨라루스 내에 태동했던 민족주의는 자생적이라기보다 러시아와 동유럽지역의 근대화 영향에 의한 것으로 민족주의 운동을 주도할 엘리트층의 형성이 구조적으로 어려웠다. 아울러 1990년대 초 친서방주의적이고 세계체제화 민족주의 운동을 주도했던 벨라루스 인민전선(BPF: Belarusian Popular Front)이 ‘탈러시아화’ 활동을 전개했지만 정치세력화 구축의 실패와 사회적 확산에서 한계점이 들어났다. 이처럼 구소련으로부터 독립이후 벨라루스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미약했던 주된 요인은 지정학적인 특성을 포함해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형성된 ‘대독 결사항전’과 구소련 시기의 민족적 지위와 성취감 등 특수한 ‘역사적 기억’과 친러시아 성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1990년대 중반이후 벨라루스 민주주의와 경제건설을 주도했던 루카센코 대통령을 포함한 정치권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친러시아화 정책과 반민족주의 노선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intensively analyzing how the nationalistic political movement that occurred in Belarus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in the early 1990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lement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ism, and the passive nationalist movement within Belarus are emphasized. Historically, the Russian national consciousness expanded in Belarus through the ‘Russianized’ policy that was initiated by Mura’yov in 19th century Russia and progressed rapidly. Nationalism, which began in Belarus in early 20th century, was formed based on the effect of the modernization of Russia and the Eastern European region, rather than being autonomic. Thus, it was structurally difficult to form an elite class that would lead the nationalistic movement. As a group that initiated the nationalism movement of the European region, global systematization and the pursuit of ‘Russia’s escape’ in the early 1990s, the Belarusian Popular Front (BPF) was very active. However, restrictions increased as political influence and social expansion started to develop. As such, the main elements that prevented Belarus’autonomic nationalistic movement from succeeding include the special ‘historical memory’ of the strong Russian-friendly tendency. This is largely based on the national status and sense of achievement in the era of the Soviet Union and the ‘desperate resistance’achiev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s well as the geopolitical properties of Belarus. The anti-nationalistic line that focused mainly on the political circles of President Lukashenko, who led the economic construction and nationalism of Belarus after mid-1990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시민과학을 활용한 수원시에 출몰하는 떼까마귀(Corvus frugilegus)의 일출 및 일몰시 선호 서식지 분석

        윤지원 ( Yun J I-weon ),신원협 ( Shin Won-hyeop ),김지환 ( Kim J I-hwan ),이석영 ( Yi Sok-young ),김도희 ( Kim Do-hee ),김유빈 ( Kim Yu-vin ),류영렬 ( Ryu Young-ryel ),송영근 ( Song Young-keu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6

        In Suwon, the overall hygiene of the city is threatened by the emergence of the rook(Corvus fugilegus) in the city. Rooks began to appear in November of 2016 and has continued to appear from November to March every year. In order to eradicate or to prepare an alternative habitat for rook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ferred habitat and specific environmental variables. Therefore, in this work, we aim to understand the predicted distribution of rooks in Suwon City with citizen science and through MaxENT, the most widely utilized habitat modeling using citizen science to analyze the preferred habitat of harmful tides appearing in urban areas. In this study, seven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hosen: biotope group complex, building floor, vegetation, euclidean distance from farmland, euclidean distance from streetlamp, and euclidean distance from pole and DEM. Among the estimated models, after the time period of sunrise (08:00~18:00) the contribution percentage were as following: euclidean distance from arable land(39.2%), DEM(25.5%), euclidean distance from streetlamp(22.3%), euclidean distance from pole(7.1%), biotope group complex(4.9%), building floor(1%), vegetation(0%). In the time period after sunset(18:00~08:00) the contribution percentage were as following: biotope group complex(437.4%), euclidean distance from pole(26.8%), DEM(13.4%), euclidean distance from streetlamp(11.8%), euclidean distance from farmland(7.9%), building floor(1.4%), vegetation(1.3%).

      • KCI등재

        한초(漢初) 지식지형의 변화와 유학 - 동중서(董仲舒)의 정치사상(政治思想)을 중심(中心)으로 -

        윤지원 ( Yun Ji Wo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한 나라 무제에 의한 유교의 국교화는 중국 사상사에 있어 중대한 사건이었다. 무제에게 동중서가 헌상한 대책에 의해 제자백가는 모두 퇴출당하였으며 오직 유교만이 통치 사상으로 부상하게 된다. 관료가 되기 위해서는 유학을 연구해야 했고 인간으로 지녀야 할 일반적인 교양의 근거는 모두 경서(經書)가 되었다. 비록 융성과 쇠락의 과정을 겪지만 한 나라 이후 2000년 동안 정치는 유교의 이념으로 유지되었으며 학술 분야에서도 유교는 그 독존적인 지위를 누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과정의 출발선에는 공양학자이자 유학자인 동중서가 있다. 동중서는 공양학(公羊學)을 그 정치철학의 기반으로 삼았다. 그리고 『춘추번로(春秋繁露)』를 저술하여 자신의 형이상학적 철학체계를 완성한다. 그는 대일통(大一統) 사상을 제안하여 무제의 전면적 개제를 위한 이론 기반을 구축한다. 그리고 천인감응론(天人感應論)를 내용으로 하는 (天道)를 음양으로 설명하며 덕치의 근거를 마련하고 삼통론(三統論)을 주장하여 한 왕조의 정통성의 근거를 제공한다. From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early Han dynasty, society underwent a new phase In terms of politics and philosophy. During this period, according to the political demand of the newly unified empire, various forces and scholarship competed against each other for preemptive authority. Dong Zhong shu(董仲舒) is the western Han Dynasty famous political thinker. His thought with Confucianism as the kernel, widely absorbs the yin-yang school, mohism, Taoism and legalism school formed on the basis of a comprehensive theory of “Heaven and Man”. Dong Zhong shu interpreted pre-Qin(秦) confucian philosophy in the new form to create a new governing philosophy for Han Dynasty, and He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Chinese history of Confucianism thoughts.

      • KCI등재

        여수 연안에서 채집한 양태 (Platycephalus indic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윤지원 ( Ji-won Yun ),한경호 ( Kyeong-ho Han ),유태식 ( Tae-sik Yu ),이진 ( Jin Lee ),이성훈 ( Sung-hoon Lee ),박재민 ( Jae-min Park ),서지훈 ( Ji-hoon Seo )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2

        여수 연안에서 채집한 양태 (Platycephalus indicus)의 난발생과 자치어 형태발달을 연구하였다. 건식법을 통해 인공수정한 수정란은 구형 형태의 분리부성란이었으며, 직경 1.03~1.12mm (mean=1.08 mm, n=50)였다. 수온 20.0℃에서 50시간 30분 만에 부화하였으며, 전기 자어의 전장은 2.72~3.04mm (mean=2.93±0.21 mm, n=50)였다. 부화 5일 후 전장 3.88~4.42 mm (mean=4.11±0.31 mm, n=15)였으며, 난황을 모두 흡수하였고, 이빨이 발달하였다. 부화 39일 후 치어기 도달하였으며, 전장은 10.23~11.95 mm (mean=11.09±0.86 mm, n=5)였다. 부화 45일 후 전장은 12.01~13.25 mm(mean=12.63±0.62 mm, n=5)였으며, 체형, 체색이 모두 미성어 시기와 유사하였다. The egg, larvae, and juvenile development of Platycephalus indicus sampled from Yeosu estuary were conducted. The egg shape of P. indicus is spherical and transparent on the outside, with two perivitelline cavities inside and one oil globule. The diameter of the fertilized eggs were 1.03~1.12 mm (mean=1.08 mm, n=50). The embryos hatched in about 50 hrs 30 mins after fertilization at the water temperature of 20℃. The newly hatched larvae showed a total length of 2.72~3.04 mm (mean=2.93±0.21 mm, n=50). At 5 days after hatching, they were 3.88~4.42 mm (mean=4.11±0.31 mm, n=15) in TL and their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developing the teeth. They became juvenile 39 days after hatching and reached 10.23~11.95 mm (mean=11.09±0.86 mm, n=5) in TL. At 45 days after hatching, they were 12.01~13.25 mm (mean=12.63±0.62 mm, n=5) in TL, and their body shape and color were similar to those of adult f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