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음료 분류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패키징 타입 및 형태적 특징 고찰

        윤정우 ( Jung Woo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물품의 특징적인 형태 혹은 실루엣은 매장에서 소비자가 더욱 쉽게 제품의 종류를 알아볼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요소 중 하나다. 소비자는 낯익은 형태적 특징으로 제품을 인지하고, 패키지에 쓰인 정보를 읽거나 라벨을 자세히 관찰하지 않고도 제품 카테고리를 분별하기도 한다. 음료 패키지의 경우 카테고리, 브랜드, 맛의 종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기술 및 신소재의 빠른 발달 으로 패키지 모양 또한 매우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수백 가지의 음료가 각기 다른 모양으로 경쟁하는 환경에서 카테고리 분야별 형태적 특징을 감안해 디자인 하는 것은 보다 쉽게 원하는 종류의 제품을 인지 해 구매로 연결될 수 있다. 브랜딩 프로세스에서 일관성이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로, 패키지디자인에도 제품 카테고리별 적절한 일관적특징이 적용되어야 한다. 기존의 특징이 적절히 함유된 새로운 패키지디자인은 현재와 같은 너무 다양해진 형태의 패키지들 사이에서 소비자가 품목을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대중마트에서 유통되고있는 총 11가지 음료 카테고리의 형태적 특징 및 가장 익숙한 패키징 타입 (packaging type) 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단계는 첫째,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및 패키지의 형태에 따른 이해에 관한 서적과 논문을 바탕으로 고찰하였으며, 둘째,간행본, 신문,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바탕으로 음료의 종류와 패키징 재질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셋째, 음료 분류별 패키지 샘플들의 수집과 수집한 샘플들을 바탕으로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설문의 조사결과와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한 결론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카테고리 별 형태적 특징과 패키징 타입을 활용함으로, 향후 다양한 형태의 음료 패키지디자인 시도에서 소비자가 보다 쉽게 제품의 분류를 식별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Physical attributes or silhouette of a product can work as a supportive element in finding the right product in the market environment. Consumers can recognize a product through its familiar physical attributes, that people understand the product``s category without having to check written information or going through package labels. There is constant increase in categories, brands and flavors of beverage products, and the forms of packages are becoming more diver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new materials. While hundreds of beverage products with unique physical forms compete with one another in market environments, designing a package with physical attributes of its own category can be easier for consumers to recognize the kind of product, which can ultimately lead to sales. Just like consistency is essential in branding process, there must be an appropriate amount of consistency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categories in package design. With great deal of diversity in physical forms in product packages, it is easier for consumers to distinguish different lines of products if a new package design contains certain familiar physical qualities of past designs. This paper is a study of most distinct physical attributes and most familiar packaging types of 11 categories of beverage goods sold in mass markets. The process of the study is first, literary reviews of effective packaging design and comprehension through physical form of packages based on related books and papers. Second part include research of beverage product categories and different packaging types of beverages based on articles, newspapers and internet sites. Third part deals with collecting package samples and survey conducted utilizing the samples. Last part is conclusion of the study through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This study can be a supporting resource to explore diverse forms of beverage package designs, yet, recognizable of its category to consumers’ eyes, by utilizing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ackaging types of each categories.

      • KCI등재

        온라인 식료품 쇼핑 환경에서 제품 사진 디스플레이 타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새롭게 출시되는 생수 제품 중심으로 -

        윤정우 ( Yoon Jung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등장하는 생수 제품들의 홍보를 위해 온라인 point-of-sales 환경에서 효율적인 제품 사진 디스플레이 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의 생수 제품 이미지는 스크린 화면에 맞게 사이즈가 확연하게 줄어 디스플레이 되는 등 온라인 식료품 쇼핑 환경과 오프라인 식료품 쇼핑 환경은 대조적이다. 또한 소비자가 제품들을 자유롭게 분석할 수 있는 오프라인 쇼핑 환경과는 다르게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는 특정 제품 이미지들이 미리 선정되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다. 세 가지의 수입 생수 제품들이 설문샘플 으로 사용되었고 온라인 형태의 설문조사가 실행되었다. 설문조사 자료는 국내에서 가장 큰 온라인 식료품 체인의 디스플레이 템플렛에 맞게 준비되었다. 가장 전형적인 타입의 제품 관련 사진들이 point-of-sales 제품 디스플레이 사진들 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에서 두 가지 주요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첫째, 선행연구들에서 온라인 제품 디스플레이 유형에 관해 상반되는 관점이 있었다. 그러나 연구결과 대다수의 실험 참여자들이 제품 혹은 제품들 전체가 보이는 와이드 샷 유형의 제품 디스플레이에 가장 큰 관심을 나타냈다. 특히 세 개의 제품으로 구성된 와이드샷 사진에서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두 번째로는 라벨 중점적인 제품 사진보다 제품의 전반적인 패키지 모양이 드러나는 제품 사진들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식료품 마켓에 새롭게 출시되는 브랜드의 생수 제품들이 보다 효율적인 제품 사진들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type of photographic displays for an online point-of-sales environment in order to promote new bottled water products. For the past few years, bottled water has been the best-selling product category in both offline and online markets. Online grocery shopping environment is contrasting to offline grocery shopping environment that in online malls, water bottle product images are shrunk down in size dramatically to fit in the online display. Furthermore, unlike offline shopping environment where consumers can freely analyze products on their own, in online settings, certain product images are pre-selected then displayed in scree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imported brands of bottled water as representative samples. Survey materials were prepared for an online display template in one of the biggest online grocery chains in South Korea. The point-of-sales photographs for the product display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most typical types of product-related pictures. Two major findings were noted. First, prior studies have presented contrasting views about the types of online product display styles. However, the current study's participants stated that wide-shot product displays, which show the whole product(s), gain most attention.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ith wide-shot photographs composed of three product images. Secon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product photographs revealing the general package shape are preferred to label-focused photographs. The findings can be useful for selecting effective types of product photographs in online grocery markets that display new brands of bottled water.

      • KCI등재

        정부간 분쟁조정제도의 효과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윤정우(Yoon Jung Woo)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정부 간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갈등을 해결하는 제도에 대해 공무원들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부 단위별로 소속된 공무원들의 인식 수준을 통해 차이와 관련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의 효과성 인식은 행정협의조정위원회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의 경우 중앙정부의 공무원이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의 공무원보다 효과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제도의 운영 효과성에 대해 다른인식을 보인다는 점은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가능성 있는 해석으로는 지방공무원들은 감독기관으로서의 상위기관이 조정을 담당해 공정하지 못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이하로 인식하는 점은 공통적인 결과였다. 다음으로 전반적인 정부 간 관계 인식과 분쟁조정제도의 효과성 인식 간의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가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경우 다른 분쟁조정제도도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 간 관계의 전반적인 인식은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의 효과성 인식과 관련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협력적 정부 간 관계 인식을 하더라도 분쟁조정제도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다른 인식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가 협력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의 목적과 관련된 바람직한 인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는 단순히 갈등을 해결하는 제도이기보다 대화를 통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f a system that resolves conflicts between governments. To this purpose, differences and relevance were analyzed through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government officials. To sum up the analysis results,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governmental dispute settlement system was recognized as more effective by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han those of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Nex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recognition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if the intergovernmental dispute settlement system is recognized as effective, other dispute settlement systems are also recognized as effective. However,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was less relevant to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governmental dispute settlement syste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 desirable perception of the intergovernmental dispute settlement system.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through dialogue rather than just a system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governm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근린생활권의 공공디자인 적주성(適住性)지표에 관한 연구

        윤정우(Jeong Woo Yoon),윤정(Yun Jung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도시 근린생활권의 적주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공 공간 및 공공시설 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적주성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린생활권과 공공 공간, 적주성과 공공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의미를 고찰하고,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 개발을 위한 기존 유사 지표들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공공디자인 적주성 지표를 쾌적성, 편의성, 사회성, 지속성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공공디자인 대상별로 상대적으로 중요시되어야 할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린생활권내에 설치되는 공공 공간 및 시설별로 상대적으로 우위에 두어야 할 적주성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공공디자인 대상 및 시설별로 적주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공간 및 시설의 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공공 공간과 공공시설은 주민들의 적주성을 지원하는 시설로 필수적으로 정비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으나 공간 및 시설의 특성에 따라 중점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세부적 항목의 내용은 다르게 나타났다. 적주성 지표의 활용방안으로써 공공디자인 정비 가이드라인(체크리스트)을 예시적으로 제안하였다. Neighborhood livability in urban areas can bemeasured by the quality of life residents receive andpublic welfare, which in turn are influenced by thequality of physical facility design and urban openspaces. These concerns are usually managed under thefield of public design in Korea. To further develop theseideas, the study aims to find public design factors thatsupport neighborhood livability and to develop livabilityindicators in neighborhood public design. To specify the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neighborhood, livability, public design, the author implemented detailedreviewing on the neighborhood public spaces and thevalue of public design in terms of supportingneighborhood livabilityThrough detailed research on conceptually similarindicators, final four public design indicators - amenity, convenience, sociability and sustainability - weredeveloped to evaluate neighborhood livability. Usingthese indicators, a survey of expert opinions was drawnup to decide relative priority between livabilityindicators for 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spaces. From the relative priority score of livabilityindicators, the author found two valuable implications. First, the livability indicator`s relative priority varies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facilities and spaces. In the pedestrian street, theamenity score came out higher than other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convenience andsociability are higher for parks like neighborhoodsmall-scale park and children`s park. Secondly, therelative priority scores of livability indicators did notalways come out high. In the case of pocket spaces andsmall-scale architecture in urban neighborhoods, thescores were lower overall than those for streetenvironments and parks. These lower scores indicatethat pocket spaces and small-scale architecture tend toplay auxiliary roles in urban neighborhood liv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specific and detailedmanagemen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neighborhood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spaces shouldbe encouraged to enhance and deliver neighborhoodlivability.

      • KCI등재

        철강산업 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바잘트 소재의 특성

        정우,백구슬,미정,이지욱,Jung, Woo-Gwang,Back, Gu-Seul,Yoon, Mi-Jung,Lee, Jee-Wook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5

        In this study, Fe-Ni slag, converter slag and dephosphorization slag generated from the steel industry, and fly ash or bottom ash from a power plant, were mixed at an appropriate mixing ratio and melted in a melting furnace in a mass-production process for glass ceramics. Then, glass-ceramic products, having a basalt composition with $SiO_2$, $Al_2O_3$, CaO, MgO, and $Fe_2O_3$ components, were fabricated through casting and heat treatment process. Comparison was made of the samples before and after the modification of the process conditions. Glass-ceramic samples before and after the process modification were similar in chemical composition, but $Al_2O_3$ and $Na_2O$ contents were slightly higher in the samples before the modific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cess mod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ple had a melting temperature below $1250^{\circ}C$, and that pyroxene and diopside are the primary phases of the product.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n the sample after modific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in the sample before modification. The activation energy for crystallization was evaluated and found to be 467 kJ/mol for the sample before the process modification, and 337 kJ/mol for the sample after the process modification. The degree of crystallinity was evaluated and found to be 82 % before the process change and 87 % after the process chang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were evaluated and found to be excellent for the sample after process modification. In conclusion, the samples after the process modification were evaluated and found to have superio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mo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