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진공단열패널 열교부위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윤용한(Yong Han Yoon),소범식(Bum Sik So),조정호(Jung Ho Cho),엄영철(Young Chul Eom),심재술(Jaesool Shim)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3 No.7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외장패널이 맞닿는 부분에 형상을 가진 기계적 체결이 가능한 진공단열 외장패널의 3가지 CASE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체결부의 열교부위 선형 열관류율 값을 계산하였으며, 열교를 비교함으로써 단열측면에서 우위의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열전달해석 분석결과, 열교부위의 길이가 0.039m, 0.083m, 0.1656m으로 약 2배씩 선형적으로 증가 했을 때, 열교부위의 선형 열관류율 값은 각각 0.0476W/m·K, 0.2113W/m·K, 0.2663W/m·K으로 열교부위 길이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차원 열전달해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ISO 10211 기준에서 제시하는 계산식에 대입하여 선형 열관류율 값을 산출하였다. 3가지 CASE의 체결부 열교부위 선형 열관류율 값을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CASE 1 패널이 선형 열관류율 값이 가장 작아 열교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설계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heat transfer simulation of three types of vacuum insulation panels that can be mechanically fastened with two external panels was conducted.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of the thermal bridge was calculated and the design of superiority in terms of insulation was derived. Results of heat transfer analysis indicated that when the length of the thermal bridge was linearly increased by two times to 0.039, 0.083, and 0.1656 m,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of the thermal bridge was 0.0476, 0.2113, and 0.2663 W/m·K,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did not increase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length.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two-dimensional heat transfer analysis into the formula given in the ISO 10211 standard. A comparison of the values of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of the joints of the three cases verified that Case 1 had the best thermal bridge design because it exhibited the smallest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 큐브형 미세물분사에 따른 수직적 미기상 변화 연구

        윤용한 ( Yong-han Yoon ),김정호 ( Jeong-ho Kim ),송원석 ( Won-seok Song ),김학기 ( Hag-ke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전 지구적으로 기후환경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면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립기상연구소는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인 RCP 8.5 및 RCP 4.5에 따라 21세기 말에 한반도 평균기온은 각각 6.0℃ 및 3.4℃ 상승할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50년 폭염은 현재보다 약 3배, 열대야는 약 6배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더불어 최근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Climate Change, IPCC)은 2014년 5차 보고서를 통해 향후폭염과 기후변화의 연결고리가 점차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2008년 기상청 ‘폭염특보제’ 시작 이래 지난 2012년 7, 8월에는 폭염경보가 발령돼 무려 14일간 지속됐으며, 온열환자 2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폭염은 일반적으로 기상재해 중 물리적 시설 또는 재산 피해보다 인명피해가 더높게 나타난다. 폭염을 포함한 기후변화에 의한 사망자가2000년의 경우 15만 명에 달하였으며 2030년에는 3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폭염과 같은 기후재해를 해결하고자 국소적인 기온저감 등과 같은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필요 시 즉각적인 기온저감 및 열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큐브형 미세물분사 적용에 있어서 증발잠열을 통한 수직적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기후재해대응 증발냉각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충주시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녹색기술융합학과 전공실습장에서 실시하였으며 2016년 3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다. Test-Bed는 가로, 세로 5m, 5m큐브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높이 1.5m(이하 Type A), 2.5m(이하 Type B), 3.5m(이하 Type C)로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물분사노즐의 규격은 0.08㎜/min으로 Test-Bed 상단의 사방위에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측정위치는 설치유형에 따라 바닥면부터 0m(이하 H<sup>1</sup>), 0.3m(이하 H<sup>2</sup>), 0.5m(이하 H<sup>3</sup>), 0.7m(이하 H<sup>4</sup>), 1.0m(이하 H<sup>5</sup>), 1.5m(이하H<sup>6</sup>), 2.0m(이하 H<sup>7</sup>), 2.5m(이하 H<sup>8</sup>), 3.5m(이하 H<sup>9</sup>)에서 수직적 기온변화와 큐브형 증발냉각시스템 내부 및 외부의 지상 1.5m에서 기상요소를 측정하였다. 조사분석 항목으로는 수직적 지점별 기온을 측정하였으며, 내·외부 간 비교를 위하여 기온, 풍향, 풍속, 상대습도, 일사량을 조사하였다. 큐브형 증발냉각시스템의 내·외부 간 기온의 경우 내부가 외부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의 경우 특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사량은 분사지점이 높아질수록 내부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대습도의 경우 미세물입자를 분사하는 내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Type A의 수직적 기온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 내기온이 H<sup>5</sup> > H<sup>6</sup> > H<sup>3</sup> > H<sup>1</sup> > H<sup>2</sup> > H<sup>4</sup>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1.5m에서 미세물분사 노즐이 Test-Bed 중심부로 향하여 분사됨에 따라 분사높이와 동일한 H<sub>6</sub>지점보다 H<sub>4</sub>지점에서 증발냉각효과가 극대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ype B의 수직적 기온변화는 H<sub>1</sub> > H<sub>3</sub> > H<sub>2</sub> > H<sub>5</sub> > H<sub>4</sub> > H<sub>6</sub> > H<sub>7</sub> > H<sub>8</sub> 순으로 조사되었다. H<sub>8</sub>지점에서 H<sub>6</sub>지점으로 낮아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H<sub>5</sub>지점부터 H<sub>2</sub>지점에서는 수직적인 변화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H<sub>8</sub>지점에서 분사된 미세 물입자가 H<sub>6</sub>지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Type C에서는 H<sub>1</sub> > H<sub>3</sub> > H<sub>2</sub> > H<sub>4</sub> > H<sub>7</sub> > H<sub>9</sub> > H<sub>6</sub> > H<sub>5</sub> > H<sub>8</sub>의 순이었으며, 수직적변화에 따라 기온변화의 경향을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분사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대류현상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 KCI우수등재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College Students in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in Autumn

        윤용한,오득균,김정호,Yoon, Yong-Han,Oh, Deuk-Kyun,Kim, Jeong-Ho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재활용 환경공원이면서 경관감상과 주제체험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선유도공원 공원을 대상으로 내부 장소별 경관이 이용객의 기분상태 및 개선효과를 밝혀, 공원의 조성 그리고 주제공간이 건강에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공원설계 및 조성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의미분별법(SD)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선유도 경관을 감상하였을 때 거의 모든 형용사 문구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각 공원의 내부 경관요소에 따라 피험자가 느끼는 감정 또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분상태검사(POMS) 결과, 긴장점수는 도심지(7.78) > 수질정화원(3.33) > 습생식물원(2.11) > 녹색기둥의 정원(2.00) > 시간의 정원(0.89)의 순, 우울점수는 도심지(4.94) > 수질정화원(3.50) > 녹색기둥의 정원(2.94) > 시간의 정원(1.61) > 습생식물원(1.38)의 순, 분노점수는 도심지(4.22) > 수질정화원(3.33) > 녹색기둥의 정원(2.22) > 시간의 정원(1.39) > 습생식물원(1.11)의 순, 피로점수는 도심지(6.5) > 수질정화원(3.39) > 녹색기둥의 정원(2.78) > 시간의 정원(2.28) > 습생식물원(2.06)의 순, 활력점수는 습생식물원(11.39) > 시간의 정원(11.00) > 녹색기둥의 정원(8.39) > 수질정화원 (7.77) > 도심지(5.28)의 순, 활력점수는 습생식물원(11.39) > 시간의 정원(11.00) > 녹색기둥의 정원(8.39) > 수질정화원 (7.77) > 도심지(5.2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관유형의 차이에 따른 점수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종합정서장애(TMD) 분석 결과, 도심지(24.5) > 수질정화원(9.5) > 녹색기둥의 정원(4.67) > 시간의 정원(-1.39) > 습생식물원(-1.22)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discovers mood state and enhancement effect of users by scenery of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where is widely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recycling environmental park as well as theme experience space and scenery admiration in Korea. Also, the influence level of park and thematic space upon wellness was researched for future park design and its base data. As a result of semantic differential(SD), the most items showed low point in positive way when people admiring the scenery in Seonyudo. Also, a subject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inside scenery element of the park. As a result of profile of mood states(POMS), a tension and anxiety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 (7.78) > Water Purification Basin(3.33) > Gardens of Water Plants(2.11) > Garden of Green Pillar(2.00) > Garden of Time (0.89). The depression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4.94) > Water Purification Basin(3.50) > Garden of Green Pillar(2.94) > Garden of Time(1.61) > Gardens of Water Plants(1.38). The anger and hostility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4.22) > Water Purification Basin(3.33) > Garden of Green Pillar(2.22) > Garden of Time(1.39) > Gardens of Water Plants(1.11). The fatigue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6.5) > Water Purification Basin(3.39) > Garden of Green Pillar(2.78) > Garden of Time(2.28) > Gardens of Water Plants (2.06). The vigor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Gardens of Water Plants(11.39) > Garden of Time(11.00) > Garden of Green Pillar(8.39) > Water Purification Basin(7.77) > Urban(5.28). Also, as a result of statistics analysis, difference value of scenery type is significant. The result of total emotional disturbance(TED) was analyzed in order of Urban(24.5) > Water Purification Basin(9.5) > Garden of Green Pillar(4.67) > Garden of Time(-1.39) > Gardens of Water Plants(-1.22).

      • KCI등재

        녹지의 규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윤용한(Yong Han Yoon),배병호(Byung Ho Bae)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0 No.1

        N/A In order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park scale and temperature decrease in and near parks,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observed and was analyzed in four parks of different scales. 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decrease and ratio of green coverage was also analyze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Lower temperature was observed in and near the parks and larger cooling effect was implicated near the larger park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green coverage ratio leads the decrease of the temperature in the parks. The degree of the temperature decreas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coverage.

      • KCI등재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윤용한(Yoon Yong-Han),조계현(Cho Gye-Hyun),백승엽(Baik Seoung-Yeob),김승태(Kim Seung-Tae),김원태(Won-Tae Kin)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7 No.1

        본 연구는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의 차이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지내외의 기온분포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현황과 기온, 녹지주변의 기온저감효과와 그 영향범위 및 수목그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br/> 그 결과 녹지내의 고온역은 포장면,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수림지,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녹지를 중심으로 풍하 쪽의 관측치는 최저기온보다 최고기온이 편차가 크지만, 전체적으로는 녹지에 가까워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토지피복비율과 기온과의 관계를 보면, 수림지, 초지 및 수면은 기온저감에 효과적이고, 그 토지피복율의 증감에 따라 기온저감효과가 서로 달랐다.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의 차이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Shakuzopark(주거전용지역)보다 Ageomaruyama Park(시가화조정구역) 상대적으로 효과가 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different types of land use around green belts affect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For this, temperatures within and outside of green belts were measu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analyzed the land cover status and temperatures within green belts,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and the range of effects around green bel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rees and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by way of regression analysis. <br/> As a result, areas of the high temperature within green belts were formed on paved surfaces, whereas areas of low temperature were formed around forests or water surfaces. In addition, deviation was bigger in the highest temperature than the lowest one for areas of Leeward around green belts, but in general, there was a tendency that temperature became low near to green belts. As for the relation between land cover rate and temperature, what was effective to temperature decrease included forests, pasture and water surfac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decrease varied depending on increase or decrease of land cover rates. As for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 land use types around green belts on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the Shakuzi Park showed relatively stronger effects than the Ageomaruyama Park.

      • 건설발생토의 식재용토 재활용을 위한 적합성 평가

        윤용한,김원태,박봉주,김선주,임병옥,손진관,Yoon, Yong-Han,Kim, Won-Tae,Park, Bong-Ju,Kim, Sun-Ju,Im, Byeong-Ok,Son, Jin-Kwan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수도권매립지 주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내에 적재되어 있는 건설발생토의 유해물질 함량과 토양오염도를 측정하여 환경식재기반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건설발생토의 유해물질 함량은 분석항목 모두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기준치 이내로 나타나 환경식재기반으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도의 분석에서 토양오염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잔디 생육실험에 있어서도 건설 발생토는 식생토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cycled waste soils from construction site for using vegetation media. The concentrations of Cd, Pb, $Cr^{6+}$, As, Hg, Cu, Cn, organic P, TCE, and PCE were measured at recycled soil piles of an industrial waste treating company in the Metropolitan landfill area. The concentrations of polluted materials did not exceed to the standard critical levels of soil pollution in all analyzed items. The results suggested a high potential of recycling of the wastes soils for vegetation soil media. However, Cd and $Cr^{6+}$ almost reached the critical levels by the time of sampl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kill to lower concentrations of those pollutants. In the turfgrass test, the recycled soil did show an encouraging result as vegetation media in the early growth stage of perennial ryegrass.

      • KCI등재

        건설발생토의 식재용토 재활용을 위한 적합성 평가

        윤용한(Yong-Han Yoon),김원태(Won-Tae Kim),박봉주(Bong-Ju Park),김선주(Sun-Ju Kim),임병옥(Byeong-Ok Im),손진관(Jin-Kwan Son)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1

        본 연구는 수도권매립지 주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내에 적재되어 있는 건설발생토의 유해물질 함량과 토양오염도를 측정하여 환경식재기반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건설발생토의 유해물질 함량은 분석항목 모두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기준치 이내로 나타나 환경식재기반으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도도 분석항목 모두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생육실험에 있어서도 건설 발생토는 식생토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cycled waste soils from construction site for using vegetation media. The concentrations of Cd, Pb, Cr??, As, Hg, Cu, Cn, organic P, TCE, and PCE were measured at recycled soil piles of an industrial waste treating company in the Metropolitan landfill area. The concentrations of polluted materials did not exceed to the standard critical levels of soil pollution in all analyzed items. The results suggested a high potential of recycling of the wastes soils for vegetation soil media. However, Cd and Cr?? almost reached the critical levels by the time of sampl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kill to lower concentrations of those pollutants. In the turfgrass test, the recycled soil did show an encouraging result as vegetation media in the early growth stage of perennial ryegrass.

      • KCI등재

        Immersed Solid Method 를 이용한 외접형 기어 펌프의 수치해석

        윤용한(Yong Han Yoon),박병호(Byung Ho Park),한용운(Yong Oun Han),홍병주(Byeong Joo Hong),심재술(Jaesool Shim)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8 No.1

        본 연구는 고속 회전형(~10,000 rpm) 기어펌프의 질량유량과 효율을 예측하기 위해서 2 차원 immersed solid method(ISM)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어펌프와 하우징의 순환유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유체 유동을 난류 유동으로 가정하였고, 기어 펌프의 입 출구의 일정 압력 조건하에 기어펌프의 회전 속도를 부가하였다. 기어펌프의 다양한 회전 속도 및 기어 끝 단과 하우징 사의의 서로 다른 간극에 대한 질량유량 및 효율을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로서,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질량유량 및 효율은 증가하였고, 기어펌프와 하우징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평균 질량유량 및 효율은 감소하였다. 간격이 없는 조건하의 6,000 rpm, 8,000 rpm, 10,000 rpm 회전속도에의 효율은 각각 85.11 %, 90.94 %, 93.62 % 를 얻었고, 간격이 0 m, 0.00001 m, 0.00003 m 에 대해서 효율은 각각 93.62 %, 93.29 %, 92.74 % 를 얻었다. In this study, an ISM (immersed solid method)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mass flow rate and efficiency of an involute-gear pump featuring very high rotational speed. For considering circulation flow at the gear pump and housing, fluid flow was assumed as turbulen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ear pump increased under the condition of constant pressure at both the inlet and outlet. The efficiency and mass flow rate of the gear pump were studied by varying its rotational speed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gear tip and the housing. In the simulation results, as the rotational speed were increased, the average mass flow rate and efficiency increased. Furthermore, as the clearance between the gear tip and the housing was increased, the average mass flow rate and efficiency decreased. The efficiency was 85.11, 90.94, and 93.62 at rotational speeds of 6,000 rpm, 8,000 rpm, and 10,000 rpm,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was no clearance. In addition, the efficiency was 93.62, 93.29, and 92.74 at clearances of 0 m, 0.00001 m, and 0.00003 m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