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호텔기업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윤영집(Yoon, Young-Jib),김창식(Kim, Chang-Sik),김혁수(Kim, Hyuk-Soo)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5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otional intelligence in chinese hotel.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research model that consists of five antecedents (self emotional appraisal, others" emotional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in the self, use of emotion to facilitate performance, and positive affectivity) leading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context of chinese hotel.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respondents working in hotel company in Sandong, China.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four antecedent factors (self emotional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in the self, use of emotion to facilitate performance, and positive affectivity) except for others" emotional appraisal had significant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long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 창업교육이 셀프리더십, 혁신행동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윤영집(Young Jib Yoon),이종원(Jong Won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창업에 대한 관심 증대되고, 창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창업선도 국가로 알려져 있는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현재 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창업에 대한 열의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대학 교육에 있어 창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 대학생의 실제적인 창업 비율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창업 교육의 성과를 구조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주효한 요인을 발견하고자한다. 즉 중국 대학생의 창업교육, 셀프리더십, 혁신행동, 창업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관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방향성을 제안해 보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구 결과, 중국 대학생들에 대한 창업교육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창업교육을 통해 얻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셀프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셀프리더십을 통해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셀프리더십이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교육은 학생들의 혁신적인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혁신행동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을 강조한 창업교육이 필요함을 언급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창업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있어서 창업에 대한 의도와 함께 창업 행위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known as a leading country for entrepreneurship, at a time when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is increasing in many countrie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eing revitaliz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by observing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lf-leadership, innovative behavior,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s gained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that self-leadership increas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it can be mention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emphasizing self-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s necessary because it has been shown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is, if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implemented, it is judged that college students can lead entrepreneurship activities.

      • KCI등재

        중국 호텔종사자 직무특성에 대한 감정노동 연구

        윤영집(Young Jib Yoon),김혁수(Hyuk Soo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11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with employees of China hotels. It was defined job characters as follows: job diversification, job analyzability, job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standby-situation phenomen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5 to August 15, 2014.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6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analyzability out of the job 5 characters(job diversification, job analyzability, job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with superior, standby-situation phenomenon)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in China hotels compare with standby-situation phenomenon, job diversification and job interdependence out of the job 5characters (job diversification, job analyzability, job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with superior, standby-situation phenomenon)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in Korea hotels. Second, in this study it was found job analyzability had affected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so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manage hotel`s human resources in China hotels.

      • KCI등재

        가족기업 여성 사무직 직무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

        윤영집(Yoon, Young-Jib),장은주(Chang, Eunjoo)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 가족기업(지난, 칭다오, 웨이하이에서 50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5개 기업)에 종사하는 256명의 중국 여성 비서 및 사무직을 대상으로 직무특성(돌발성, 분석가능성, 상호의존성, 상사와의 관계, 상황대기현상)과 조직문화가 감정노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문화가 직무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의 돌발성과 상황대기현상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의 강도는 높아지는 반면 직무의 분석가능성이 높고, 상사와의 관계가 원만할수록 감정노동은 낮아지며, 상호의존성은 감정노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직무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직무특성이 중국 사무직 여성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직무설계 시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전의 많은 연구에서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현지의 인력을 활용할 경우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직무설계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with Chinese female employees of Korean firms operating in China, especially in the Sandong area. We defined job characters as follows: job diversification, job analyzability, job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standby-situation phenomenon. We divided organizational culture into hierarchy culture and group culture and analyzed its moderating effect. For this study, we obtained data from 256 Chinese female employees of five Korean firms operating in China. They are all clerical workers, including secreta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Job diversification and standby-situation phenomenon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However job analyzability and relationship with superior have nega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Job interdependence has no effect on emotional labor, while organizational culture has no moderating effect. Many former studies have revealed that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study we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female employees" emotional labor so they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make job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상사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및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윤영집(Yoon, Young Jib),장은주(Eunjoo Chang),김성은(Sungeun Kim)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2

        한국 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는 1992년 한 · 중 수교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여 2002년부터는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최대 투자국이 되었다. 따라서 중국 현지 근로자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는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현지화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내 투자 비중이 높은 화북권 지역(베이징특별시, 티엔진시, 산둥성)의 우리 기업에서 근무하는 여성 사무직 종사자들이 인지하는 상사 신뢰와 감성지능이 조직몰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여성 사무직 종사자 469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사무직 여성들의 상사에 대한 인지기반 신뢰와 정서기반 신뢰가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상사에 대한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감성지능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타인감성이해는 인지기반 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절하여 타인감성 이해가 낮을수록 상사에 대한 인지기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감성 이해와 감성조절 및 활용은 상사의 정서기반 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중국 여성 근로자들의 자기감성 이해가 높을수록 상사에 대한 정서기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였다. 반면에 정서기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감성조절 및 활용 능력이 낮은 근로자들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s(cognition and affect-based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self-appraisal of emotion, appraisal of others’ emotion, and the regulation and use of emo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s of 469 female Chinese administrative workers of Korean firms in northern China(Beijing, Tianjin, Sandong areas). First, both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in supervis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gnition-based trust had a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affect-based trust. Second, appraisal of others’ emotion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based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that the lower the appraisal of others’ emotions, the greater the effect of cognition-based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self-appraisal of emotions and the regulation and use of emotion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based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that the higher the self-appraisal of emotional, the greater the effect of affect-based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the lower the regulation and use of emotions, the greater the effect of affect-based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공적인 팀의 개인 학습 특성에 대한 탐색

        현영섭 ( Young Sup Hyun ),김희동 ( Hee Dong Kim ),윤영집 ( Young Jib Yo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4

        팀제가 조직운영의 기본이 되면서 성공적인 팀에 대한 관심은 현장이나 연구 모두에서 확대되어 왔다. 최근 학습이 조직성과의 중요한 요소가 되면서, 성공적인 팀의 조건으로서도 학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성공적인 팀의 학습 특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HRD분야에서 찾기 어렵다. 다만 HRD분야에서 실천공동체에 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인정되는 팀에서 개인 학습의 특성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질적 방법을 통하여 탐색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공적인 팀의 개념과 학습 특성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실증자료 수집을 위하여 국내 2개 팀의 팀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국내 2개 팀은 목표달성과 함께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성과를 달성하여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무형식학습과 금기에 대한 도전, 직무를 통한 학습 기회 제공과 전문성의 인정, 학습 촉진을 위한 행사의 활용, 전문성 불균형의 인정의 네 가지 특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strategies and conditions of successful teams has been a hot issue in the area of management and HRD practices and researches. Because Many organizations recognized the effects of team system and learning in it. But up to recently, lots of researchers focused on the factors for team success while ignoring the context of team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l learning in it. This ignorance limit our understanding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learning in team concretely and contex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ing in successful team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8 members of 2 team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2 team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ocial contribution, outstanding performance in their field, and recommendation by experts. The specialized domains of 2 teams were space development and cardiovascular. 8 interviewees were 30s-40s year old and 7 were male. We analyzed qualitative data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content analysis method. The analyses showed 4 categories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learning in successful teams: informal learning and challenges to taboo, enhancing the expertise of team members through learning, empowerment, and seminar, utilizing diverse event, and recognition of imbalanced expertise among member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