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의 과정으로 읽는 알렉시예비치의 ‘유토피아의 목소리’

        윤영순 ( Yoon Young-s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1 No.-

        본 연구에서는 201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알렉시예비치의 창작을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이 체험한 불가항력적인 비극과 고통에 대한 고백의 서사로서, 그들이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해 나가는 과정으로서 살펴보았다. 작가는 문학과 저널리즘의 경계에 있는 다큐멘터리 소설이라는 독창적인 장르를 고안하고, 전쟁이나 원전폭발, 소련의 붕괴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을 개인이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보여준다. 이때 인터뷰를 통한 상처의 고백은 치유 행위의 시작으로, 이를 청취하고 텍스트로 옮기는 작가의 글쓰기는 직접적인 치유 행위로 볼 수 있다. 작가는 함께 울고 웃으며 상처 입은 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작가는 더 이상 창조자가 아니라, 역사의 증인이자 연대기 기록자, 공감하는 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감의 글쓰기는 국가와 거대권력에게 상처 입은 개인을 치유하려는 작가의 적극적인 시도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알렉시예비치의 작품을 읽는 것은 동시대 유사한 상처를 지닌 독자들에게도 위로와 공감의 행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알렉시예비치 창작에 대한 분석은 다큐멘터리 소설의 장르적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그리고 반(反)러시아, 반(反)벨로루시적인 입장을 보여주는 작가의 정치적 입장을 설명하기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creative work of Svetlana Alexievich, winner of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n 2015, as an epic of confession of the irresistible tragedy and agony that the writer has been through as an individual citizen of a country. It also argues that Alexievich`s writing, and her work, Voice of Utopia, in particular, is a healing process for treating the trauma of the writer herself, as well as for readers who have had the same historical experience. Creating a unique genre of “documentary novel,” Alexievich shows how individuals of a society overcome tragic historical events, such war, the explosion of nuclear plants,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writer`s work, especially, interviews are the beginning of the healing process. While listening to and transcribing the confessions made in the interviews, she finds that her writing immediately becomes part of the healing. Weeping and laughing together with the confessors, Alexievich pays close attention to their wounds. Feeling sympathy, she is not a creator of a story anymore, and instead begins to work as a witness of history or a recorder of chronicles. This can also be taken as the writer`s active trial to deal with her personal trauma caused by the uncontrollable power of a huge authority, her country. Moreover, reading Alexievich`s work gives comfort and healing to the readers, who have also been through tragedy and pain. From this perspective, analyzing Alexievich`s work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comprehending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novels, but also explaining the political position of anti-Russian and anti-Belarusian writers.

      • 항생제 피부반응시험 양성인 경우 변경 항생제 분석

        윤영순 ( Young Soon Yoon ),김경선 ( Kyung Sun Kim ),정선영 ( Sun Young Jeong ),박근민 ( Gun Min Park ),손성욱 ( Seong Wook Sohn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1 천식 및 알레르기 Vol.31 No.1

        Background: Antibiotics skin test (AST) is routinely performed to examine hypersensitivity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lect antibiotics in case of positive AST because of poor validation of AST, crossreactions among β-lactams, etc. Objective: To evaluate the change of antibiotics and following results in case of positive AST. Method: Eighty-six hospitalized patients with positive AST between June 2008 and May 2009 were enrolled. The changing patterns of antibiotics, skin test-reactivity of changed antibiotics, history of antibiotics allergy and adverse events after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were examined in review of medical records. Result: The patients with positive AST were 95 cases. The skin test positive-antibiotics were 11 penicillins and 84 cephalosporins, respectively. The finally administered antibiotics were changed in 84 patients except 2 patients, which were non β-lactams in 13 patients, cephalosporins in 59 patients, and penicillins in 14 patients. Total 3 (3.5%) adverse reactions (ADRs) were reported. Among them, one was reported in 2 patients whose antibiotics were not changed and 2 (2.4%) in remaining 84 patients. Conclusion: Most antibiotics were changed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antibiotics were varied in case of positive AST. The guidelines for changing antibiotics are needed.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1;31:48-54)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강박적 말하기

        윤영순(Yoon Young S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 플라토노프 작품의 서사 유형을 ‘강박적 말하기’로 잠정 정의하고 살펴보았다. 우선 1920년대 작가의 서사 방식의 변화 양상에 주목하였는데, 이를 ‘디에게 시스적 서사’에서 ‘미메시스적 서사’로의 이행으로 보았다. 초기 작품에 나타나는 일인칭 화자들의 등장과 스카스 양식에 대한 천착은 매개자를 통하여 자신을 전달하고자 하는 디에게 시스적 서사의 예로, 그리고 나름의 성숙한 소설 양식을 구현해내는 20년대 후반의 작품들은 미메시스적 서사로의 지향으로 볼 수 있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사 양식의 이행 과정이 예술가로서의 작가의 성숙 과정을 담을 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입장을 표현하는데도 적합한 것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한편 19세기의 서사 구조와는 그 본질을 달리하는 새로운 방식의 서사, 작가의 입장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선택된 ‘강박적 말하기’의 하부 유형으로는 ‘중복어구의 남용’과 청자가 이미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는 ‘간결한 말하기’를 들 수 있다.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의 말하기 방법을 작가 특유의 철학적 사유를 표현하고 이념에 대한 태도를 규정짓기 위한 것으로 전제하고, 1920년대의 주요 작품들, 주로 『체벤구르』와 「공사기초용 구덩이」를 통해서 분석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국 강박적 말하기, 말하기의 과정과 행위 자체에 집착하는 것은 ‘유토피아 언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그 언어가 내포하고 있는 이념적 위험성을 노출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그와 더불어 이 과정을 통하여 작가 자신만의 독특한 말하기 방식, ‘말’이 주인공이 되는 20년대식의 서사 양식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1920년대 플라토노프식 말하기는 『체벤구르』에서의 ‘간소화’와 「공사기초용 구덩이」에서의 ‘완결’을 거쳐서 1930년대 후반 이후 포스트유토피아 산문의 시기에 와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과의 접촉점을 찾아내고 있으며, 일방적 말하기가 아니라 삶의 서사라는 새로운 소통의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 KCI등재

        시장과 소설 : 바흐친의 라블레론과 19세기 러시아 소설장르

        윤영순(Yoon, Youngs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2

        본 논문은 여전히 변화와 생성 과정에 있는 것으로서의 소설 장르의 본질을 시장개념과 연관하여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소설을 근대의 장르, 즉 데카르트적 의미에서의 합리적 개인과 자본주의 시장의 산물이라고 여기는 서구 소설이론은 나름의 타당성을 지니지만, 여전한 중세적 세계관과 봉건제, 차리즘의 지배하에 있던 19세기 러시아에서의 소설의 비약적 발전과 이에 따른 비판적 리얼리즘의 승리는 이러한 이론으로만 설명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서구 이론과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바흐친의 소설론, 특히 라블레론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자본주의 시장의 확산과 그 상호 관계 속에서 설명되는 서구의 소설사와 달리, 러시아 소설의 발달이 또 다른 형태의 시장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전제하였다. 서구 소설론이 ‘자본주의 시장’의 탄생을 소설 장르의 발생과 연관시키고 있다면, 바흐친은 고대와 중세 ‘민중의 정기시장’이 지니는 카니발적 성격을 소설 장르의 기원과 관련짓고 있다. 수요와 공급의 상호관계, 이해관계 등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의 개념으로 자본주의적 시장을 이해할 수 있다면, 바흐친의 소설론이 이야기하는 중세의 정기시장은 상행위 및 소통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속성이 강조된 바, 기존의 관계가 전복되는 유토피아적인 공간으로, 중세의 공간 속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크로노토프로 기능하는 곳이다. 19세기 러시아 소설 발달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고골의 초기 작품에서는 이와 같은 바흐친적 의미에서의 시장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골의 작품에 나타난 시장개념을 바흐친적 의미에서 분석하고 향후 이 개념이 어떻게 자본주의 시장과 관계 맺는가를 살펴봄으로써, 19세기 러시아 소설의 발전과 비판적 리얼리즘의 승리가 두 가지 시장개념 모두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음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explored the essence of novel genres that form and change based upon the concept of the market. Novels as a genre are considered the products of modern subject ― rational individuals in the meaning of Descartes and of capitalism. Although this idea can be seen in the history of Western novel progress and society, it may be insufficient to clarify the ensuing rise of critical realism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novels in nineteenth-century Russia under feudalism and tsarism. By exploring one of Bakhtin’s novel theories, the Rabelaisian theor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evelopment of Russian novels has relevance to certain types of “market”. This point differs from an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novel affected by capitalism and capitalist markets. Bakhtin compares peculiar realities of Russia with those of medieval Europe, and also seeks to trace polyphonic proses to their origin in genres of satire and humor. He focuses on the progress of novels as a genre of humor as well as a genre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not of the bourgeoisie. Western novel theories indicate that there should be a link between the appearance of ‘capitalist markets’ and the origins of novel genres. On the other hand, Bakhtin associates such origins with ancient and medieval carnivalesque ‘periodic fairs’ at grass-roots level. While capitalist markets are generally regarded as the supply and demand mechanism, medieval periodic fairs in Bakhtin’s theory represent communication and commercial activities. The periodic fairs not only provide utopian spaces overturning previous relationships, but function as new chronotopes that exist independently in the space of medieval times. Markets are inextricably bound up with human life. Various literary genres arise, develop, and disappear along with markets that interact closely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As stated above, novel genres have originated and developed through two types of market: the common people’s fairs providing space for communication and capitalist markets perceived as a means of human alienation. Thus, using both market concepts can explain the success and development of Russian novels written in the beginning and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체벤구르』와 초월적 전통으로서의 러시아 유토피아

        윤영순 ( Young Sun Yoon ) 한국러시아문학회 2014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47 No.-

        Несмотря на то, что сам термин утопия введен в России позже, чем в других европейских странах, сама идея была давн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а в стране. В работе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русское утопическое движение с позиции конфликта и смирения противоположных утопических течений - религиозно-народной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 этом плане роман “Чевенгур”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интереснейший пример, показывающий исторический процесс конфликта между так называемой народно-крестьянской и марсистско-ленинской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утопиями. Вместе с этим в романе преслеживаются почти все русские традиционные утопиические идеи: религиозно-эсхатолигическая, народно-крестьянская, официальн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и др. Однако, эти различные, а иногда даже противоре-чащие друг другу утопические традиции объяснются одним “могучим” словом - коммунизм. Между прочим, “Чевенгур” нередко считают романом о страстной вере в коммунизм или соцализм. Однако в целом роман является летописью процесса изоляции и краха народно-крестьянской утопии в России не только во время революции, но и во всей после- дующей ее истории. Роман Чевенгур - это история о потерянных людях, которые мечутся между двумя утопиями - официально-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и народно-крестьянской. Как всегда конфликт завершается отрицанием народом существующей идеологии. Ирония в том, что именно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революция ускорила крах и изоляцию крестьянской утопии в России. В романе кроется трагический перспектив автора о будущем народно-крестьянской утопии и коммунизм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