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ㆍ몽 설화의 비교

        윤승준(Yoon Seung-joon),황인덕(토론자) 비교민속학회 2002 비교민속학 Vol.22 No.-

        The subje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lklore of Korea and Mongolia, will be agreed, when this paper deals well with the commonnes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lklore of Korea and Mongolia, and the reasons which the commonness and the differences had caused. Even though such theses are beyond my ability at present, I tried to find a clue to approach the theses in this paper. Finally, I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especially the reception and vari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had made such commonness and the differences in the both countries. Korea and Mongolia have lots of the brilliant traditions and cultures of Buddhism, though they received Buddhism via another route, China and Tibet. Many of the tales, which had tol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Korea as well as Mongolia, derived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For example, the Korean tales such as Korea-funeral(高麗葬), A cat that pretended to practice asceticism(猫首座), Attach a bell to a car(猫項懸鈴), and the Mongolian tales such as an old person of sixty, A cat disguised as a Buddhist priest of Mongolia, etc. derived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In this paper, I concentrated my attention on the tales of struggle for the senior(爭年) those transmitted in Korea as well as Mongolia. And I found out that those tales are one of the various versions of the same type, and the origin is in the Buddhist scriptures of India. I inquired into the original tale, and compared it with the tales of the both countries. The tales of struggle for the senior of Korea and Mongolia show the fact that the original tale of the Buddhist scriptures had transmitted and spread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had taken some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ife and surroundings of each country. Now we have to consider the reason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olklore of Korea and Mongolia once again. Because all the reasons can’t be explained by an interchange of personnel in Korea Dynasty.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especially the reception and vari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had done an important function.

      • 이동로봇 원격제어를 위한 HMD의 회전각 측정에 관한 연구

        윤승준(Seung-Jun Yoon),노영식(Young-Shick Ro),강희준(Hui-Jun Kang),서영수(Young-Su Seo) 대한전기학회 2008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8 No.1

        분 논문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시스템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연구이다. 우선 이 원격제어 시스템은 AP와 부선랜을 이용하여 독립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이동로봇의 주변 환경을 레이저 센서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영상 정보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통하여 볼 수 있다. HMD의 회전 각 도는 펜틸트에 전송되어 HMD가 회전한 만큼 펜틸트도 회전하여 이동로봇의 주변환경 영상정보를 얻음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생거진천 사거용인> 설화의 유형과 의미

        윤승준(Yoon, Seung-Joon) 실천민속학회 2014 실천민속학연구 Vol.23 No.-

        본고에서는 <생거진천 사거용인> 설화의 전승 현황을 정리하고, 서사 구조를 중심으로 하위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설화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23편의 각편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생거진천 사거용인> 설화는 서사 구조에 따라 ‘환생한 남편 유형’과 ‘개가한 어머니 유형’으로 하위 유형을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 두 유형은 다시 ‘천재지변형’과 ‘저승사자형’, ‘경제적 궁핍형’과 ‘애정 결핍형’으로 각각 나누어볼 수 있다. 그 가운데 초현실적 존재나 비현실적 사건을 전제로 한 ‘환생한 남편 유형’이 먼저 형성되었고, 전승 과정에서 현실적 문제를 낭만적 방식으로 다룬 ‘개가한 어머니 유형’이 생성된 것으로 보았다. ‘환생한 남편 유형’은 인간의 능력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초자연적 세계의 폭력적 개입을 인정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초래된 불합리한 결과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인간의 한계 상황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와 같은 불합리한 결과에 대하여 온몸으로 저항하는 불굴의 인간 정신을 담은 이야기이며, ‘개가한 어머니 유형’은 경제적 궁핍과 애정 결핍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남편을 잃고 홀로 된 여인이 헤쳐 나가야 했던 고단한 삶을 문제 삼은 이야기라고 해석하였다. <생거진천 사거용인> 설화는 뜻밖에 찾아온 재앙 내지 불행으로 인해 평화롭고 행복한 삶이 하루아침에 깨질 수 있지만, 끝내 고난과 위기를 이겨내고 인간의 참다운 가치를 회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담아낸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I examined the status of the oral tradition of the tale ‘Living in Jincheon before death, Living in Yongin after death’ and classified the sub-types of the tale, and tried to interpretate the meaning of the tale in this paper. On the base of the analyzing 23 versions, I classified the sub-types of the tale ‘Living in Jincheon before death, Living in Yongin after death’ into two types again ; 1. the type of a husband reincarnated, 2. the type of a mother married. And each of these two sub-types was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again ; 1-① the type of supernatural disaster, 1-② the type of the death angel, 2-① the type of the economic privation, 2-② the type of love deficiency. The type of a husband reincarnated would be appeared in advance, and the type of a mother married again would be appeared later. The type of a husband reincarnated is a story that shows the critical situation of human being and human’s resistance against the critical situation. And the type of a mother married again is a story that shows the miserable life of a woman who lost her husband, especially economically and affectionally. The tale ‘Living in Jincheon before death, Living in Yongin after death’ is a story that told a hope of recovering human value in spite of the supernatural disaster or misfortune.

      • KCI등재

        재담의 웃음 창조 방식에 관한 연구

        윤승준(Yoon, Seung Joo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본고는 1910년대에 출간된 7종의 재담집을 논의 대상으로 삼아 재담의 웃음창조 방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① 인간의 생리적 욕구와 원초적 욕망의 폭로, ② 병신, 바보, 무지에 대한 조롱과 비웃음, ③ 기존 질서와 가치의 전복, 새로운 진실의 발견, ④ 기발한 착상과 궤변, 그리고 문자유희 등 재담의 4가지 웃음 창조 방식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논증하였다. 1910년대 재담은 이와 같은 4가지 방식을 통하여 웃음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웃게 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서 당대 우리 사회가 안고 있었던 문제점을 되돌아보게 하고 인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 것이 1910년대 재담이다. 비록 웃음거리로 만들어버리긴 했지만, 재담을 통해 인간의 생리적 욕구와 원초적 욕망을 냉정하게 대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게 하였고, 또 한편으로는 기존의 전통적 가치와 권위를 무화시킴으로써 근대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재담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또는 지적으로 모자라고 떨어지는 병신이나 바보, 무지한 인물들을 통해서 근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치부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던 조선과 조선인의 자화상을 희화화하고 이를 통하여 문제를 교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면서도 바보 같은 인물들의 심성 저변에 깃들어 있는 인간적 가치를 웃음 창조 방식으로 전화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또한 1910년대 재담은 웃음이라는 외피속에서 기존 질서의 권위주의적 폐단과 무능력한 실상을 폭로하고 직시하도록 함으로써, 그에 대한 전복을 기도하고 새로운 가치와 진실을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발한 착상과 궤변, 문자유희를 통해서 삶에 활력을 불어넣고 어두운 시대를 헤쳐 나올 수 있게 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ways of creating laugh, focused on the witticism collections in the 1910"s. I present 4 ways of creating laugh as follow ; ① to reveal a physiological need and a natural human desire, ② to ridicule the dumb, deaf, blind, and fool, ③ to buck the system and establish a new order, ④ to suggest a novel idea and sophistry, including the plays on words. The witticism collections in the 1910"s used these ways and succeeded in to create laugh. They also made a deep understanding for human being. Although they brought someone into derision, facing a physiological need and a natural human desire made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uman further. Making a dumb or a deaf, a blind, a fool appear, they satisfied the readers" sup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y opened the way to discover the human value hidden in their naive mind also. They revealed the indictments and incompetence of the system, and suggested a clue to overthrow the system and to establish a new order. The noble ideas of witticism including the plays on words vitalized the life of people and managed their life through the dark period.

      • KCI등재

        고전교육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사례 : 단국대학교 <명저읽기>를 중심으로

        윤승준(Yoon, Seung Jo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단국대학교는 2020학년도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고전 통권 읽기를 기본으로 하는 <명저읽기> 교과목을 교양필수 교과목으로 신설하였다. 본고는 단국대학교의 <명저읽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고전교육의 방법과 성과, 앞으로의 과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단국대학교에서는 <명저읽기: 인문>, <명저읽기: 사회>, <명저읽기: 자연> 3개 교과목을 개설하여 그 가운데 한 과목을 필수로 이수하게 하고 있다. 1개 분반에 40명을 기준으로 하는 <명저읽기>는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에서 2020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총 123개 강좌가 개설되어 4,386명이 수강하였다. <명저읽기>에서 다루는 대상 도서는 <단국권장도서 101>에서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읽기와 토론, 쓰기를 핵심적인 학습활동으로 적용한다. 또한 교강사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수업 운영의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공동 모색하고 있다. 단국대학교에서는 고전교육의 교육성과 측정을 위한 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매학기 사전, 사후 조사를 통해 <명저읽기> 교과목의 교육성과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2020학년도 1, 2학기 <명저읽기> 교육성과를 진단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독해력과 의사소통 역량, 창의역량, 문제해결 효능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학업에 대한 흥미도(상황적 흥미, 개인적 흥미) 역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전교육이 사고력이나 문해력 향상만이 아니라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업 동기 제고에도 크게 기여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교양기초교육으로서 고전교육의 의의를 확인하게 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명저읽기> 교과목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개선해야 할 과제들이 있기는 하지만, 단국대학교가 시행하고 있는 고전교육 방법과 교육성과 관리 체계는 고전교육의 모범적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ankook University has opened three courses; <Reading Masterpieces: Humanities>, <Reading Masterpieces: Society>, and <Reading Masterpieces: Nature>. One of them is required to be completed. A total of 123 courses were opened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2020 academic year at Jukjeon and Chenan campuses, and 4,386 students took <Reading Masterpieces>, which is based on 40 students per class. In principle, the text books covered in <Reading Masterpieces> are selected from <Dankook Recommended Books 101>. And reading, discussing, and writing are core learning activities in this class. In addition, the instructors"s workshops are held regularly to share the know-how of class operation and to seek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ankook University reorganize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2020 academic year and is operating the subject of “Reading Masterpieces,” which is based on reading classic books as a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s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classic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Dankook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future tasks. Dankook University has developed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classic education, and is diagnos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the subject <Reading Masterpieces> through pre-class and post-class surveys every semester and analyz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agnos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2020, the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comprehension,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efficacy all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ir interest in learning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is result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classic education as a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in that it shows that classic education greatly contributes not only to improving thinking and literacy but also to enhancing students" voluntary academic motivation. Although there are additional task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for the subject of <Reading Masterpieces> to take root, the classic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management system implemented by Dankook University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best examples of classic education.

      • KCI등재

        <도깨비감투>와 <호랑이 눈썹>, 그 상반된 욕망의 서사

        윤승준(Yoon, Seung-Joon)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본고는 <도깨비감투>와 <호랑이눈썹>의 서사구조와 의미 분석을 바탕으로 설화에 투영된 욕망 추구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보이는 것을 보이지 않게 하고자 하는 욕망의 서사’인 <도깨비감투>는 ‘고난’-‘행운’-‘의외의 고난’-‘행운’-‘의외의 고난/행운의 완전한 소멸’로 전개되는 M자형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반면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자 하는 욕망의 서사’인 <호랑이눈썹>은 ‘고난’-‘의외의 행운’-‘고난/행운’-‘의외의 행운’-‘고난의 완전한 극복’으로 전개되는 W자형의 서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두 설화는 주인공의 가난한 현실이라는 동일한 상황을 문제 삼되, <도깨비감투>에서는 사회적으로 억압해 왔던 욕망의 자유로운 추구를 서사 전개의 중요한 축으로 다루었으며, <호랑이눈썹>에서는 본질적이고 생산적인 부부 관계의 추구를 서사 전개의 중요한 축으로 삼았다. 두 설화의 의미 해석과 관련해서는 표면적 의미보다 이면적 의미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도깨비감투>에서는 비윤리적이고 부도덕한 모습의 은폐와 관련한 윤리성의 문제를 검토하였고, <호랑이눈썹>에서는 문제 해결의 새로운 대안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폭력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도깨비감투>는 가난한 현실의 타개라는 개인의 절박한 상황과 불법 행위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는 윤리 의식, 그 두 개의 축 사이에서 윤리 의식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귀결되는 서사구조를 취하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욕망 추구에 공감하고 동조하고자 하는 지향을 담아낸 것으로 이해하였다. 한편 서로에게 어울리는 제 짝을 만나야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는 믿음을 전제로, 그렇지 못한 현실의 문제를 다룬 <호랑이눈썹>은 현실의 고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부 짝 바꾸기라는, 사회의 오랜 통념과 대립되는 진보적 해결 방법을 제시했지만, 이면적으로는 그러한 해결 방법이 가지고 있는 폭력성과 한계를 동시에 이야기한 설화라고 하였다. I tried to examine and interpret the problems of pursuing desire in this paper, based on the analysis of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Magic Cap〉 and 〈The Eyebrow of Tiger〉. 〈The Magic Cap〉 was a tale of desire not to be seen, and 〈The Eyebrow of Tiger〉 was a tale of desire to see. 〈The Magic Cap〉 had a structure ‘M’.; suffering-good luck-unexpected suffering-good luck-unexpected suffering/extinction of good luck. And 〈The Eyebrow of Tiger〉 had a structure ‘W’.; suffering-unexpected good luck-suffering/good luck-unexpected good luck-permanent overcome suffering. 〈The Magic Cap〉 and 〈The Eyebrow of Tiger〉 dealt with hero’s sufferings. In the former, a pursuit of desire was the axle of narrative, but in the latter the essential and productive relation of couple was the axle of narrative. By the prohibition of illegal behaviors, 〈The Magic Cap〉 asserted social public order instead of overcoming sufferings, superficially. But they sympathized and agreed with the hero’s overcoming sufferings in the hidden meanings. But it raised a question on the ethicality of hero’s illegal behavior. 〈The Eyebrow of Tiger〉 suggested a unfamiliar way of overcoming the suffering, changing one’s wife. Even though it premised that a well-matched couple lead a happy life and a mis-matched couple live a unhappy life, changing one’s wife made a conflict against social norms and conventions. And it revealed a kind of violences and limitations on the way of push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