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Quantum Duplex Coding for Classical Information on IBM Quantum Devices

        Somi Yun(윤소미),Kihyo Kwon(권기효),Junaid ur Rehman,Fakhar Zaman,Hyundong Shin(신현동) 한국통신학회 2019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Quantum duplex coding (QDC) allows the simultaneous two-way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two communicating parties (Alice and Bob). We implement the QDC protocol on the IBM quantum device using QISkit and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the ideal case. Our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noiseless case allows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1 bits/EPR in both directions, the noise in the IBM quantum devices limits the communication rate to 0.81 (0.75) bits/EPR from Alice (Bob) to Bob (Alice). We model this nonideal behavior of quantum gates on IBMquantum devices as ideal gates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quantum noise to simulate QDC classicall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청소년 치어리딩 선수의 손상실태

        윤소미 ( Somi Yun ),손윤선 ( Younsun Son ),황은진 ( Eunjin Hwang ),이대택 ( Dae-taek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2

        [목적] 한국의 청소년 치어리딩의 손상률과 양태에 관해 조사하였다. [방법] 스포츠 치어리딩 전국대회에 참가한 청소년 치어리더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769명 중 손상 경험이 있는 43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손상 경험자는 비손상자에 비해 나이가 더 많고(p<0.001), 경력자가 많았으며 (p<0.001), 체질량지수도 더 높았다(p<0.05). 청소년 치어리더들의 손상 부위는 손목과 발목, 무릎과 어깨, 허리로 전신의 손상 빈도가 고르게 높았으며 손상 종류에서는 근육손상과 타박상이 높게 나타났다. 손상동작은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6개월 미만은 엘리베이터, 6개월-1년은 크래들, 1년-2년은 크래들과 바스켓토스였으며, 2년-3년은 크래들과 피라미드로 전체 손상동작의 상위 동작들과 일치하며 높은 곳으로 올라갔다 내려오는 동작들이었다. 손상 발생 후 처치는 집에서 자가 치료를 하거나 치료를 하지 않는 선수들이 56%를 차지했으며, 손상에서 회복 노력을 하지 않거나 자가 치료를 한다는 결과가 전체의 60%였다. 또한 치어리딩 정식 매트를 사용하는 그룹이 전체의 32%였다. [결론] 안정성을 고려한 규정을 마련하고, 손상 처치와 예방 및 안전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Korean teenager cheerleading injuries were surveyed. [Methods] A total of 769 junior cheerleader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Sport Cheerleading Competition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nd 435 reported experiences of injuries. [Results] Risk factors for injury included older age (p<0.001), increased experience (p<0.001), and higher BMI (p<0.05). The most frequent injury occurred at wrist, ankle, knee, shoulder and waist. And the most responded types of injury were muscular pain and contusion. Cheerleading experience affected on injury prevalence. They were injured when they perform Elevator (<0.5 yrs), Cradle (0.5-1 yrs), Cradle and Basket toss (1-2 yrs), Cradle and Pyramid (2-3 yrs). These techniques involved in bodily movements of going up and cradle. About 56% of injury was treated at home or not treated at all, and 60% of injury was either self-treated or not intervened. And only 32% of cheerleaders practiced on a formal mattress. [Conclusion] Safety measures for these youth cheerleaders are necessary and guidelines for securing safety and preventing and treating injuries for these population are urgent.

      • KCI등재후보

        리듬운동으로서 청소년 치어리딩의 현황과 발전방향

        윤소미 ( Yun Somi ),공민희 ( Kong Minhee ),김병조 ( Kim Byeongjo ),이대택 ( Lee Daetaek ) 한국리듬운동학회 2017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0 No.1

        Cheerleading is a bodily rhythmical movement that can match and express to variety of music.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s can gi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cently, cheerleading is adopted widely to school sports clubs. And it is expected to gi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nd functional improvement, self-esteem enhancement, and stress management. For further expansion of cheerleading to public domain, a provision of appropriate infrastructure and a systemic installment of standardized manual for safety measures and education have to be prepared.

      • KCI등재

        성인 남성의 유산소 운동능력과 장내미생물 조성 요인과의 관계

        윤소미(Yun, Somi),이미영(Lee, Miyoung),이대택(Lee, Dae Taek)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이 연구는 최대산소섭취량(Maximum oxygen uptake, VO₂max)에 따른 장내미생물 조성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32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를 선정 시, 식이, 장건강, 신체활동 상태를 파악하였다. VO₂max 측정 값에 따라 유산소 운동능력이 낮은 그룹(Low Group, LG, n=16, 29.5±5.0 yrs, 175.8±4.7 cm, 78.5±11.9 kg, 25.3±3.2 kg/m², 36.9±4.3 ml/kg/min)과 높은 그룹(High Group, HG, n=16, 27.6±4.9 yrs, 175.3±4.0 cm, 74.6±8.7 kg, 24.3±2.7 kg/m², 45.6±5.0 ml/kg/min)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운동부하검사 시기에 맞춰, 일주일간 식이를 조사하였으며, 장내미생물 검사를 위해 10시간 공복을 유지하였고, 기상 후 첫 번째 채변을 획득하였다. 그룹 간 비교 결과, Bacteroidetes는 HG가 높고(t=-2.349 p=0.026), Firmicutes는 HG가 낮아(t=-2.252 p=0.032)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F/B ratio에서도 HG에서 더 낮은 결과를 보여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092 p=0.045). VO₂max와 장내미생물의 다양성 지표 및 Phylum의 상관관계는 니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유산소 운동능력이 좋은 사람은 건강한 사람에게 나타나는 주요 장내미생물 분포와 일치하였다. 추후 세부적인 연구를 통한 추가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ut microbiome composition and the maximum oxygen uptake (VO2max) level. A total of 32 healthy adult males whose diet, intestinal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status were identified, were recruited. Based on VO₂max leve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ow (Low Group, LG, n=16, 29.5±5.0 yrs, 175.8±4.7 cm, 78.5±11.9 kg, 25.3±3.2 kg/m², 36.9±4.3 ml/kg/min) and high aerobic exercise capacity groups (High Group, HG, n=16, 27.6±4.9 yrs, 175.3±4.0 cm, 74.6±8.7 kg, 24.3±2.7 kg/m2, 45.6±5.0 ml/kg/min). All subjects kept their 1-week dietary records matching time with an exercise stress test. The first stool sample was taken after 10 hour fasting for analysis of intestinal microbiome. When comparing groups, Bacteroidetes were significantly high in HG (t=-2.349 p=0.026) and Firmicutes were significantly low in HG (t=-2.252 p=0.032). The F/B ratio also showed a lower value in HG than LG (t=-2.092 p=0.04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O₂max and intestinal microbial diversity index and Phylu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person with high aerobic capacity showed a healthy gut microbiome distribution. Additional studies for verifying these responses were granted.

      • KCI등재

        상지를 이용한 크랭킹 및 자세 유형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 비교 연구

        장해중(Jang, Haejung),윤소미(Yun, Somi),정민기(Jung, Min Gi),이대택(Lee, Dae Taek),이보근(Lee, Bo-Gue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상지를 이용한 크랭킹 및 자세 유형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암 에르고미터 경험이 없는 20~30대 남성 9명을 대상(25.1±3.14 yrs, 176.5±5.27 cm, 79.5±12.14 kg)으로 점증부하 운동검사 3회, 최대하 운동 6회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점증부하 운동검사에서 얻어진 최대산소섭취량을 토대로 예비산소섭취량의 약 70%에 해당되는 암 에르고미터 부하를 설정하였다. 최대하 운동은 직립 자세, 누운 자세, 전방 숙인 자세에서 비동시 및 동시 크랭킹을 각각 실험 하였다. 가스호흡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고, 에너지 효율성(%)를 산출하였다. 자세 유형에 따라 비동시 및 동시 크랭킹 간 에너지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고, 상지를 이용한 크랭킹 유형에 따라 직립, 누운, 전방 숙인 자세 간 에너지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세 유형 중, 누운 자세에서 동시 크랭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냈다(p <.05). 상지를 이용한 크랭킹 유형 중, 동시 크랭킹에서 전방 숙인 자세가 직립 자세와 누운 자세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p <.05). 누운 자세-동시 크랭킹 유형이 가장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누운 자세-동시 크랭킹 유형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냈고, 전방 숙인 자세-동시 크랭킹 유형이 가장 낮은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ody position and the arm cranking type on energy efficiency and to provide an insight of proper arm cranking strategy. 9 men who had no experiences of arm ergometer cranking (25.1±3.14 yrs, 176.5±5.27 cm, 79.5±12.14 kg) were recruited. They performed 3 occasions of maximal oxygen uptake (VO₂max) test and 6 occasions of submaximal exercise test. they positioned at seated upright, recline, and forward-bent positions. Based on VO₂max test, 70% of their submaximal workload was calculated, and this exercise intensity was applied to each of three body positions. For the submaximal exercise test, they cranked with two arms asynchronously or synchronously. During the experiments, their oxygen uptake was measured and the energy efficiency in percent was calculated. The differences of energy efficiency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arm cranking in each body position were compar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as utilized to compare energy efficiency between each body position at each of arm cranking type. Among the body positions, the synchronous crank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nergy efficiency during the recline position (p <.05). During synchronous cranking, the forward-bent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efficiency than the other two positions (p <.05). In addition, the synchronous cranking at the recline position showed the highest energy efficienc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highest energy efficiency during synchronous arm cranking at the recline position and the lowest one during synchronous cranking at the forward-bent position.

      • KCI등재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훈련이 여자 청소년 치어리딩 선수들의 견관절 근력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공민희(Kong, Min Hee),윤소미(Yun, Somi),김기정(Kim, Kijeo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적용이 여성 청소년 치어리딩 선수의 어깨 관절 등척성 근력 및 운동 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총 22명의 여성 청소년 참여자가 운동군(EG: Exercise Group, n=11, 15.9± 2.0 yrs, 159.2±7.1cm, 54.6±16.2 kg), 비운동군(NEG: Non Exercise Group, n=11, 15.9±2.5 yrs, 158.2±8.1 cm, 53.5±9.2 kg)으로 참여하였다. SNPE는 벨트 및 도구 운동으로 구성하여 6주 동안 60분간 주 5회 실시되었으며 운동 강도를 높이기 위해 2주마다 세트와 반복 횟수를 늘렸다. SNPE 훈련 전후에 견관절의 등척성 근력(벌림, 모음, 안쪽돌림, 가쪽돌림) 및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안쪽돌림.가쪽돌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대응표본 t 검정과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룹 내의 결과, EG에서 사후 값이 모두 증가하였다. 어깨 관절의 등척성 근력은 벌림, 모음, 안쪽돌림, 가쪽돌림이 NEG보다 EG에서 증가하여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관절가동범위는 왼쪽 굽힘, 양쪽 폄, 오른쪽 안쪽돌림(p<.001), 오른쪽 굽힘, 왼쪽 안쪽돌림(p<.01), 양쪽 가쪽돌림(p<.05)에서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선수들에게 퍼포먼스 증가와 회복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application on shoulder joint isometric muscle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ROM) in female adolescent cheerleading athletes. A total of 22 participa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 (EG: n=11, 15.9±2.0 yrs, 159.2±7.1cm, 54.6±16.2 kg), and Non-Exercise Group (NEG: n=11, 15.9±2.5 yrs, 158.2±8.1 cm, 53.5±9.2 kg). EG underwent SNPE program consisting belt and tool exercises 60 min per session, 5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exercise intensity was raised every 2 weeks by repetition and sets. Isometric muscle strength and ROM of the shoulder join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NPE trainin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and ANCOVA. As a result within the group, all post hoc values in EG increased. abduction, ad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in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he shoulder joint increased in EG than NEG (p<.001). The left flexion, right and left extension, right internal rotation(p<.001), right flexion, left internal rotation(p<.01), right and left external rotation(p<.05) in ROM of the shoulder joint increased in EG than NEG. With further additional researches, exercise programs for performance enhancement and recovery from injury can be developed.

      • KCI등재

        가상현실 체육수업의 활용을 위한 에너지소비량 분석

        이윤빈(Yunbin Lee),윤소미(Somi Yun),정민기(Min Gi Jung),임다혜(Dahye Lim),황은진(Eunjin Hwang),이대택(Dae Taek Lee),임승찬(Seung chan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접목한 학교체육수업을 기존의 학교체육수업(physical education class: Gym)과 비교하여 신체활동에 요구된 에너지소비량(energy expenditure: EE)을 분석하고, VR을 활용한 학교체육수업이 신체활동량을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써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VR과 Gym의 EE를 비교하기 위해, 초등학생 70명(남·여, 나이 11.8±0.8 세, 신장 146.4±7.2 cm, 체중 40.0±9.9 kg, BMI 18.6±3.6 kg/m2)을 대상으로 VR과 Gym의 활동을 촬영하였다. 활동적인 동작을 선별하고, 대사당량을 부여하여 EE를 산출하였다. 각 체육수업과 성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VR과 Gym의 EE의 차이는 t검정을 이용하였다. EE의 차이는 VR의 3.5±0.9 kcal/min과 비교하여 Gym의 4.1±1.1 kcal/min에서 평균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성별의 경우 VR과 Gym모두 여아동과 비교하여, 남아동에서 EE가 높게 나타났으나(p<.01), Gym의 여아동과 VR의 남아동에서 Gym의 여아동의 EE가 높게 나타났다(p<.01). VR은 Gym 보다 평균적인 EE가 낮게 평가 되었으나, 걷기, 공부, 수면과 같은 일반적인 신체활동과 비교하여 높은 EE를 소비하는 것으로 신체활동을 높일 수 있는 체육수업으로 활용가능성을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energy expenditure (EE) of physical education (PE) classes during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VR) module to conventional PE classes occurred in Gymnasium (Gym).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PE class with VR can be a potential substitute for the conventional PE clas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To compare EE between VR and Gym, 70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11.8±0.8 yrs old, height 146.4±7.2 cm, weight 40.0±9.9 kg, BMI 18.6±3.6 kg/m2) were video taped during their VR and Gym classes. From the tapes, their activity levels were categorized and metabolic equivalents were given for estimating EE. To compare sex differences during each class,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employed and, differences between VR and Gym were compar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average EE in VR (3.5±0.9 kcal/min) was higher than that in Gym (4.1±1.1 kcal/min) (p<.05). The EE of boys were higher than that of girls in both VR and Gym (p<.01), but the EE of girls in Gym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boys in VR (p<.01). Although EE in VR was less than EE in Gym, EE of VR showed a potential substitute of PE class promoting physical activity level since its EE was higher than daily prevalent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studying and sleeping.

      • KCI우수등재

        20대 초반 남성의 유산소성 체력수준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과 1,500m, 20m 셔틀런과의 관계

        성봉주 ( Sung Bong-ju ),윤소미 ( Yun Somi ),이대택 ( Lee Dae Taek ),김재중 ( Kim Jae Joong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초반 남성의 유산소성 체력수준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VO<sub>2</sub>max)과 1,500m 달리기(1500-R), 20m 셔틀런(MS-R)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0명의 남성(19.5±0.9 yrs, 175.6±5.6 cm, 67.8±8.8 kg)이 VO<sub>2</sub>max를 한번 측정하였고, 1500-R과 MS-R은 1주 간격으로 두 번씩 측정하여 더 좋은 기록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VO2max에 기초한 ACSM 지침에 따라 Average(A), Good(G), Very good(VG), Excellent(E)의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기록을 그룹별로 비교했을 때, A와 E 그룹에서 1500-R MS-R의 기록이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상관계수에서는 모든 그룹에서 1500-R과 MS-R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VO<sub>2</sub>max와 1500-R, MS-R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1500-R, MS-R의 기록은 체력수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현장의 심폐지구력테스트 결과는 극단인 평균(1단계)과 우수(4단계)한 심폐지구력을 가진 그룹에서만 최대 유산소 능력이 구분되었다. 중간단계(좋음과 아주좋음)의 필드테스트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성이 있으나 VO<sub>2</sub>max와는 모든 체력수준에서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20대 초반 남성들을 대상으로 현장활용 심폐지구력을 평가할 때 1,500m 달리기와 20m 셔틀런은 전반적인 현장테스트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하나 최대산소섭취량의 세부 등급별 적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ximal oxygen uptake (VO<sub>2</sub>max) and 1,500m run (1500-R) and the 20m multistage shuttle run (MS-R) according to aerobic fitness level in early 20<sup>th</sup> men. One hundred men (19.5±0.9 yrs; 175.6±5.6 cm; 67.8±8.8 kg) were measured for VO<sub>2</sub>max in one occasion, and were tested for 1500-R and MS-R twice each in 2 separate weeks in random order. The better score of two trials of 1500-R and MS-R was taken for analysis. Based on ACSM guidelines using VO<sub>2</sub>max level, they were grouped in Average (A), Good (G), Very good (VG), and Excellent (E) fitness groups. When the record were compared by groups, it was only different between A and E in both 1500-R and MS-R (p<0.05).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nly significant between 1500-R and MS-R in all groups (p<0.01) while not between VO<sub>2</sub>max and two field tests. Records of both 1500-R and MS-R appeared to increase progressively by fitness level, but the outcome of field endurance tests only differentiate VO<sub>2</sub>max between of A and E. Group G and VG were related closely, but not related to VO<sub>2</sub>max. In conclusion, 1500-R and MS-R can be useful tools in field setting for evaluating aerobic capacity in early 20th of men, but these can not be applied in predicting leveled aerobic capacity.

      • KCI등재

        거울을 활용한 미러링 코칭이 자유형 스트로킹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보람(Lee, Bo-Ram),윤소미(Yun, Somi),정아름(Jung, Ah-Reum),이윤빈(Lee, Yun Bin),이희진(Lee, Hee Jin),이대택(Lee, Dae Daek)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자유형 스트로크를 교정하기 위해 수영장 바닥 거울을 사용한 코칭이 효과적인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1년 이상 수영 강습을 받은 성인 30명을 무작위로 Mirror group(MG)과 No mirror group(NMG)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MG(men=12, 32.25±8.2 yrs, 175±5.5 ㎝, 70.9±9.2 ㎏; women=3, 37.6±13.7 yrs, 160.0±3.4 ㎝, 55.6±3.5 ㎏), NMG(men=7, 28.7±6.1 yrs, 176.2±3.7 ㎝, 72.4±14.4 ㎏; women=8, 38.8±14.6 yrs, 162.1±4.4 ㎝, 54.1±7.3 ㎏)은 2.43 m x 4.57 m x 1.37 m 크기의 인공 수조에서 자유형 1분을 실시하였다. 거울제공 여부와 시간의 상호작용이 스트로크 기준점과의 차이에 미치는 효과는 1차 검사에서 NMG: 6.0±3.982 ㎝, MG: 7.67±3.266 ㎝로 집단 간 차이가 1.67 ㎝인 반면, 2차 검사결과 NMG: 5.07±3.788 ㎝, MG: 2.47±3.502 ㎝ 로 집단 간 차이가 2.6 cm 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0.627, p<.001). 거울 제공 여부와 시간에 따른 스트로크 빈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피드백 종류와 1차, 2차 검사의 상호작용이 스트로크 빈도에 미치는 효과는 1차 결과 NMG: 57.67±6.821 score, MG: 60.73±7.294 score에서 2차 결과 NMG: 56.33±6.586 score, MG: 53.67±5.447 score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4.807, p<.001). 거울 제공 여부와 사전사후 검사 따른 스트로크 시간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드백 종류와 1차, 2차 검사의 상호작용이 스트로크 시간에 미치는 효과는 1차 NMG: 2.04±.208 sec, MG: 2.05±.250sec에서 2차 NMG: 2.15±.287 sec, MG: 2.39±.307 sec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10.813, p<.01). This study analyzed whether coaching recreational swimmers using pool bottom mirror for correcting front crawl stroke is effective in achieving an intended stroke. Thirty adults who enrolled swimming lessons for more than 1 year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mirror group (MG: 12 men; 32.3±8.2 yrs, 175.0±5.5 ㎝, 70.9±9.2 ㎏: 3 women; 37.6±13.7 yrs, 160.0±3.4 ㎝, 55.6±3.5 ㎏) and control group (CG: 7 men; 28.7±6.1 yrs, 176.2±3.7 ㎝, 72.4±14.4 ㎏: 8 women; 38.8±14.6 yrs, 162.1±4.4 ㎝, 54.1±7.3 ㎏). They performed front crawl twice in a swimming flume (2.43 × 4.57 × 1.37 meter) at their chosen speed (pace of 87.9±4.2 for men, 102.7±4.7 sec/100 meter for women). Their stroke was video recorded by an underwater camera (xnb-6001, Samsung, Korea) and dry land camera (gnd-6020R, Samsung, Korea). After their first trial and recording, individual stroke was evaluated and verbal feedback was given for correction targeting full arm range stroking. During second trial, MG had a mirror (81 × 151 ㎝) installed under the bottom of flume so that they could check their stroke. CG did not use mirror during second trial. An image analyzer (Dartfish, Swiss) was used to analyze the distance between reference point (RP: where fingertip was reached over Vastus lateralis during standing till on land) and fingertip as well as stroke time (time between left hand immersion cycle). Stroke frequency was counted cycles of both arms. Two trials were compared. The distance between RP and fingertip was 7.7±3.3 and 2.5±3.5 ㎝ in MG in 1st and 2nd trial, respectively (p<0.001) while it was 6.0±4.0 and 5.1±3.8 ㎝ in CG. The stroke frequency was 60.7±7.3 in MG and 57.7±6.8 freq/min in CG at 1st trial. It was decreased to 53.7±5.4 in MG (p<0.001), but not in CG (56.3±6.6 freq/min). The stroke time was increased from 2.1±0.3 to 2.4±0.3 sec in MG (p<0.01), but it was not changed in CG (2.1±0.2 vs. 2.2±0.3 sec)(F=10.813, p<.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