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어 붐(boom)」의 사회・문화적 고찰

        윤상한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학연구 Vol.38 No.-

        A study on the social culturology of "the Japanese boom" This study considered a Japanese boom caused after the war in Japan from a sociocultural point of view. Specifically, I analyzed the economic background of the Japanese boom, a political social background, a background around the Japanese with the historic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boom and was intended that I considered backgrounds and the meaning that were inherent in a Japanese boom. As a result of study, three times of Japanese booms understood that a verbal background existed similar economy, politics, society after the war.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①The Japanese boom is economical recession and a social phenomenon to break a relation, recession closely. Agreement of the economical situation of the reader who is intentional commercialism and consumers of the publication world that is a producer is seen there. ②The Japanese boom has the relationship that maintenance, turning to the right is close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In those days such as becoming it and acts as one side of the language nationalism, and it may be said that it is a result given the value of the language ideology in Japanese as "national language". ③The Japanese boom occurs with a change of Era of the Japanese including the new Japanese spread and Japanese disorder at the verbal side, and it may be said that it functions to show directionality to make much of a language model. In other words, the Japanese boom is not the fashion of simple Japanese in itself, and it may be said that Japanese as national language is the product of the general society change functioning as political tool and symbol, means to break recession or faith-like boasting about feeling under the premise called the language (=national language) of Japan.

      • KCI등재

        일본 의료사무 장면에서의 정중체와 보통체 사이의 코드 스위칭에 관한 분석

        윤상한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98 No.-

        본 연구는 일본 의료사무 장면에서의 정중체와 보통체 간 코드 스위칭을 분석하여, 코드 스위칭이 의료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일본 의료기관의 접수 및 수납 장면에서의 회화에는 여러 목적으로 다양한 양상의 정중체와보통체 간 코드 스위칭이 나타난다. 이러한 코드 스위칭은 회화 참가자의 사회적 속성과 맥락, 참가자의 회화 내 역할, 발화 의도의 표출, 주제의 변화 등 언어 내외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나타나며, 화제의 전환 등발화문 내 기능과 더불어 대화 상대에게 정서적인 유대감이나 신뢰감을 부여하거나 심리적 거리를 조절하는등의 화용론적 기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의약품 패키지에 나타난 위상적 표기 전략

        윤상한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0 No.-

        本硏究は、文字種と書體、色彩といった文字の屬性が一定の位相を持ったイメ一ジとして使われる樣相について, 日本の醫藥品パッケ一ジに使用された文字表現を中心に分析したものである。分析の結果、日本の醫藥品表記には、醫藥品としての本來の特性、醫藥品の使用者の屬性、醫藥品の發賣時期の時代的·社會的屬性が反映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すなわち、醫藥品のパッケ一ジをデザイン·考案する製藥會社は、消費者が文字の種類、書體、色に對して持っているイメ一ジを活用し、醫藥品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商品的價値を形成·强化していると言える。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character used as a phase character with a certain phase and discussed, for example, how the character expression used in a Japanese medicine package is used and functions as a phase.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shown that Japan's labeling of medicines reflected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drug, the user's attributes of the drug, 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drug's release. In other words, pharmaceutical companies that design and design packages of medical products are developing and enhancing their identity and commercial value as medicines by utilizing images held by consumers of written letters, fonts, and colors.

      • KCI등재

        제2언어습득의 관점에서 본 레벨이 다른 일본어학습자의 문법습득의 양상-「ようだ・みたいだ」의 사용을 중심으로-

        윤상한,최연주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8 일본언어문화 Vol.44 No.-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features the learners have shown in the course of acquiring Yo-da, Mitai-da, and how the learning level is affecting it.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following can be expressed. (1) “Yo-da” and “Mitai-da” are used evenly, without being biased to either side, regardless of the learning level. However, as the learning level rises, the ratio of “Mitai-da” increases. (2) “Yo-da” and “Mitai-da” have different preferred connections. “Yo-da” is mainly used in connection with verbs and nouns and “Mitai-da” is clearly used in connection with nouns. This tendency becomes stronger as the learning level rises, indicating Yo-da = Use with the verb at the higher level and Mitai-da = Use with the noun. (3) “Yo-da” and “Mitai-da” differ from the positions used at the sentences. “Yo-da” is used in the technical department regardless of the learning level, and “Mitai-da” tends to be used in the technical department as the level increases. (4) The acquisition of “Yo-da” and “Mitai-da” shows the formation of frequently used units in strong combination with a particular phrase. 本研究は日本語学習者の「ようだ・みたいだ」の習得過程でどのような特徴があるのか、また、そこには学習レベルがどのように関与しているのかを分析したものである。分析の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である。 (1)「ようだ」と「みたいだ」は、いずれのレベルにおいても一方の形式に偏ることなく使用されるが、学習レベルが上昇するほど「みたいだ」の使用比率が少しずつ高くなる。 (2)「ようだ」と「みたいだ」はそれぞれ好んで接続する形式が異なる。「ようだ」は主に動詞と名詞に接続して使用され、「みたいだ」は名詞に接続して使用される傾向が見られる。このような傾向は学習レベルが上がるするほど強くなり、上級レベルでは「ようだ=動詞との使用」、「みたいだ=名詞との使用」という傾向が顕著になる。 (3)「ようだ」と「みたいだ」は文で使用される位置に差が見られる。「ようだ」は、学習レベルに関係なく非述部で使用され、「みたいだ」はレベルが上がるほど非述部で使用される傾向が強くなる。 (4)「ようだ」と「みたいだ」の習得には特定の語句と強く結合して頻繁に使用される「ユニット形成」が見られる。

      • KCI등재

        생활용품 명칭의 위상적 표기전략

        윤상한(尹祥漢) 한국일본어학회 2013 日本語學硏究 Vol.0 No.38

        본 연구는 일본의 생활용품을 다양한 속성에 의해 분류하고, 그 표기에 사용된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로마자라고 하는 문자종과 다양한 사회언아학적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본어의 문자종이 생활용품의 내적·외적 속성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위상으로서 기능하는가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생활용품에는 상품에 부여된 이미지를 표출하거나 특정한 사용자에게 친숙함을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타 제품과의 구별과 식별을 위해 사용용도에 따라 다른 문자종이 사용되는데, 이는 해당 상품의 용도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형성·강화시키는 도구로서 기능한다. 둘째, 생활용품에는 각 언어권에 독자적, 또는 관습적으로 형성된 서자방향이 그 표기에 관련되어 있으며, 패키지 상의 레이아웃이라는 심미성, 소비자 측의 가독성이나 시인성이라는 언어 외적 요소를 강화시키는 도구로서의 표기전략이 사용된다. 셋째, 생활용품에는 상품이 어떠한 생산자에 의해 생산, 유통, 판매되는가에 따라 그 표기문자가 달리 나타나며, 이러한 표기에는 ‘저가격=저품질’이라는 인식을 은폐하거나 반대로 저가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숨어 있다. 넷째, 생활용품에는 상품을 비치하거나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그 표기의 양상이 달라지는데, 이는 주변의 경관과의 조화를 위한 전략, 스테레오타입의 이미지에 맞춘 전략이 담겨 있다. 다섯째, 생활용품의 표기는 상품의 발매시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며, 이는 생활용품에 대한 가치나 인식의 변화, 그리고 문자에 대한 일반적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생활용품의 문자표기에는 한자가 지니고 있는 ‘뛰어나 명료성’과 ‘높은 전달력’, 히라가나가 지니고 있는 ‘친근함’과 ‘따뜻함’, ‘부드러움’, 가타카나가 지니고 있는 ‘청결함’과 ‘신선함’, 로마자가 지니고 있는 ‘현대성’과 ‘세련된 분위기’ 등의 이미지가 그 표기에 강하게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어계 외래어의 위상에 관한 비교 연구 - 건설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

        윤상한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1 No.-

        In this study, we wanted to look at the status of Japanese loanwords used at construction sites, noting the nature of word type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same loanwords have different statuses. As a method, 10 vocabulary words with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three types of fish were investigated by the SD Act on language images to the employees and the general public, and each of them was analyzed by vocabulary and species to examine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Korean, Japanese, and English used at construction sites were given different images, and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common and different. Among them, Japanese loanwords were not well-received in terms of ‘good and bad’ or language norms, but they were highly regarded in terms of ‘professional’ or ‘efficiency’ and were much stronger for construction workers. Through this, it can be thought that Japanese loanwords serve as ‘professional terms(jargon)’ for those engag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erve as ‘technical jargon’ that distinguish between industry workers and the general public, or skilled engineers and beginners. 본 연구에서는 어종이라는 어휘의 속성과 함께 동일한 외래어라도 서로 다른 위상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여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일본어계 외래어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으로는 3개 어종 간의 대응 관계를 지니고 있는 10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해당 직무 종사자와 일반인에게 언어 이미지에 대해 SD법에 의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어휘별, 어종별로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일본어계 외래어, 타 언어(영어) 외래어에는 각각 다른 이미지가 부여되어 있으며 건설업 종사자와 일반인의 인식 및 평가가 서로 공통되는 것도 있고 상이한 것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일본어계 외래어는 ‘좋고 나쁨’, 즉 언어규범의 측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지만 ‘전문성’이나 ‘효용성’의 면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고 건설업 종사자에게는 그 정도가 훨씬 강했다. 이를 통해 일본어계 외래어는 건설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전문용어’로서 역할하며, 업계 종사자와 일반인, 또는 숙련된 기술자와 초보자를 구별 짓는 ‘기술적 배타표현’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KCI등재

        授受動詞「(て)あげる·(て)くれる·(て)もらう」の習得に關する縱斷的硏究-初·中級日本語學習者の習得過程に着目して-

        윤상한,최연주 한국일본어문학회 2015 日本語文學 Vol.64 No.-

        I analyze a giving and receiving verb to be seen in L2 learner what kind of characteristic there is for acquisition process "(te)ageru, (te)kureru and (te)morau", and this study is intended that I clarify one end of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L2 learner. The acquisition tendency of the giving and receiving verb in L2 learner see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gathered up as follows.(1)Of the thing which the some differences are by a learner as for the acquisition order of giving and receiving verbs as the main verb of the L2 learner was order "morau>ageru>kureru". (2)The constant tendency was not seen every each learner, and the acquisition order of giving and receiving verbs as the auxiliary verb of the L2 learner varied in the number of the use each. (3)A tendency to acquisition of the giving and receiving verb of the L2 learner had little difference in use by the mother tongue of the learner. On the other hand, the enchainment with fixed form expression and the specific verb was seen in use of "temorau" of some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