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열등성 임상시험에서 독립인 두 비율 차 검정에 대한 비교 연구

        윤민,곽민정,Yoon, Min,Kwak, Min-Jung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6

        두 비율비교 비열등성 임상시험(non-inferiority trial)에서의 검정은 두 비율간에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에 근거한 정규근사 산출식이 흔히 사용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비율차이가 영이 아니라는 가설에서 유도된 Miettinen과 Nurminen이 제안한 우도 스코어검정(likelihood score test)과 Farrington과 Manning의 검정 그리고 비대칭도(skewness)을 보정한 Gart와 Nam이 제안한 검정방법을 소개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 1종 오류와 검정력을 비교하여 비열등성 임상시험에서 검정방법의 결정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Normal approximation methods under the null hypothesis of no difference are frequently used to test the two independent proportions in non-inferiority trials. However, these tests are not appropriate under the null hypothesis of non-zero difference. We review the likelihood score methods proposed by Miettinen and Nurminen, Farrington and Manning, and Gart and Nam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se tests. The simulation study shows that the likelihood score tests under the null hypothesis of non-zero difference have better performance at a Type I error and power than usual normal approximation methods.

      • KCI등재

        전사 방법에 따른 그래핀의 물 접촉각 변화

        윤민아(Min-Ah Yoon),김찬(Chan Kim),정현준(Hyun-June Jung),김재현(Jae-Hyun Kim),김광섭(Kwang-Seop Kim)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18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지 (Tribol. Lubr.) Vol.34 No.2

        Graphene is a monolayer of carbon atoms (approximately 0.34 nm), arranged in a honeycomb network. It has been hailed as a next-generation flexible and transparent material because it has high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ie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s well as flexible and transparent properties. The wettability of graphene alters its adhesion or surface energy, and it is therefore an important parameter influencing its application in the fabrication of next-generation flexible and transparent electronics. Studies on the wettability of graphene are numerous and various opinions exist. However, almost all of these studies use the wet transfer method to transfer the graphene. In this study,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wet and dry transfer methods on water contact angles of graphene on a substrate. The contact angles of substrate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trate. It was found that after graphene is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regardless of transfer method, the graphene/substrate contact angle increases to a value. The contact angle of graphene transferred using the dry transfer method is higher than the contact angle of graphene transferred using wet transfer methods. The wet transferred graphene is affected by th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residue and the polar surface of substrate. The dry transferred graphene is influenced by the conformal contact between graphene and substrate.

      • 지오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지정 경로 기반 데이터 집계 처리 기법

        윤민,김용기,라빈드라 비스타,장재우,Yoon, Min,Kim, Yong-Ki,Bista, Rabindra,Chang, Jae-Woo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2 No.1

        지오센서 네트워크에 활용되는 센서 노드는 제한된 자원과 전력을 지닌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집계하는 라우팅 기법 연구가 필수적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일반적인 데이터 수집은 각 센서 노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멀티홉 방식으로 싱크노드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두 가지의 문제점을 지닌다. 첫째, 기존 연구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부모 노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다. 둘째, 각각의 소스 노드는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 전송 횟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지정 경로 기반의 데이터 집계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를 전송할 경로를 미리 선정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감소시키며, round-robin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모든 센서 노드가 데이터를 집계하는 데 참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인 directed diffusion(DD) 및 hierarchical data aggregation(HDA)과의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에너지 효율적임을 보인다. Sensor nodes used in Geosensor network are resource limited and power constrained. So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routing protocols to gather data by using energy efficiently. Wireless sensor networks collect data gathered from sensor nodes by transfering it to the sink using multihop. However, it has two problems. First, the existing works require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for choosing a proper parent node to transfer data. Secondly, they have a large number of data transmission because each sensor node has a different path. To solves the problems, we, in this paper, propose a designated path based data aggregation scheme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in WSNs. The proposed scheme can reduce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by pre-determining a set of paths and can enable all the sensor nodes to participate in gathering data by running them in round-robin fashion. We show from performance analysis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energy efficient than the existing directed diffusion(DD) and the hierarchical data aggregation(HDA).

      • KCI등재

        그래핀의 나노스케일 마찰 및 표면 특성에 대한 연구동향

        윤민아(Min-Ah Yoon),김광섭(Kwang-Seop Kim),조대현(Dae-Hyun Cho)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21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지 (Tribol. Lubr.) Vol.37 No.5

        Since the discovery of single-layer graphene, exploiting graphene’s excellent physical/chemical properties in tribology systems has been a topic of interest in academia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re is no doubt that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friction mechanism of graphite should precede this. Even now, new properties of graphene are being reported in academia, and based on this, studies exploring the origins of graphene’s surface properties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in a wide range of scales are also being per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lubrication engineering, graphene resear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tudies that 1) reveal its basic friction mechanism at the nanoscale and 2) explore its application in macroscale sliding systems. At the nanoscale, the basic friction mechanism of graphene is mainly due to its atomic thickness. In this paper, the various research on the nanoscale frictio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graphene is reviewed. Graphene surface properties, such as wettability and surface energy and the basic friction mechanisms of graphene attributed to adhesion, electronphonon scattering, bending stiffness, and the underlying substrate, are summarized. Further, we provide the research outcomes on the superlubricity of graphene. Finally, the potential application and challenges of the superlubricity of graphene are highlighted.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summarized information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graphene and help se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추세계수 국소선형근사법의 특성과 해석

        윤민,최영수,이윤동,Yoon, Min,Choi, Young-Soo,Lee, Yoon-Dong 한국통계학회 2008 응용통계연구 Vol.21 No.5

        확산모형은 금융현상을 모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주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 제안된 다양한 확산모형들은 정교한 추론방법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여러 가지 추론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편미분방정식에 의하여 표현되는 확산과정의 추론을 위하여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우도추론법에 대하여 살펴보게 된다. 다양한 우도추론법 중에서도, 근사적 우도추론법의 일종인 추세계수 국소선형근사법을 중심으로 그 수리적 성질을 검토한다. Modeling financial phenomena with diffusion processes is a commonly used methodology in the area of modern finance. Recently, various types of diffusion models have been suggested to explain the specific financial processes, and their related inference methodology have been also developed. In particular, likelihood methods for the efficient and accurate inference have been explored in various way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mathematical properties of an approximated likelihood method, which is obtained by linearizing the drift coefficient of a diffusion process.

      • KCI등재

        서포트 벡터 기계에서 TOTAL MARGIN을 이용한 일반화 오차 경계의 개선

        윤민,Yoon, Min 한국통계학회 2004 응용통계연구 Vol.17 No.1

        서포트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s, SVMs) 알고리즘은 표본 점들과 분리 초평면 사이의 최소 거리를 최대화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모든 데이터 점들과 분리 초평면 사이의 거리들을 고려하는 total margin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서포트 벡터 기계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일반화 오차 경계를 개선하게 된다. 새롭게 제안하는 total margin알고리즘이 기존 방법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더욱 우수한 수행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수치 예제들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The Support Vector Machine(SVM) algorithm has paid attention on maximiz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sample points and discrimination hyperplane. This paper suggests the total margin algorithm which considers the distance between all data points and the separating hyperplane. The method extends existing support vector machine algorithm. In addition, this newly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generalization error bound.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the total margin algorithm provides good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e previous methods.

      • KCI등재

        수리계획법을 이용한 서포트 벡터 기계 방법에 관한 연구

        윤민,이학배,Yoon, Min,Lee, Hak-Bae 한국통계학회 2005 응용통계연구 Vol.18 No.2

        기계학습은 패턴분류의 한 도구로써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기계학습 방법들 중에서 서포트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s)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어지는 것으로 이진 패턴 분류문제에서 고차원의 특징공간에서 두 집합들 사이에 가장 큰 분리를 제공하는 최대 여유도(margin)를 가지는 분리 초평면을 찾는 것이다. 최대 여유도의 분리의 개념에 기초하여 Mangasarian(1968)은 다중-표면 방법(multi-surface method)을 제안하였고, 1980년대에 목적 계획법을 이용한 방법들이 광범위하게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계획법과 목적 계획법을 이용한 수리계획법인 서포트 벡터 기계의 두가지 방법들을 제안하고 수치 예제들을 통하여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Machine learning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n recent years as effective tools in pattern classification problem.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approaches to machine learning, we focus on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in particular, multi-objective and goal programming; MOP/GP) approaches in this paper. Among them, Support Vector Machine (SVM) is gaining much popularity recently. In pattern classification problem with two class sets, the idea is to find a maximal margin separating hyperplane which gives the greatest separation between the classes in a high dimensional feature space. However, the idea of maximal margin separation is not quite new: in 1960's the multi-surface method (MSM) was suggested by Mangasarian. In 1980's, linear classifiers using goal programming were developed extensively. This paper proposes a new family of SVM using MOP/GP techniques, and discusses its effectiveness throughout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