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사기능재료를 적용한 덕트의 열적거동해석

        윤동영(Dong Young Yoon),박정선(Jung Sun Park),임종빈(Jong Bin Im)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11

        In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the high temperature results from friction among the air, combustion of fuel in engine and combustion gas of a nozzle. The high temperature may cause serious damages in UAV structure. The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is chosen as a material of the<br/> engine duct structure. Thermal stress analysis of FGM is performed in this paper. FGM is composed of two constituent materials that are mixed up according to the specific volume fraction distribution in<br/> order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 Therefore, hoop stress, axial stress and shear stress of duct with 2 layers, 4 layers and 8 layers FGM are compared and analyz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reep behavior of PGM used in duct structure of an engine is analyz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FGM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해양온도차에너지 개발을 위한 해수온도차 출현확률 산정 방법 비교

        윤동영 ( Dong Young Yoon ),최현우 ( Hyun Woo Choi ),이광수 ( Kwang Soo Lee ),박진순 ( Jin Soon Park ),김계현 ( Kye Hyun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3 No.2

        해양온도차에너지(Ocean Thermal Energy: OTE) 개발을 위해서는 에너지 부존 자원량 파악과 개발적지 선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상해역의 표층과 심층 간의 수온차이 값(ΔT)에 대한 연중출현확률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ΔT의 연중출현확률을 산정하기 위해 남해 해역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방법과 조화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두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비교를 위한 공간적 규모는 OTE 부존량 산정과 연계된 연구지역 전체의 광역적 규모와 적지선정과 연계된 지역적 규모로 구분하였다. 광역적 규모에서는 두 방법으로 산정된 ΔT의 연중출현확률 차이를 공간분포 지도로 제작한 후, 확률차이에 대한 면적을 비교하였다. 지역적인 규모에서는 두 방법 모두 연중 출현확률이 가장 높은 지역에서 서로 간의 확률 차이 뿐 아니라, 확률차이가 가장 큰 지역과 작은 지역에서 두 방법의 격월별 출현확률도 비교하였다. 일차적으로 두 방법의 출현확률이 강한 상관성(피어슨 상관계수 r=0.96, α=0.05)을 보여 두 방법 모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광역적 규모에서 두 방법의 확률차이가 10% 이상 되는 면적은 전체 면적의 5%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OTE 부존량 산정 시 두 방법 모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다양한 수온 차 조건으로 계산 가능한 조화분석 방법이 보다 적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지역적 규모에서 두 방법에 의한 출현확률이 모두 높은 지역에서는 서로간의 확률차이가 약 5%이하로 두 방법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하지만 빈도분석으로는 탐지 가능한 10%이하의 확률을 조화분석은 탐지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였다. 따라서 OTE 부존량 산정에는 조화분석 방법이, 개발 적지 선정에는 빈도분석 방법이 장점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Understanding of the amount of energy resources and site selection are required prior to develop Ocean Thermal Energy (OT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appearance probability of difference of seawater temperature(ΔT) between sea surface layer and underwater layers. This research mainly aimed to calculate the appearance probability of ΔT using frequency analysis(FA) and harmonic analysis(HA), and compare the advantages and weaknesses of those methods which has used in the South Sea of Korea. Spatial scale for comparison of two methods was divided into local and global scales related to the estimation of energy resources amount and site selection. In global scale, the Probability Differences(PD) of calculated ΔT from using both methods were created as spatial distribution maps, and compared areas of PD. In local scale, both methods were compared with not only the results of PD at the region of highest probability but also bimonthly probabilities in the regions of highest and lowest PD. Basically, the strong relationship(pearson r=0.96, α=0.05) between probabilities of two methods showed the usefulness of both methods. In global scale, the area of PD more than 10% was less than 5% of the whole area, which means both methods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amount of OTE resources. However, in practice, HA method was considered as a more pragmatic method due to its capability of calculating under various ΔT conditions. In local 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probability areas by both methods, showing difference under 5%. However, while FA could detect the whole range of probability, HA had a disadvantage of inability of detecting probability less than 10%.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HA is more suita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energy resources, and FA is more suitable to select the site for OTE development.

      • KCI등재

        제주 남부해역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 파악

        윤동영 ( Dong Young Yoon ),최현우 ( Hyun Woo Choi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4

        공간적으로 3차원의 특성을 지닌 해양에서 수직적인 수온 자료의 특성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각 수심층별 수평 수온분포도와 같은 2차원적 주제도나 3차원적 공간보간을 통한 입체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해양 현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하지만, 수직적 수온분포의 공간 패턴 분석이나 수직적 수온의 특성과 다른 해양 요인(해양화학, 해양생물,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온 수직구조의 주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온의 수직구조 특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주남부 해역의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온 수직구조를 대표하는 세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공간분포지도 제작을 비롯해 공간자기상관 지수(Moran`s I)를 계산하였다. 아울러, 세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제주 남부해역을 4개 지역으로 그룹핑하고, 각 지역에 대한 수직 수온구조의 특성을 정의하였다.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seawater temperature data, in the ocean having 3D spatial characteristics, 2D thematic maps like horizontal seawater temperature distribution map at each depth layer and 3D volume model using 3D spatial interpolation are used. Although these methods are useful to understand oceanographic phenomena visually, there is a limit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of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or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other oceanic factors (seawater chemistry, marine organism, climate change, et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s in the South Sea of Jeju by qua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s by using an algorithm that can extract the thermocline parameters, such as mixed layer depth, maximum temperature gradient and thermocline thickness. For this purpose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 (Moran`s I) was calculated including mapping of spatial distribution for three parameters representing the vertical temperature profiles. Also, after grouping study area as four regions by using cluster analysis with three parameters,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s were defined for each region.

      • KCI등재

        지역 규모에 따른 한국 남부해역 표층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패턴 비교

        윤동영 ( Dong Young Yoon ),최현우 ( Hyun Woo Choi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4

        지역 규모에 따른 한국 남부해역 표층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패턴을 비교하고자 시기적으로는 31년간(1980~2000)의 동계와 하계를, 지역적으로는 남부해역 전체 해역(A 지역)을 비롯하여 제주도를 중심으로 서부 해역(B 지역)과 동부 해역(C 지역) 등 세 해역을 선정하였다. 수온의 시간적 변동 패턴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수온의 공간적 변동패턴 분석을 위해서는 수온의 가중평균중심과 표준편차타원체 분석이 각각 적용되었다. 수온의 회귀분석 결과 세 지역에서 두 계절 모두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31년 평균수온이 하계에는 세 지역 모두 유사하였지만, 동계에는 C 지역이 B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계절 수온의 공간적 변동 패턴은 세 지역에서 각기 다름을 보였다. A 지역에서는 동-서 방향, B 지역에서는 남동-북서 방향, C 지역에서는 남서-북동 방향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동계에 수온의 가중평균중심 위치와 평균 수온과의 관계가 A와 B 지역에서는 상관성이 있는 반면, C 지역에서는 상관성이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패턴 분석 시 지역적 규모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compare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Korea`s Southern areas of the sea according to a regional scale, this study has selected the winter and summer seasons for 31 years (1980~2010) in a period aspect and selected three areas of the sea such as the Western areas of the sea (region B) and Eastern areas of the sea (region C) around Jeju Island in addition to overall Southern areas of the sea (region A) in regional aspect. Th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out a 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ST, and the weighted mean center (WMC) of SST as well as analysis of a standard deviational ellipse (SDE) was respectively appli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SST, it showed a rising long-term trend for all two seasons in three regions. However, though the average SST for 31 years was all similar in three regions in the summer season, the region C appeared more highly than region B in the winter season. The spatial variation pattern of SST for two seasons showed that it is respec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ree regions. The spatial variation pattern of SST appeared as E-W direction in region A, SE-NW direction in region B and SW-NE direction in region C.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the WMC of SST and the average SST showed correlation in regions A and B in the winter season, whereas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in region C. Accordingly, it can be known that the regional scale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analysis of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s of SST.

      • 해수온도차 출현율 산정을 위한 빈도분석과 조화분석 방법의 비교

        윤동영(Yoon, Dongyoung),최현우(Choi, Hyun-W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해양에서 물리적 에너지원으로는 조류, 조력, 파력, 해양온도차에너지(Ocean Thermal Energy : OTE)가 있으며, OTE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부존 자원량 파악과 개발적지 선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상해역의 표층과 심층간의 수온차이 값({Delta}T)에 대한 연중출현확률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Delta}T의 연중출현확률을 산정하기 위해 남해 해역을 대상으로 47년간(1961~2007) 격월 별(2, 4, 6, 8, 10, 12월)로 관측된 93개 정점의 정선해양관측자료(국립수산과학원)를 사용하였다. {Delta}T값을 정량화 하고자 정점 별 {Delta}T(> 5?C, > 10?C, > 15?C)의 연중출현확률을 빈도분석과 조화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이를 공간적으로 광역적 규모와 지역적 규모에서 두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 하였다.

      • KCI등재후보

        낙동강 하구와 부산연안해역에서 대장균의 해역별 분포특성

        백승호,이민지,윤동영,Baek, Seung Ho,Lee, Min Ji,Yoon, Dongyoung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6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1 No.1

        In order to assess season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Escherichia coli, we investigated its distribution in Nakdong River mouth and Busan coastal water from February 2013 to November 2015. The coastal area was divided into five different zones (I-V) based on the pollutant leve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udy period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ed from 7.50 to 27.64℃ and 16.82 to 34.82 psu, respectively. The annual water temperature variation was characterized in temperate zone. The salinity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zone IV and zone III after heavy rain during summer season in 2014, resulting led to elevated E. coli biomass. The highest colony formation of E. coli was recorded at 6,000 cfu l<sup>-1</sup> during autumn at station 1 (zone I). On the other hands, during all seasons of 2015, E. coli abundances were kept to be low level in zone III. The E. coli was not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 salinity was significantly (r=-0.53, p<0.05) correlated with the E. coli, implying that salinit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E. coli. Consequently, E. coli in western Busan coastal water might have been significantly promoted by pollutant sources from Nakdong Rive discharge during the spring and summer rainy seasons depending on annual rainfall variations. On the other hands, E. coli in station 1 (i.e., Suyeong Bay) was obviously high due to influences of discharge water from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However, there was no clear seasonality of E. coli.

      • KCI등재

        경사기능재료를 사용한 스마트 무인기 덕트의 열해석과 크리프 해석

        임종빈(Jong-Bin Im),윤동영(Dong-Young Yoon),이정진(Jung-Jin Lee),박정선(Jung-Sun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0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4 No.1

        무인항공기는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 배기관에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등으로 인하여 많은 부분에 고온이 발생한다. 이는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다. 경사기능재료는 고온의 환경에서 열에 저항하기 위해 한쪽 재료는 세라믹으로, 다른 쪽 재료는 가볍고 구조적 강성을 지닌 금속재료로 점차적으로 변화된 재료를 사용한 일종의 복합재료이다. 경사기능재료는 뛰어난 내열성을 가지는 특성으로 고온 상태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경사기능재료를 무인항공기의 엔진 배기 덕트에 적용하여 열적 거동을 고찰하였고, 경사기능 충이 20개, 40개, 60개, 80개, 100개인 경사기능재료를 덕트 구조물에 적용하여 각각의 열 및 열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경사기능재료를 사용한 고온 내열 배기 덕트의 크리프 해석을 수행하여 그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high temperature occurs due to the combustion gas from engine in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The high temperature may cause serious damages in UAV structure. The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is chosen as a candidate material of the engine duct structure. A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is a two-component mixture composed by compositional gradient materials from one material to the other. In contrast, traditional composite materials are homogeneous mixtures, and involve compositions between the desirable properties of the component materials. Since significant proportions of an FGM contain the pure form of each material, the need for compromise is eliminated. The properties of both components can be fully utilized. Thermal stress analysis of FGM layers (20, 40, 60, 80 and 100) is perform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he creep behavior of FGM applied in duct structure of an engine is analyz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FGM characteristics.

      • 승용차용 휠너트 체결력 저하에 대한 연구

        한상원(Sangwon Han),윤동영(Dongyoung Yoon),권철웅(Chelwoong Kwon),박정률(Jungryul park),김정윤(Jungyun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0 No.5

        The wheel nut plays a role as installation of wheel & tire Assembly for chassis corner module. The wheel nut is one of the most frequent reorganization parts. On the other hand, it also should be maintained its fastening state for the safety. However when it driving a vehicle, the various causes occur to reduce the fastening force. Inadequate fastening force of wheel nut leads slip and rotation to wheel and hub bolt. This may cause shear-stress concentration to the hub bolt and also affect breakdown of it. This phenomenon is closely connected with noise and vibration.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methods to estimations of fastening force reduced is proposed. Also this estimates the fastening force of wheel nut as fastening condition and suggest an appropriate fastening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