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에서 임상지수, Interleukin-1, MMP-8, 치주원인균 감소에 대한 전동칫솔의 효과

        유호선,채경준,홍지연,최성호,김종관,Yoo, Ho-Sun,Chae, Gyung-Joon,Hong, Ji-Youn,Choi, Seong-Ho,Kim, Chong-Kwan 대한치과의사협회 2008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6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전동칫솔을 사용할 경우 임상 지수의 향상 정도와 치주원인균의 정량적 감소 효과를 12주의 연구 기간 동안 평가하는 것이다. $25{\sim}55$세의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치태지수 0.5 이상, 치은지수 0.5 이상을 나타내는 대상에서 일반 칫솔 혹은 전동칫솔 ($Sonicare^{(R)}$ Elite, Philips Oral Healthcare Inc., Snoqualmie, Washington, USA) 사용 군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하루 2회, 매 회 2분 간 사용하고, 각 군의 칫솔 사용을 교육하였다. 임상지수는 치태지수 (PI; Silness & $L{\ddot{o}}e$), 치은지수 (GI; $L{\ddot{o}}e$ & Silness), 탐침 후 출혈 부위 (%), 치주낭 깊이 부착소실을 초진 1, 4, 12주에 측정하였다. Interleukin-1 (IL-1), MMP-8과 치은연하치태샘플에서 채취한 4 종류의 치주원인균 (Actinomyces visco년, Porphyromonas gingivalis, Streptococcus sanguis, Tannerella forsythensis)에 대한 16S rRNA test는 초진, 1주, 12주에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동칫솔과 일반 칫솔 모두 임상지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치은지수는 일반칫솔에 비해 전동칫솔에서 감소효과가 통계적으로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p<0.001). 탐침 후 출혈의 감소는 전동칫솔에서 76.73%, 일반칫솔에서 44.57% 정도로 전동칫솔 군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치주낭 깊이 감소는 초진에 비해 전동칫솔 군에서 18.55%, 일반칫솔 군에서 14.81% 정도로 나타났으며, 초진과 비교하였을 때 부착수준의 향상 정도는 전동칫솔 25.24%, 일반 칫솔 16.94% 정도로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01). 두 군 모두 IL-1 beta, MMP-8 농도의 감소가 있었으며, 치주원인균 중 A.viscosus, P.gingivalis, T.forsythensis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초진에 비해 12주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S.sanguis는 전동칫솔 군에서만 12주에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2주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소니케어 전동칫솔의 사용은 임상지수 및 치주 원인균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하악 대구치부위의 고정성 보철물에서 2개의 장폭경과 3개의 표준 임프란트의 비교

        유호선,소성수,한동후,조규성,문익상,Yoo, Ho-Sun,So, Sung-Soo,Han, Dong-Hoo,Cho, Kyoo-Sung,Moon, Ik-Sang 대한치주과학회 2002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2 No.3

        Osseointegrated implants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standard treatment modality for full/partial edentulous patients since the 1960's, and the long term results for full edentulous patients have proven to be successful. Based on these results osseointegrated implants are now widely used for partial edentulous patient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towards the efficacy of wide implants, despite many reports mentioning the lower success rate of wide implants compared to regular implants. Recently, mandibular molar area defects are commonly restored using 2 wide implants, but it is not determined whether which treatment modality-3 regular implants or 2 wide implants-shows superior success rate. In this study, 2 wide implants and 3 regular implants used for the restoration of mandibular molar area are used to compare the survival rate of 1-4 years, and to analyze and compare the failure factor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is study. 1. Wide implants and regular implants showed 94.5% and 97,6% of survival rate respectively. After prosthodontic work, the survival rate was 100% and 98.1% for wide implants and regular implants respectively. 2. 5 failed implants have been removed. 2 wide implants and 1 regular implant have been removed due to failure of osseointegration. 1 wide implant was removed due to abscess formation caused by over-heating, and 1 regular implant was removed due to mechanical failure caused by over-loading within the first year of function.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marginal bone loss of wide and regular implants.(P>0.05) In conclusion, restoration of the mandibular molar area using 3 regular implants was found to be a good treatment modality, and 2 wide implants could he considered a good treatment modality when success factors ar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통한 공적노후소득보장체계의 유형화 -최저소득보장제도의 영향력을 고려-

        유호선 ( Yoo Ho Su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1

        본 연구는 공적 노후소득보장제도에서 주된 공적연금과 최저소득보장제도의 최적 조합이 있는가? 그렇다면, 주된 공적연금과 최저소득보장제도의 최적의 조합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퍼지셋 이상형 분석 결과, 적정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주된 공적연금과 최저소득보장제도의 조합이 상대적으로 좋은 국가는 네덜란드와 덴마크로 나타났다. 주된 공적연금과 최저소득보장제도의 조합은 상대적으로 좋으나, 지속가능성이 낮은 국가들로는 오스트리아와 프랑스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주된 공적연금과 최저소득보장제도의 조합이 상대적으로 좋으나, 적정성이 낮은 국가들로는 독일, 스웨덴, 벨기에로 나타났다. 핀란드는 상대적으로 모두 안 좋은 국가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들 간 명확한 역할 혹은 기능의 구분이 중요하다. 둘째, 주된 공적연금이 소득비례연금이고 사각지대의 문제가 거의 없는 경우, 공적연금의 재정안정화 개혁이나 노동시장문제로 야기되는 저연금 혹은 무연금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최저연금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많은 국가들은 중층의 최저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to analyze optimal combination of MIP and main public pension in the context of social sustainability(benefit adequacy & financial sustainability) of public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then, to investigate current 1st pillar among 8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the paper, I analyse public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minimum income protection & main public pension) with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s a result, Netherlands and Denmark are analysed as a regime having adequate and financial sustainable pension system. France and Austria are characterized as states having adequate but financially unsustainable pension system. And Germany, Sweden, and Belgium are analysed as a regime having inadequate but financially sustainable pension system. Finland is analysed as a regime having inadequate but financially unsustainable pens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ublic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s of Netherlands and Denmark do appear to excel in adequacy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Implications for finding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public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minimum income protection & main public pens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clearly distinguish roles or functions between public pension and minimum income protection. Second, when the main public pension is an income-related pension and there are few coverage issues, there is a tendency to strengthen the minimum pens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 of low or no pension caused by reforms in financial sustainability of public pension or labor market problems. Third, many countrie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over two minimum income protections.

      • KCI등재

        유족연금의 적정급여수준을 위한 개선방안

        유호선 ( Ho Sun Yo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1 사회보장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현행 국민연금에서 유족연금의 매우 낮은 급여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족연금의 낮은 급여수준과 관련된 문제들을 타당성, 적정성, 그리고 형평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국제기구에서 제시하는 유족연금의 적정 수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독일, 벨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족연금의 급여 계산 방식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유족연금의 급여계산 기준인 20년 가입 기준 기본연금액을 30년으로 개선하고 사망한 가입자의 가입기간에 관계없이 기본연금액의 50% 혹은 55%로 개선하는 방안을 유족연금의 적정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in National Pension. In order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first of all, characteristics and role of survivor`s benefit in pension system are examined and issues of current survivor`s benefit in National Pension are analysed. Then, survivor`s benefit in other countries are compared. That is, in order to get policy implication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from other countries, survivor`s benefit in Germany, France, and Belgium is examined. Based on the above policy implication, the policy alternatives for adequacy of survivor`s benefit are propo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중해연안 유럽 국가들의 연금개혁 -이탈리아와 그리스를 중심으로-

        유호선 ( Ho Sun Yoo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4 지중해지역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pension reform in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focused on Italy and Greece. And the implications will be suggested. In order to analyse pension reform in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first of all,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n four countries are examined shortly. In terms of politics,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had experienced long dictatorship until the middle of 1970, and then brought about democracy in the middle of 1970. And they were agricultural countries until 1970, thus, they were industrialized late comparing with West European countries. Also their society has been characterized with the spread of informal and irregular economy and clientelism.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also have similar pension system each other comparing with West European countries. That is,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have developed their welfare state focused on pension. Thus, the benefit level of the pension was very high relatively. And pension in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also have played a role as social assistance without enough financial subsidy from the state. Because of these reasons, they have faced financial problem in pension and should have reformed pension. Under the financial problem in pension,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have accelerated pension reform in terms of financial sustainability. Thus, the direction of their pension reform tends to be convergent to financial sustainability while the degree of the pension reform was divers each other. In order to examine these changes, pension reform of Italy and Greece is analyzed in depth. The reason which this paper focuses on the pension reform of Italy and Greece is that Italy is characterized as successive pension reform with social consensus but Greece is characterized as passive pension reform with external factors. Italy also had reformed the pension quickly while it took a long time for Greece to reform the pension. Then, based on analysis of pension reform caused in Italy and Greece, the implication of pension reform in Mediterranean European countries is suggested.

      • KCI등재

        독일의 사회보험료 감면정책과 국민연금의 보험료 감면을 위한 함의

        유호선(Ho Sun Yoo),강성호(Sung Ho K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한국사회정책 Vol.17 No.3

        본 연구는 독일의 사회보험료 감면정책을 고찰한 후, 한국의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방안을 위한 함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비스마르키안 복지국가들의 연금 개혁 동향을 살펴 본 후, 독일의 사회보험료 감면정책의 내용 및 정책 효과를 고찰하였다. 비록 독일의 사회보험료 감면정책의 주목적과 그 사회경제적 배경이 우리나라와 다를지라도,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된 국민연금 보험료 감면정책을 수행한다면, 국민연금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판단된다. 2007년의 국민연금 개혁은 재정 안정화를 최우선 목표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본격적으로 국민연금의 내실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변화된 사회적 위험과 최근의 경제 위기의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환경에 맞게 설계된 근로빈곤층에 대한 국민연금 보험료지원은 장기적으로 국민연금의 사각지대 완화와 근로 빈곤층의 노후소득보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policy of reduction and exemption of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SC) in Germany and to have the implication for National Pension. Germany and Belgium in Bismarkian welfare states have been executing the policy of reduction and exemption of SSC for some marginalized people. There is refund policy of SSC for low income people in Belgium. Also, this policy is carried out for mini-job or midi-job in Germany. In Korea, the policy is partially executed for some marginalized peopl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National Pension. That is, the policy of reduction and exemption of SSC has been carried out for different target groups among marginalized people in OECD countries. Thus, in new social risks and recent economic crisis, the policy of reduction and exemption of SSC in Germany suggests that policy of reduction and exemption of SSC for low income people in National Pension will help to expand the coverage of National Pension and strength old- ages income security in the long run.

      • KCI등재
      • KCI등재

        국민연금의 양육 크레딧 제도 개선방안 연구

        유호선 ( Ho Sun Yoo ) 韓國社會保障學會 2010 사회보장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현행 국민연금의 출산 크레딧 제도를 확대 강화하여 양육 크레딧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 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연금제도에서의 크레딧의 개념과 역할을 양육 크레딧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국민연금에서 수행하고 있는 출산 크레딧 제도의 현황을 고찰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외사례를 통한 국민연금에의 함의를 고찰하기 위하여 OECD 주요국에서 수행하고 있는 양육 크레딧 제도를 살펴보았다. 양육 크레딧 제도의 해외사례는 독일, 프랑스, 영국,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해외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민연금의 양육 크레딧 제도 개선방안을 위하여 우리나라 여성들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재정문제를 고려하여 양육 크레딧의 정책 목표의 우선 순위를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양육 크레딧으로의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childcare credit in National Pension which strengthens current childbirth credit. In order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childcare credit, first of all, definition and role of credit in pension system are examined and issues of current childbirth credit in National Pension are analysed. Then, care credit in other countries are compared. That is, in order to get policy implication for care credit from other countries, care credit in Germany, Franc, UK, and Japan is examined. Based on the above policy implication, the contribution record of Korean women in National Pension is analysed and policy alternatives for childcare credit are proposed.

      • KCI등재

        다층노후소득보장제도의 유형화 및 유형별 특성의 분석 -유럽연합 국가들을 중심으로

        유호선 ( Ho Sun Yo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4

        대다수의 유럽연합 국가들은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으로 구성된 다층노후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노후소득보장지출 규모는 GDP 대비 약 12%로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그들의 노후빈곤문제는 국가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국가들이 적정하며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제기 하에,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 국가들의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적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두 축으로 하여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유형화 결과 네덜란드와 스웨덴은 급여수준이 적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로 분석되었다. 이들은 공적연금의 기능이 강화되어 있으며, 사적연금의 성공적인 지배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ulti-pillar pension regimes in EU focused on adequacy and sustainability an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Thus, first of all, previous literature is reviewed and adequacy and sustainability is defined. Then, I analyse multi-pillar pension regimes with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fter choosing four representative states (the Netherlands, France, UK, and Greece) in each regime, the characteristics in each regime are examined. As a result, the Netherlands and Sweden are analysed as a regime having adequate and sustainable pension system. France and Germany are characterized as states having adequate and unsustainable pension system. And UK and Finland are analysed as a regime having inadequate and sustainable pension system. But Greece and Italy including southern Europe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as states having inadequate and unsustainable pens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