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분 퇴비 시용 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산성과 용탈수 성분에 미치는 영향

        유지현,박남건,우제훈,안희권,양병철,Yoo, Ji-Hyun,Park, Nam-Geon,Woo, Jae-Hoon,Ahn, Hee-Kwon,Yang, Byoung-Chu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2

        국내에서 말 사육 두수가 가장 많고 화산회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에서 마분 퇴비의 시용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성과 수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료작물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를 공시하였고 용탈수 성분 분석을 위해서 간이 Lysimeter를 제작하였다. 퇴비 시용 수준에 따라 6처리하였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량 등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용탈수는 7회 채취하여 NO<sub>3</sub>-N, PO<sub>4</sub>-P, Cr, Cu, Zn을 분석하였다. 마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 수량은 화학비료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11,965±564 kg/ha), 마분 퇴비 150%, 혼용구가 그 다음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9,043±681 kg/ha, 8,825±611 kg/ha), 마분퇴비 100%, 50%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4,293±804 kg/ha, 2,986±739 kg/ha)(p<0.05). 용탈수의 분석항목 중 질산태 질소(NO<sub>3</sub>-N)의 경우 3차 분석까지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지막 6, 7차 분석 시에는 검출되지 않았다(Fig. 2.). NO<sub>3</sub>-N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수치적으로 마분 퇴비 150% 시용구에서 NO<sub>3</sub>-N가 가장 많은 경향이 나타났고, 화학비료구와 혼용구는 수치적으로 마분 퇴비를 시용했을 때보다 적거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났다. NO<sub>3</sub>-N를 제외한 나머지 PO<sub>4</sub>-P, Cr, Cu, Zn은 전 기간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마분 퇴비를 시용할 때는 기비로 마분 퇴비를 질소 기준 50%수준 시비하고 이듬해 봄 추비로 화학비료를 나머지 50% 수준으로 시비하면 수량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수질 오염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IRG) and leaching water characteristics based on horse manure compost level in Jeju.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six months. Six treatments were established : non-fertilizer(NF), chemical fertilizer 100%(CF), horse manure compost 50% and chemical fertilizer 50% combination(Combination), horse manure compost with 50% of nitrogen (50%), 100% of nitrogen(100%), 150% of nitrogen(150%). The highest amount of dry matter yield of IRG was revealed in CF(11,965±564 kg/ha), and both 150% and Combination were second(p<0.05). Nitrate leaching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analysis and then decreased.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mean nitrate concentr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horse manure compost with 50% of nitrogen be applied for IRG as basal fertilization and then 50% of chemical fertilizer be applied as top fertilization.

      • KCI등재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와 균열심도 측정

        유지현,이찬희,전유근,Yoo, Ji Hyun,Lee, Chan Hee,Chun, Yu Gu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의 표면 균열에 대한 깊이와 연장성을 측정하기 위해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를 대상으로 초음파 속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 원정비의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재질 및 손상현황을 조사하고, 다양한 비파괴 기법을 활용하여 정밀진단을 수행하였다. 원정비를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암석은 비석의 부위에 따라 달리 알칼리장석화강암, 반려암 및 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손상도 평가 결과, 특히 균열이 비신의 모든 방향에서 두드러진 분포를 보여 안정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손상인자로 나타났다. 원정비 재질의 물성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에서는 비신, 대좌, 옥개석 순으로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원정비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 균열들의 현황과 산출상태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한 To-Tc법으로 균열의 심도를 측정한 결과, 0.6~24.1cm로 다양한 깊이를 보였다. To measure the depth and extension on the surface cracks of the stone monument, ultrasonic pulse velocity targeted at the Mulgyeseowon Stele in Changnyeong was used in this research. Additionally, to establish a long-term countermeasure of management and conservation for this stele, we have investigated the material properties and damage on it and have conducted a precise diagnosis by a variety of non-destructive techniques. Our research has revealed that stones of the stele are composed mainly of three rock types according to the parts of it, alkali-feldspar granite, gabbro and diorite. The result of the deterioration evaluation has occurred that cracks, which are observed from every direction in the body of the stele,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o reduce structural stability. The ultrasonic velocity for an evalu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stele has revealed that the speed was high in the order of body, pedestal and crown.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and occurrences of the cracks which have measured in many different forms on the stele quantitatively, we have estimated from 0.6 to 24.1cm deep of the cracks by To-Tc method using ultrasonic velocity.

      • KCI등재

        마분 퇴비 시용 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사료 생산성과 화산회토양 성분에 미치는 영향

        유지현,박남건,황원욱,우제훈,지희정,양병철,Yoo, Ji-Hyun,Park, Nam-Geon,Hwang, Won-Uk,Woo, Jae-Hoon,Ji, Hee-Chung,Yang, Byoung-Chu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는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 재배 시 마분 퇴비의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성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화학비료구, 마분 퇴비·화학비료 혼용구, 질소기준 마분 퇴비 50 %, 100 %, 150 % 시용구로 총 5처리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초장 및 건물 수량을 조사하였고, 토양은 pH, 총질소, 유효인산,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마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장은 화학비료구, 마분퇴비와 화학비료 혼용구, 마분 퇴비 150 %가 각각 147.8 cm, 144.3 cm, 147.1 cm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건물 수량은 화학비료구가 약 23,807 kg/ha로 가장 높았고 마분 퇴비 150 %, 혼용구가 각각 18,804 kg/ha, 18,455 kg/ha이었다. 그리고 마분 퇴비 100 %, 50 %가 각각 15,801 kg/ha, 14,446 kg/ha로 나타났다. 마분 퇴비를 시용한 처리구에서 건물 수량은 혼용구와 마분 퇴비 150 %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표면의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험 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분 퇴비 150 %가 유의적으로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효 인산 함량의 경우 시험 후 지표면에서 마분 퇴비를 시용했던 처리구들이 화학비료 100 %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마분 퇴비 150 %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종합하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 수량은 마분 퇴비와 화학비료 혼용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토양 성분에서도 화학비료구 대비 큰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지표면의 유효인산 함량은 화학비료구보다 작았다. 따라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 시 마분 퇴비를 시용 할 때는 기비로 질소 기준 50 % 수준을 시용한 후 부족분은 화학비료로 추비해 주는 것이 적절한 건물 수량을 얻으면서도 토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rse manure compost application on Italian ryegrass (IRG) yield and volcanic ash soil characteristics. Because the number of horses in Korea is growing, the amount of horse manure is growing. Jeju island, where about 55 % of the horses live, is composed of volcanic ash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7 months. Sowing was conducted on October 2019. Harvesting was conducted at heading stage(2020.5.). Five treatment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horse manure compost composition. These were 100 % chemical fertilizer (CF), the combination of 50 % horse manure and 50 % chemical fertilizer (combination), horse manure with 50 % nitrogen (HM 50 %), horse manure with 100 % nitrogen (HM 100 %), and horse manure with 150 % nitrogen (HM 150 %). The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forage yield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of pH,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organic matter were analyzed. The plant heights in the CF, combination, and HM 150 % treatments were 147.8 cm, 144.3 cm, and 147.1 cm respectively (Table 2). Dry matter yield in the CF treatment was about 23,807 kg/ha, which tended to be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HM 150 % and the combination treatment were about 18,804 and 18,455 kg/ha, respectively, which tended to be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the treatments amended with horse manure compost. The dry matter yield of the HM 100 % and HM 50 % treatments was about 15,801 kg/ha and 14,446 kg/ha, respectively (Table 2). The pH of the surface soil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experiment. The soil pH of the HM 150 %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oil pH of the other treatments. The pH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horse manure compost, with a pH of 8.1.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treatments in which horse manure compost was added was higher than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CF treatment. And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HM 150 %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other treatments (p < 0.05)(Table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50 % horse manure should be applied to IRG as the basal fertilizer and the remaining 50 % should be chemical fertilizer as the top fertilizer. This can provide the proper IRG dry matter yield with less effect on volcanic ash soil.

      • KCI등재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무피판 임플란트 술식에서 임플란트 드릴링이 열발생에 미치는 효과

        유지현,정승미,최병호,주상돈,Yoo, Je-Hyeon,Jeong, Seung-Mi,Choi, Byung-Ho,Joo, Sang-D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무피판 임플란트 술식에서 임플란트 드릴링이 열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드릴링 방법에 따른 온도 차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양측 제 1 대구치와 제 2 대구치가 없는 실험 모델에서 피판을 거상하는 임플란트 수술(실험A군)과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실험B군), 그리고 핸드피스의 상하 수직 움직임을 제한한 후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실험C군)을 각각 진행하여 온도 측정을 하였다. 임플란트 드릴링 시 온도 측정은 thermocouple과 열전식 온도 기록계(Yokogaw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측정 위치는 최종 임플란트 드릴(직경 3.8 mm)의 경계부에서 0.5 mm 떨어진 곳에서 3 mm 깊이(설측)와 6 mm 깊이(협측)로 하였다. 측정된 온도 값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온도가 정규분포 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Kolmogorov-Smirnov test를 거쳐 확인한 후 세 수술 방법 간의 평균 온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피판을 거상하고 드릴링을 한 수술군(실험A군)에서 평균 온도는 $27.2^{\circ}C$($SD{\pm}2.1^{\circ}C$)를 보였고 피판을 거상하지 않고 드릴링을 한 수술군(실험B군)에서 평균 $27.5^{\circ}C$($SD{\pm}2.3^{\circ}C$)를 나타냈다. 이들 두 수술 방법 간 온도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피판 수술 시 상하 수직 움직임(upand-down pumping motion)이 없이 드릴링을 시행한 수술군(실험C군)에서 평균온도는 $37.0^{\circ}C$($SD{\pm}3.4^{\circ}C$)을 보였다. 이를 상하 수직 움직임으로 드릴링을 한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군(실험B군)과 비교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온도 차이를 보였다. 결론: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 시 핸드피스를 상하 수직 움직임으로 드릴링을 시행하면 피판을 거상하여 수술할 때와 온도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나, 상하 수직 움직임 없이 드릴링을 시행하면 드릴링 시 높은 온도 상승을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t generation in bone in vitro during the guided flapless drilling procedure and the effect of drilling methods on the heat 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model that has missing the first and second mandibular molars bilaterally was used. In group A, classical flap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In group B, flapless implant surgery using surgical guide was performed. In group C, flapless implant surgery using surgical guide without up-and-down pumping motion was performe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k-type thermocouple and a real-time digital thermometer. The thermocouples were placed at 0.5 mm away from the osteotomy area at the depths of 3 mm and 6 mm. The measured values were evaluated with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mean temperature generated was $27.2^{\circ}C$ ($SD{\pm}2.1^{\circ}C$) and $27.5^{\circ}C$ ($SD{\pm}2.3^{\circ}C$) for groups A and B, respectively.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C, the mean temperature was $37.0^{\circ}C$ ($SD{\pm}3.4^{\circ}C$).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 and C with respect to the mean temperatur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uided flapless drilling with up-and-down pumping motion may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bone temperature.

      • KCI등재

        영상의 밝기 평균과 분산을 이용한 엔트로피 최대화 영상 향상 기법

        유지현 ( Ji Hyun Yoo ),엄성용 ( Seong Yong Ohm ),정민교 ( Min Gyo Chu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밝기 평균과 분산을 이용하여 영상의 엔트로피를 최대화하는 히스토그램 명세화 기반의 영상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히스토그램 명세화 과정에서 입력 히스토그램과 목적 히스토그램 모두를 가우시안 분포로 모델링한다. 이 과정에서 입력 가우시안 분포의 평균과 분산은 입력영상의 밝기 평균값과 분산을 각각 그대로 사용한다. 목적 가우시안 분포의 평균도 입력영상의 밝기 평균값을 사용하지만, 분산은 출력 영상의 엔트로피가 최대화되는 분산을 결정하여 사용한다. 다양한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기존 방법들에 비해 제안 방법은 영상의 평균 밝기를 잘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개선 결과를 보여준다. This paper proposes a histogram specification based image enhancement method, which uses the brightness mean and variance of an image to maximize the entropy of the image. In our histogram specification step, the Gaussian distribution is used to fit the input histogram as well as produce the target histogram. Specifically, the input histogram is fitted with the Gaussian distribution whose mean and variance are equal to the brightness mean(μ) and variance(σ2) of the input image, respectively; and the target Gaussian distribution also has the mean of the value μ, but takes as the variance the value which is determined such that the output image has the maximum entrop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the proposed method preserves the mean brightness well and generates more natural looking images.

      • KCI등재

        종양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유지현(Yoo, Ji-Hyun),강경아(Kang, Kyung-Ah) 대한종양간호학회 2014 Asian Oncology Nursing Vol.14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scribe the level of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nd, 2)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mong oncology nurses working at inpatient care units.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221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After obtaining IRB approval,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3 to October 13, 2013.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of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3.46 and the mean score of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was 4.31 both on a scale of 5.0.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were the open attitude of the supervisor toward patient safety (β=.19, p=.005) and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within a ward perceived by the oncology ward nurses (β=.23, p=.003). These factors explained 31% of the subjects’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F=6.08, p<.001). Conclusion: To increase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in the oncology ward, a strategy such as an education program for increasing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is needed.

      • KCI등재

        모과 추출물의 항응혈 활성

        유지현 ( Ji Hyun Yoo ),한신희 ( Sin Hee Han ),길기정 ( Gi Jung Kil ) 대한본초학회 2009 大韓本草學會誌 Vol.24 No.2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anticoagulant effect of the Chaenomelis Fructus extract. Methods: To examine an active effect of anticoagulation in Chaenomelis Fructus extract, the study measured Prothrombin time(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of human plasma in vitro and measured bleeding time and arterio-venous shunt model in rats in vivo. Results: Bleeding time of Chaenomelis Fructus extract in vivo had a significant increase as about 1.6 times and thrombus weight of Chaenomelis Fructus extract ha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rombus weight as 50%. Chaenomelis Fructus extract represented an effect of anticoagulation by operating on extrinsic pathway factor II, V, VII, X and intrinsic pathway factor Ⅷ, Ⅸ, Ⅹ, XI, XII in the coagulation system.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t is judged that a Chaenomelis Fructus extract has a control effect of thrombus creation.

      • KCI등재

        조각자(조角刺) 추출물의 항응혈 활성

        유지현 ( Ji Hyun Yoo ),정봉태 ( Bung Tea Jung ),길기정 ( Gi Jung Kil ) 대한본초학회 2010 大韓本草學會誌 Vol.25 No.1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he anticoagulant effect of the Gleditsiae spina extract. Methods: We researched prothrombin time (PT) assay,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ssay in vitro and in vivo using arteriovenous (A-V) shunt rat model and shortening Rat tail bleeding time (BT). A-V shunt and BT were treated with extract of Gleditsiae spina (GS) 400 ㎎/kg for a week. Results: Bleeding time of Gleditsiae spina extract in vivo had a significant increase as about 1.2 times and thrombus weight of Gleditsiae spina extract ha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rombus weight as 26%. Gleditsiae spina extract represented an effect of anticoagulation by operating on extrinsic pathway factor II, V, VII, X and intrinsic pathway factor Ⅷ, Ⅸ, Ⅹ, XI, XII in the coagulation system.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t is judged that a Gleditsiae Spina extract has a control effect of thrombus creation.

      • KCI등재

        머신러닝을 이용한 관중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유지현(Ji-Hyun Yoo) 한국전기전자학회 201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3 No.4

        특정한 이벤트나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모인 사람들을 관중 또는 관객이라고 하고, 모임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성향을 나타낸다. 그러한 차이점은 있지만, 일반적으로 관중 수는 경영적인 측면과 직결되는 요소로써, 관람료부터 다른 시설의 이용료 등 다양한 수입을 통해 콘텐츠 판매를 위한 안정적인 재정 운영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관중 수에 대한 예측은 마케팅과 예산 전략 수립에 주요한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중 수에 대한 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기존 모델을 검토하고, 그 중에서 효율적인 머신러닝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딥러닝과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혼용하여 일별 관중 수 예측과 비정상적 관중 수 예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People who gathered to enjoy a specific event or content are called audiences or spectators, and show various propen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wd. Although there is such a difference, in general, the number of attenda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business aspect, which enables stable financial operation for the sale of contents through various incomes, such as the admission fee and the use of other facilities. Therefore, prediction of audience can be used as a major factor in marketing and budgeting strategies. In this study, we review several existing models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attendance and propose an efficient machine learning model. In addition, we studied daily attendance prediction and abnormal attendance prediction using combine DNN(Deep Neural Network) and RF(Random Fores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