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황장애 환자 치료 결과에 대한 6개월간의 전향적 추적조사

        유제춘,이철,Yu, Je-Chun,Lee, Chul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1 정신신체의학 Vol.9 No.1

        연구목적 : 공황장애는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적 치료에 의해 두드러진 급성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많은 환자에서 만성적으로 되고 자주 재발하는 경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6 개월간의 전향적 추적 조사를 실시하여, 공황 장애의 치료 경과를 관찰하고, 좋은 치료 경과와 연관이 있는 인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외래를 처음 방문해서 SCID(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에 의해 공황장애로 진단된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방문시의 인구통계학적 자료와 공황 증상의 임상적 특징 등을 측정하였고 6 개월이 경과한 후에 불안, 공포, 장애의 세 가지 척도를 이용해서 치료 경과를 측정하여 좋은 치료 경과를 보이는 환자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공황장애의 좋은 치료 결과와 연관이 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 19명에 대해 최종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들 중에 장해 척도와 공포 척도에서 각각 10명(52.6%)이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고, 불안 척도에서는 8명(42.1 %)이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다. 또한 8명(42.1 %)이 세 가지 척도 모두에서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다. 공포 증상면에서는 최초 방문시 공포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치료 경과와 상관이 있었고(p=0.005) 유병기간이 짧은 것이 좋은 치료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상관성의 경향을 보였다(p=0.07). 결론 : 공황장애를 가진 환자 중에서 절반 정도(42.1%) 가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고, 최초 방문시 공포 증상이 심한 환자와 유병 기간이 짧은 환자가 좋은 치료 경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s : It is well known that pharmacologic and behavioral therapies of panic disorder show remarkable acute treatment outcome, however the course of panic disorder in clinical settings is often chronic and relap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utcome of panic disorder and the factors related to good treatment outcome by prospective follow-up study after 6 month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 Twenty nine patients were diagnosed to have panic disorder by SCID(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 among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psychiatric out-patients clinic of the Asan Medical Center for the first time. We determined the initial clinical and demoraphic features of each patient and reevaluated them after 6 months, investigating the treatment outcome by anxiety, phobia, impairment scales. We looked into the rate of the patients who showed good treatment outcome and determined the factors that had relation with good treatment outcome among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Results : Nineteen out of 29 patients could be followed after 6 months. Among them, 10 patients 52.6%) on the impairment scale and phobia scale each, and 8 patients(42.1 %) on the anxiety scale showed good treatment outcome. 8 patients(42.1 %) showed good treatment outcome on the all three scales. High score in initial phobia scale had significant relation with good treatment outcome. Short duration of ill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 with good treatment outcome however there was a trend(p=0.07). Conclusion : About half(42.1 %) of the panic disorder patients showed good treatment outcome on all three scales. Severe initial phobic symptom and short duration of illness were expected to have relation with good treatment outcome.

      • 저소득 도시지역의 정신보건 요구

        유제춘(Je-Chun Yu),손경국(Kyeong-Kook Son),이혜경(Hye-Kyeong Lee),김사리(Sah-Ri Kim),박보아(Bo-Ah Park),강건자(Keon-Ja Kang),이창화(Chang-Hwa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4 사회정신의학 Vol.9 No.2

        연구목적: 복지를 위한 가용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효율적인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수행을 위해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저소득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과 관련된 지역의 특성, 정신보건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덕구 정신보건센터에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지역의 전체 가구인 7278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경기도 의왕시 정신보건센터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요구 조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해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635개의 회신을 받아 분석 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 지역은 의료보장 형태나 세대별 월수입 등 여러 측면에서 사회 안전망이 부실하고 사회경제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편이었다. 그로인해 지역 주민들은 정신보건 문제의 시급성은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치료는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신보건센터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신보건 서비스 중에서 청소년비행, 치매, 알콜문제 등에 대한 위기개입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정신보건센터의 역할에 대한 홍보와 함께 위기개입에 대한 정신보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일 도시 지역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알코올 문제 및 일반인구 집단과의 비교

        이기풍(Kie Poong Lee),곽의향(Uy Hyang Kwak),유제춘(Je chun Yu)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1 사회정신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일 도시지역 영구임대아파트 거주민의 정신건강 및 음주 실태를 파악하여 정신건강 증진, 음주문제의 예방, 치료 및 재활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며,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및 음주문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같은 도시지역 일반 인구의 음주문제 실태조사와 비교, 분석하여 영구임대 아파트 거주자와 일반 인구 집단과의 음주 문제 실태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문교육을 받은 조사원이 영구임대 아파트 두 곳 표본가구의 거주 주민 350명을 대상으로 알코올 상담센터에서 제작한 설문지로 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기 조사된 같은 시 지역 일반 인구 대상의 음주문제 실태 조사와 비교하여 영구임대 아파트 거주자와 일반 인구 집단을 비교 하였다. 결 과 : 음주문제 경험 비율, 음주 치료 경험 비율, 음주로 인한 법적 문제 경험 여부 모두 영구임대 아파트 주민이 일반 인구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AUDIT척도에서 알코올 의존을 보인 대상자 비율 역시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이 일반인구보다 높았다. 영구임대 아파트 주민 내에서도 월평균 수입과 사회보장제도 수급여부를 기준으로 경제수준을 나누었을 때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음주로 인한 여러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이 의미 있게 높은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들은 정신보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가용 자원이 저소득층에게 보다 집중적으로 투입이 되어야 할필요성을 제시하며, 저소득층이 모여있는 대표적 사회 집단인 영구임대 아파트 주민을 중심으로 한 복지 프로그램의 구성이 프로그 램의 접근효용성 및 비용효용성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음을 예상케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and drinking behavior of tenant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an urban area,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prevention of drinking-related problems,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grams. This study also intend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drinking behavior by income level and compare the drinking behavior of tenant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general residents of the same area. Methods : Questionnaires developed by an alcohol counseling center were distributed to 350 people from sample households from two permanent rental apartment buildings. The participants were then visited and interviewed by professionally trained surveyors. In addition, the drinking behavior of general residents in the same area was examin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tenants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Results : The frequency of drinking problems, relevant treatments, and legal problems related to drinking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enants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an for the general residents.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revealed alcohol dependence according to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was also higher for the tenants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an for the general residents. In addition, the tenants of the permanent apartm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based on household monthly average incomes and whether they receive social security benefi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drinking-related problem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ower-income groups than in higher-income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available resources should be invested intensively in low-income groups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They also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welfare programs focused on permanent rental apartment tenants, a social group that is composed largely of low-income households, will be efficient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the costs of programs.

      • KCI등재

        여성정신장애인 부모양육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이혜경(Lee, Hye-kyung),김지선(Kim, Ji seon),양희아(Yang, Hee-Ah),박인아(Park, In Ah),유제춘(Yu, Je ch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2

        본 연구는 여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부모양육기술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검토 및 실천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와 사전에 수행된 프로그램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양육태도 이해 및 의사소통 훈련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개발되었으며, 00시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참여자를 모집, 진행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양적 변화 뿐 아니라 질적 측면의 변화와 참여자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수집, 이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양육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향상되었고,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은 일부 변화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훈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부모자녀 관계개선을 위한 동기부여와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여성정신장애인의 양육기술을 증진시키고 그 결과 자녀들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적 개입전략의 개발과 지역사회정신건강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ing skill improvement program for women with mental illness.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the program, it was composed of contents such as understanding the parent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review. And we referred to program experience that had been performed in the Daejeo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for 2 years.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total of 10 sessions, an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Daejeo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lso, we compared pre - post - test chang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o verify program effectiven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by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feel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arenting efficacy was improv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arent-child communication ability was improv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joining the program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hild discipline and got confidence to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parenting skills of women with mental illness and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on their children.

      • 도시 노숙자의 주요 정신장애에 관한 역학 연구

        안준호,홍진표,유제춘,박종익,이철,한오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외환위기 이후 대도시를 중심으로 노숙자들이 급증하여 이들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였다. 외국의 연구에 의하면 노숙자 중 상당수가 만성 정신질환을 앓고 있으며, 정신질환이 노숙의 원인 및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노숙자의 정신장애의 유병률에 관하여 알려진 바 없으므로 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1998년 말부터 1999년 초까지 부산지역의 쉼터 두 곳에 거주하는 노숙자 216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뒤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Ⅳ(SCID)을 이용하여 Axis Ⅰ의 주요 정신장애를 진단하였다. 이들의 정신장애의 평생유병률 및 현재유병률을 국내 일반인구 및 외국 노숙자의 정신장애의 유병률과 비교하였다. 결과: DSM-Ⅳ Axis Ⅰ의 정신장애 중 기분장애, 정신병적 장애, 물질사용장애에 대한 진단 평가 결과 상기 정신장애의 전체 평생유병률은 60.1%, 현재유병률은 35.7%이었다. 그 중 주요우울장애의 평생유병률 이 22.5%로서 외국의 노숙자에 대한 역학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높은 수준이었고 알코올 사용 장애의 평생유병률은 47.4%이었다. 정신병적 장애의 평생유병률은 3.8%이었고, 그 중에서도 정신분열병의 평생유병률은 1.9%이어서 외국의 노숙자에 대한 연구결과보다 낮은 편이었다. 결론: 국내 노숙자에서 기분장애와 물질사용장애가 주된 정신장애였으며 정신분열병 등 정신병적 장애의 유병률은 외국에 비해 낮은편이었다. 이러한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숙자에 대하여 접근하고 치료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As homeless people increased in urban areas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Korea, they became a serious social problem. Foreign research showed that many homeless people had chronic mental illnesses which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cause and prognosis of homelessness. But very little was known about the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Korean homeless people. This study tried to capture the overall picture of mental disorders in homeless people. Method:The study subjects were 216 homeless people who stayed at two Pusan shelters between late 1998 and early 1999. Questionnaires on sociodemographic data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and then diagnoses of major DSM-IV Axis I mental disorders were made using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SCID). The lifetime and current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this study were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studies in Korean general population and in foreign homeless people. Results:The lifetime prevalence of major DSM-IV mental disorders(mood disorders, psy-chotic disorder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of 216 homeless people was 60.1%, and current prevalence was 35.7%. The lifetim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s was 22.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foreign studies. The lifetim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 was 47. 4%. The lifetime prevalence of psychotic disorders was 3.8%, and among them the lifetime prevalence of schizophrenia was 1.9%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foreign studies. Conclusions: In Korean homeless people, mood disorder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were the main mental disorders and psychotic disorders such as schizophrenia were less than in foreign homeless people. The plans to approach and treat homeless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hould be made.

      • KCI등재

        한국어판 흡연갈망설문지의 표준화 연구 : 신뢰도와 타당도

        최경숙,이창화,유제춘,김세진,최호진,정범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2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obacco Craving Questionnaire (K-TCQ), a multidimensional, self report instrument evaluating tobacco craving in a population of current smokers. Methods : The Korean version of TCQ was administered to 216 current cigarette smokers. Results :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K-TCQ was high (0.95) which provided the evidence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K-TCQ was 0.66 (correlation coefficient, 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K-TCQ and each five VAS questionnaires were high (0.50-0.59, P<0.01). Inter-correlations of K-TCQ, VAS, FTQ, BDI, STAI-I and STAI-II were significant (p<0.01). Conclusion : The Korean version of TCQ is a valid and reliable scale for evaluating tobacco cra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