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정미(Yu Jeong Mi),권희경(Kwon Hee kyoung)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관련 있는 교사 및 유아 관련 변인, 교사 유아 관계,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설명력을 파악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 입학하는 연령이 어려지고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내는 시간이 걸어지는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교사와 유아가 어떠한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지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어떻게 길러줄 수 있을지 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C시의 15개 유아교육기관을 임으로 선정하여 만 3, 4, 5 세 유아들과 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최종 22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는 여아에 비해 교사유아관계에서 의존성이 높았다. 유아의 연령에 따라 자기 결정에서 만 3세와 만 4세가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경력에서는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와 유아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아의 자기결정도 많았다. 둘째,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경우는 친밀, 의존, 자기결정, 자기평가가, 친사회성의 경우는 유아의 성별, 친밀, 갈등, 의존, 행동억제, 정서성이, 사교성의 경우는 친밀, 갈등, 의존, 행동억제, 자기결정, 유아의 성별이 설명력 있는 변인들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또래유능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이 친밀한 교사유아관계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f teacher and child, teacher-child relationship, child's self regulation on child's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224 3, 4, 5 year-old-children and teachers responded the surveys. The data is analysed with t-test, one way ANOVA(scheffe's tes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suggest that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 is the most affected variable on the peer competency. Also, self regulation which is consisted with self determination, controlling behavior, emotionality is explaining variables.

      • KCI등재

        특성화고 입학생이 고교 진학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유정미(Jeong-Mi Yu),최윤정(Yoon-Jung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입학생이 고교 진학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연구 참여자 관점의 경험이 무엇인지 이해하여 중학생을 위한 진로교육과 상담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concept mapping)을 적용하여 특성화고 진학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특성화고 1학년 12명의 연구 참여자와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진학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종합, 편집과정을 통해 52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12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유사성 분류를 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성화고 학생들은 정보 부족(자기이해 부족-진로진학정보 부족)과 부정적 정서(근심/염려-혼란/실망)의 두 가지 차원을 기준으로, (1) 특성화고 진학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불확실성에 대한 염려, (2) 입학전형 정보 및 준비방법의 부재, (3) 진로탐색을 위한 개인진로상담 부족, (4) 흥미․적성에 대한 현실적 자기인식의 부족, (5) 성적관리 소홀로 인한 진로자기효능감 부족의 5개 군집으로 진학과정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군집별 경험 일치도에 따라 평정한 결과, 특성화고 진학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불확실성에 대한 염려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진학을 준비하는 중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과 상담 실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by understanding the actual experiences of difficulties that new students of Job-specialized high schools experienced during the entrance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concept mapping was applied to generate the final 52 statements in the process of ideas generation, edition, and synthesis about the experiences of their difficulties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of 12 participants who were first-year students from several Job-specific high schools. Concept mapping analysis using the sequence of 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completed after each participant sorted and rated 52 statements. As a result, the authors found that the students of Job-specific high schools understood five clusters containing of experiences of difficulties during the entrance process: (1) concerns about negative view of others and uncertainty about entering Job-specialized high schools, (2) lack of admission information and preparation methods, (3) lack of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exploration, (4) lack of realistic self-awareness of interest and aptitude, and (5) lack of career self-efficacy due to neglect of academic records. Considering the experiential consistency of statements rated by participants, the concerns about negative view of others and uncertainty about entering Job-specialized high schools was a centered node of the concept ma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practice regarding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prepare for entrance of Job-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치심 경향성이 높은 대학생에게 자기자비 글쓰기가 자기자비, 수치심, 정서반응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주의분산 글쓰기와의 비교

        유정미(Jeong-Mi Yu),양지선(Jisun Yang),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는 수치심 경향성이 높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과거 수치심을 경험했던 상황을 회상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상태 수치심의 증가와 상태 자기자비의 감소를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자기자비 글쓰기’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의분산 글쓰기’ 처치 조건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방법 연구 과정에서 상태 수치심을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상태 수치심 및 죄책감 척도(SSGS) 가운데 상태 수치심 문항을 번안하고 타당화한 뒤 사용하였다. 실험 전 한국판 수치심 경험 척도(K-ESS)를 작성한 대학생 중 수치심 경험 수준이 높은 46명(남자 11명, 여자 35명)을 선별하여, 수치심을 경험했던 상황을 회상하게 하였다. 그 후,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집단, 주의분산 글쓰기 처치 집단에 각 23명(남자 5명, 여자 18명; 남자 6명, 여자 17명) 씩 무선할당 하였으며, 각 처지집단 별로 상태 자기자비, 상태 수치심 및 정서반응(행복감, 슬픔, 분노감, 불안감)을 수치스러운 경험의 회상 전, 회상 후, 글쓰기 처치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두 처치 집단 모두 글쓰기 처치 후 상태 자기자비가 증가하였고 상태 수치심과 불안감이 감소하였으나, 자기자비 처치 집단이 주의분산 처치 집단에 비해 상태 자기자비와 상태 수치심, 불안감의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처치 집단 모두 처치 후 슬픔과 분노감이 감소하고 행복감이 증가하였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자기자비 글쓰기가 수치심 경향군의 상태 자기자비 함양 및 상태 수치심과 불안감 감소에 효과적이며 그 효과가 주의분산 글쓰기보다 우수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effects of self-compassion writing treatment on state shame and state self-compassion compared to distraction writing treat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items of shame subscale from State Shame and Guilt Scale(SSGS) was translated and validated in Korean version to measure state shame. Among 427 university students completing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of Shame Scale(K-ESS) prior to the experiment, 46 students(11 men, 35 women) with high level of shameful experience were selected. They recalled and wrote about personal experience of shame. After writ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group of writing about it self-compassionately, or a group of writing about it distractivel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scales of state self- compassion, state shame, and emotional reactions(happiness, sadness, anger, and anxiety) before and after recall, and after writing. Results In both groups, state self-compassion increased and state shame and anxiety decreased after writing treatment, but participants in the self-compassion writing condition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ate self-compassion, state shame and anxiety than those in the distraction writing condition. In both groups, sadness and anger decreased and happiness increased after trea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writing treatment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state self-compassion and to reduce state shame and anx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