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로-짓" 모형에 의한 교통시간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유완,Yu, Wan 대한교통학회 1984 大韓交通學會誌 Vol.2 No.1

        통행시간가치에 대한 연구는 독립변수를 이용한 통행시간과 비용에 의한 선택모형 을 대개 사용하여 왔다. 통행시간과 비용에 대한 매개함수를 추정한 후에 통행시간가치를 교통시간과 비용의 $\ulcorner$파라메타$\lrcorner$비로써 얻고 있다. 그러나 통행시간가치에 관한 신뢰구간과 통계적 유의성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은 아직 연구되지 않고 있으나 $\ulcorner$로-짓$\lrcorner$ 모형 자체에 대하여는 되어있다. 본 논문은 통행시간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향을 비평적 으로 검토하여 본 것으로 통행시간가치를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한 표준화 과정은 아직 이론적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통행시간가치평가의 간편식을 제시하여 보았 다. 간편식에 의하여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의 통계적신뢰 구간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에 대한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 측정을 위한 과정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의문이 아직도 남는다 하겠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the Evaluation Areas of the Times Higher Education Asia University Rankings on the Overall Score

        유완(Yu 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2013~2015년도에 발표된 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영역들이 평가결과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평가영역들이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평가영역은 연구와 인용 영역이었다. 평가영역들의 영향력 순서는 변하고 있었다. 이 순서변화는 평가영역들의 표준편차 크기 변화와 유사하였다. 표준편차가 커지는 영역의 영향력이 상승하였고, 표준편차가 작아지는 영역들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THE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 평가영역들의 영향력은 THE의 세계대학 순위 평가와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세계대학 순위 평가에서는 연구 영역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는 인용 영역의 영향력이 상승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이 되었다. 아시아권 대학들이 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연구역량, 인용지수를 강화하는데 투자할 필요가 있고 영어논문을 출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evaluation areas in the THEAUR (2013-2015) data. To achieve this purpose, us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ve impact of the evaluation areas on the rankings was examined and changes in the areas’ impact were compar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research and cita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areas of the THEAUR. The order of areas’ influence was changing. This change was similar to alteration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areas. An in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an area led to a corresponding increase in its influence. The influence of the THEAUR’s area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EWUR’s areas. Although research was the most influential area in the THEWUR, citation’s impact strengthened and it became the most significant area in the THEAUR. To accomplish higher rankings, it has been proposed that Asian countries should invest in resources for enhancing the capacity of research and citation and assist researchers in publishing papers in English.

      • KCI등재

        대형차 소음환산계수 산정방법

        유완(Wan Yu),이승주(Seung Ju Lee) 한국지역학회 1990 지역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s to predict the noise PCE (Passenger Car Equivalence) of large running vehicles through noise prediction models. The noises were measured at the distance of 7.5 M, 11.0 M, and 14.5 M from the noise source with test vehicles running at the speed of 40㎞/ h, 60㎞/ h, and 80㎞/ h while normal traffic were detoured. Total noise levels were measured while vehicles were running at given speeds. Engine noise level was considered as the noise of its idle running at the three vehicle speeds shown above friction . noise level was ascertained by moving the vehicle at given speeds without the engin operating. The noise prediction models for each noise source were developed by factors which affect to the each noise level.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reduction of total vehicle noise by increasing the distance to the noise source from 10 M to 15 M is as much as that by dropping its speed from 60㎞ / h to 40㎞ / h. Also, the reduction of PCE of total noise of large vehicle by making the noise source far from 8 M to 15 M is equivalent to that by reducing its speed from 80㎞ / h to 60㎞ / h. Engine noise PCE, which is in range between 65 and 160, is larger than friction noise PCE which is in range 3.5 and 5.5. Engin noise is the main noise of the large vehicles while friction noise is that of the small vehicles. Machine noise for large vehicles, and engin noise for small vehicles should be tightly controlled to reduce the vehicle noise. A low noise engine and tire, and the shape of vehicle body are needed to be developed to reduce noise further.

      • KCI등재

        아시아대학 순위(THEAUR) 평가방법 개선 방안 연구

        유완(Wan Yu),이일용(Il-Yo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Times Higher Education(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평가영역별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년도 결과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가장 영향력이 큰 평가영역과 그 영역에 의해 높은 순위에 오른 대학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특정 영역에 의해 순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점수를 적용한 후 순위와 평가영역들의 영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5년도 평가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영역은 인용이었고, 인용 영역의 점수만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한 대학들이 존재하였다. 평가영역별 원점수를 T점수로 전환하고 THE에서 정한 가중치를 적용한 후 순위를 다시 산출하였다. T점수를 적용하자 총 67개의 대학들에서 순위 상승과 하락이 일어났다. T점수와 THE의 가중치를 적용한 순위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는 평가영역들의 영향력이 배정받은 가중치와 유사해졌다. THE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의 평가영역은 영향력이 상이하였다. 특정 평가영역에 의해 대학의 순위가 오르고 있었고, 평가기관이 배정한 가중치에 따라 순위가 산출되지 못하고 있었다. T점수를 적용하자 대학 순위가 변하였고, 평가영역들의 영향력이 평가기관의 가중치와 비슷하게 변하였다. T점수는 평가영역 간 영향력 차이 문제를 해소하였다. THE는 평가결과가 타당하고 합리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평가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valuation areas of the Times Higher Education’s Asia University Rankings (THEAUR)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result(the total score) and to examine the solution to this difference.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THEAUR 2015 data, the most influential area and the institutions which attained higher ranks due to the area were analyzed. In order to resolve the rank increase because of a specific evaluation area, changes of the ranks and influence of the areas were analyzed after using the T-score. The most powerful area of the THEAUR 2015 was citation. Some institutions could attain favorable ranks as their citation score was much higher than other areas’ scores. Then, the raw scores of the areas were converted into a T-score. The new rankings were calculated. Subsequently, positions of 67 institutions were chang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the new ranking showed that the evaluation areas’ influence correlated with the assigned weights. The influence of the THEAUR’s evaluation areas was different. Some institutions obtained higher ranks due to a specific area, and the results of the THEAUR did not correspond with the assigned weights. T-score changed the ranks, and the influence of the areas became analogous to the THE’s intention. T-score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problem of the evaluation areas’ influence. THE should change the methodology of the THEAUR in order to make the evaluation results more valid and logical.

      • KCI등재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THEAUR)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준거 및 주요국 비교 분석

        유완(Yu, Wan),이일용(Lee, Il-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Times Higher Education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의 평가준거들이 총점에 주는 영향력, 아시아대학과 세계대학 간의 차이,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주요 7개국의 평가 결과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평가준거가 총점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였고, t검증으로 아시아대학과 세계대학 순위 평가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주요 7개국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각 국가 대학의 평가준거와 총점 점수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는 총점에 대해 연구 영역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아시아대학은 지식이전수입을 제외한 교육여건, 연구, 인용, 국제화영역과 총점에서 모두 평균 점수가 낮았다. 아시아 주요 7개국 비교에서는 일본이 가장 많은 대학을 배출하였으나, 홍콩 대학들의 총점 평균이 가장 높았다. 아시아권 대학들은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순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구 영역을 개선하는데 집중해야 하고, 세계대학과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인용 영역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대학들은 인용지수 개선에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인도와 동아시아권 국가들은 인용과 국제화 영역에 투자를, 터키는 교육여건과 연구영역을 개선해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riteria on the overall score of the Times Higher Education Asia University Rankings (AUR), to compare the AUR and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and to compare the result of the seven major countries of the AUR. The methods used were the stepwise regression and independent T-test. To compare the seven countries, the average score of the criteria and the overall score was calculated. In the AUR, the criterion of Research was the most influential one on the overall score. World universities overwhelmed Asian universities in terms of Teaching, Research, Citation and International Outlook. In the comparison of Asian countries, while Japan had the largest number of universities, the average overall score of Hong Kong universities was higher than any other country’s university. Asian universities should concentrate on improving Research in order to increase their ranking.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universities in the world, Asian universities should invest their resources on refining Citation. Korean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enhance Citation. East Asian and Indian universities should enhance Citation and International Outlook, whereas Turkish universities should ameliorate Teaching an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