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법의 국내 적용에 관한 중국법체계

        유예리 중국학연구회 2009 中國學硏究 Vol.- No.49

        The Constitu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does not clearly regulate the relation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However, Chinese Civil Law and some other laws stipulate that direct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to a national legal system and treaty which China concluded with precedes national laws. After entering into WTO, how China applies WTO, as a treaty, has been an issue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other members of WTO. The paper shows how treaty is classified in Chinese Constitution and laws, and what is its effect grade. The paper tries to correct understanding that treaty China concluded with always precedes domestic laws grounded on Article 142 of Civil law. That is because first, Civil law is just particular regulations as an individual law. Second, treaty on the article 142 of Civil law only includes treaties ratified by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Third, Constitution, Law on Legisl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Procedure of the Conclusion of Treaties do not stip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The paper also analyzes Chinese legal system on domestic application of treaty. China has treated domestic application of treaty case by case, and taken different application theory in different situations. Based upon Chinese current legislation and judicial system, it takes two different modes which are direct and indirect application when they apply treaty. The Chinese court keeps its attitude that WTO agreement can not be applied directly. In other words, private individual cannot litigate to the court using the WTO rules, and the court cannot use WTO rules as a ground of trial, either.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how to apply custom law in China. Custom law can be applied only when domestic law and international treaty do not exist.

      • KCI등재후보

        중국 해양지적(海籍)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유예리 한국국토정보공사 2012 지적과 국토정보 Vol.42 No.2

        The paper describes China's marine cadastre system including definition,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laws and regu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view, China's marine cadastre system has improved since last 10years. First of all, in the field of legal system, China has basic law and also has equipped a set of rules and regulations regarding to marine cadastre. Secondly, China established marine cadastre center only for managing and operating marine cadastre this year. This centre will improve efficiency and immediacy of operating marine cadastre system in China. Thirdly, China also has well organized marine cadastre management system in the technical area. China's marine cadastre management system includes marine cadastre investigation, registration, statistics and storage, and this comprehensive system implies somewhat to our introduction of marine cadastre system. 본 연구에서는 중국 해적제도에 대한 법체계와 법조문 중심으로 중국에서의 해양지적의 개념, 해양지적의 관리 및 운영체계, 그리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해양지적제도를 법적·제도적·기술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면, 첫째 법적 영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해역사용관리법」이라는 기본법이 제정되어 있다는 점과 이 법을 근거로 다량의 부문규장과 지방성법규가 세트(set)를 이루며 비교적 해양지적에 필요한 여러 법규가 체계적으로 잘 완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제도적 영역에서 볼 때, 해적관리처가 설립되기 전에는 해적관리를 전담하는 조직의 부재로 일관성이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겠지만, 해적관리처 설립 후에는 해양지적제도 운영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보인다. 셋째 기술적 측면에서는 「해적조사규범」을 근거로 해적조사와 해적측량을 보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해양지적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해적조사에서 해적등기, 해적통계, 해적등급 분리와 해적자료 보관까지를 아우르는 중국의 해적관리시스템 관련 법제와 기술은 우리나라의 해양지적제도 도입에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중국의 WTO분쟁해결체제 활용에 대한 평가와 전망

        유예리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2

        WTO 가입 후 6년이 지난 지금 중국이 그동안 WTO 분쟁해결체제를 어떤 영역에서 참가하였으며 그 결과가 어떠한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한중간의 폭넓은 물적 교역으로 인한 통상 분쟁의 증가를 고려해 볼 때, 그 동안 중국이 WTO 분쟁해결체제를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영역에서 WTO에 제소하거나 제소되었는지를 정확히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06년 중국대외무역액은 1조 7천여억 달러이고 WTO는 2007년 말 전까지 중국의 대외무역 총액은 독일을 초과하여 미국에 버금가는 제 2대 무역국이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중국경제는 이제 대외무역에 상당부분 의존하게 되었고, 통상 분쟁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뜻한다. 중국이 관련된 통상 분쟁 빈도는 앞으로 잦아질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도 더욱 다양해지리라는 것은 본고의 통계와 자료의 분석이 잘 보여주고 있다. 지금처럼 제 3자로 분쟁에 참여하면서 배우기만 하는 수동적 자세만 취하는 것이 아니고, 조만간 무역상대국의 부당한 조치나 관행에 대해서 과감하게 제소를 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것이다. 비록 우리나라가 WTO 분쟁해결체제 활용에 있어 중국보다는 경험이 많고 승소율도 높다 하더라도 중국이 현재 WTO 분쟁에 대비해 적극 대응하고 있는 것을 본다면 한중 무역 분쟁을 대비하여 한시라도 방심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중국이 WTO 분쟁에 대비하여 인재를 양성하고 있고, 기타 WTO 회원국 간의 분쟁에 제 3자로서 적극 참여 하고 있음을 볼 때, 중국의 WTO 분쟁해결의 활용에 대한 중간 평가는 정확히 이뤄져야 하며 향후 우리나라가 중국과의 무역 분쟁에 있어서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 It has not been reviewed on participation of China's WTO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since last six years, when China entered into WTO. As considered high increase of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t need to be analyzed specifically in which field China has sued and been sued to WTO. Most of Chinese economy has relied on trade, hence China cannot avoid disputes with WTO members, and it also means that China has to consider how to resolve them. The paper prospects that China is going to take an aggressive attitude in using WTO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not just joining as a third party in a passive way. Although Korea has more experienced and higher rates of favorable rulings for WTO disputes rather than China, if we could notice that China has coped with WTO disputes in diverse ways like developing specialists, Korea needs to analyze and review on participation of China's WTO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 KCI등재
      • KCI등재

        세계보건기구(WHO)의 대유행 인플루엔자 대비체계(PIPF)와 나고야의정서의 관계

        유예리,윤승필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환경법과 정책 Vol.25 No.-

        코로나19와 같은 공중보건 위기상황에서는 병원체 표본 및 그 유전자염기서열정보에 대한 제공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국가가 자국의 국경 내에 있는 병원체 자원도 국가의 주권적 자산이라고 주장하면서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부속조약인 나고야의정서에 따라 접근 및 이익 공유를 요구한다면 추가적 거래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백신과 치료제 개발도 지연될 수 있다. 물론 나고야의정서 제8(b)조는 인간, 동물 또는 식물 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관련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 절차의 간소화를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동 조항은 당사국들에게 신종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필요한 병원체 등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는 보건의료 위기상황에 대비하여 2011년 대유행 인플루엔자 대비체계(PIPF)를 채택하였다. 2006년 12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생물다양성협약을 근거로 자국의 국경 내에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세계보건기구와의 바이러스 표본 공유를 거절하자 세계보건기구가 채택한 결의안이다. 즉 PIPF는 세계보건기구 회원국들이 대유행 잠재력을 지닌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접근과 진단, 백신, 항바이러스 등 사용과 관련된 이익 공유를 규율하는 다자간 문서이다. 이처럼 병원체의 접근 및 이익 공유라는 동일한 사안을 두고 이를 규율하는 국제협약과 국제문서가 중복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양자의 모호한 관계는 향후 전염병 대유행이 재발할 경우 국제적으로 신속한 협력과 대응을 가로막고, 과학기술의 발전도 저해할 수 있다. 즉 양 문서간의 관계를 명확히 정립하지 않으면, 급박한 보건의료 위기상황에서 나고야의정서의 이행으로 인한 세계보건기구의 대응과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와 세계보건기구가 채택한 문서인 PIPF 간의 관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나고야의정서가 이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보건기구가 병원체 대상 별도의 접근 및 이익 공유 체계를 마련할 수 있는지 양자 간의 관계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나고야의정서 제3조는 동 의정서의 적용범위에 병원체를 제외한다고 명시하지 않고 있고, PIPF이 나고야의정서 제4.4조상의 특별국제문서에 해당하는지를 두고 해석의 여지가 있다. 다음으로 PIPF의 적용대상 및 범위를 살펴보고, 나고야의정서가 적용될 수 없는 요건, 다시 말해서 PIPF가 적용되는 요건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In public health crises such as COVID-19, pathogen samples and gene sequence data should be publically available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 timely manner. However, if the federal government claims the intellectual ownership of the pathogen resources, and requests access and benefit shar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the additional transaction costs will delay the development of vaccine and treatments. Article 8(b) of the Nagoya Protocol states that due regard should be pai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at threaten or damage human, animal or plant health, and that expeditious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fair sharing of benefits arising out of the use of such genetic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in the event of an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H5N1, the parties shall consider expeditious access procedures to genetic resources such as pathogen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nd treatments. Meanwhil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dopted the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PIPF) in 2011 to prepare for health and medical crises. This resolution was adop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December 2006 after the Indonesian government refused to share virus samples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iming sovereignty over viruses within its borders based o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PIPF is a multilateral instrument that regulates access to human influenza viruses with pandemic potential and sharing of benefits related to their use, including diagnosis, vaccines and antiviral agents. In this situation where there are separate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instruments that discipline the issue of access to and sharing benefits of pathogens,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ld hinde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response to future pandemics, and also preven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amel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struments is not established, the implementation of Nagoya Protocol in an urgent health and medical crisis may hinder and delay the WHO’s response to the sharing of pathog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PIPF, an instrument adop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Nagoya Protocol. Article 3 of the Nagoya Protocol does not specify that pathogens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otocol, and Article 4.4 of the Protocol does not specify whether the PIPF falls under specialized international instruments, leaving room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response, this paper will first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see if WHO can establish a separate ABS system for pathogens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Next, it will examine the application and scope of the PIPF and identify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protocol cannot be applied. In other words, the requirements to which PIPF is applied. Therefore, in this review, we would like to examine and suggest the legislative and policy tasks that Korea should implement internally and externally.

      • KCI등재

        WTO DDA 수산보조금 규범협상 논의 동향 및 시사점- EU 제안서를 중심으로 -

        유예리 한양법학회 2017 漢陽法學 Vol.28 No.3

        Discussion on fisheries subsidies has began to negotiate actively since tenth WTO ministerial conference in 2015. This paper analyzes the EU proposal on fisheries subsidies before eleventh WTO ministerial conference taking place in 2017. The reason that EU submitted the proposal is to prohibit capacity-enhancing subsidies which contribute to overcapacity and overfishing and establish transparency scheme of special and different treatment based on international law. EU proposal clearly provides that regulations of fisheries subsidies prohibited shall not apply to fuel-detaxation schemes. Henc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refer to the EU proposal about fuel-detaxation which can be the most effective issue to the Korea. It is also worth to note that EU proposal presents 3 types of fisheries subsidies prohibited, and has no catch all provision. The future Korean proposal also needs to consider the articl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cope and conditions of application. Additionally, EU proposal implies strong arguments about establishment of transparency schemes and special and differentiate treatment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he priorities of the fisheries subsidies to negotiate referring proposals by WTO member countries including EU. 현재 수산보조금 규범에 대한 논의는 지역 간, 복수국간, 다자간 통상협상에서 전 방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 10월에 타결된 TPP 협정의 환경챕터에는Text of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https://www.tpp.mfat.govt.nz/text(검색일: 2016.12.20) FFG의 의견을 거의 그대로 반영한 의장초안 수준의 수산보조금 규정이 포함되었다. TPP처럼 수산보조금 규범에 대한 내용이 지역 간 통상협정에 등장한 가운데, 2016년 9월부터는 수산보조금에 대한 복수국간 협상이 발족되었다.RULES NEGOTIATIONS, Chair cites broad support for outcome on fisheries subsidies at 2017 Ministerial Conference, 11 November 2016. https://www.wto.org/english/news_e/news16_e/rule_17nov16_e.htm(검색일: 2016.12.06) 그리고 WTO 제11차 각료회의에서도 다자간 수산보조금 규범에 대한 합의가 도출될 것으로 예상한다. 제11차 WTO 각료회의를 앞두고 수산보조금 규범에 대한 주요 의제들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EU가 제출한 제안서에서도 몇 가지 특징적인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먼저 제안서의 전문에서 UN의 SDG 14.6을 인정하겠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은 다른 국가들의 제안서와 같이 달성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EU 제안서의 내용 중에서 과잉생산 관련 보조금, 투명성 체계 수립, 개도국과 최빈국에 대한 특별대우의 폭과 범위에 관한 문제는 EU가 수산보조금 규율에서 특히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임을 알 수 있다. 이번 EU 제안서는 초보적인 수준이고, 향후 더 구체적인 제안서가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EU 제안서를 포함한 다른 회원국들의 제안서를 참고하여 주요 쟁점별 우리나라의 입장을 고려한 최우선 의제를 정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먼저 수산보조금 금지 조항에 면세유 제외여부, 금지수산보조금의 유형, 금지수산보조금 요건의 구체적 기준 제시, 개도국 특별대우 포함 여부, 투명성 체계 수립 등 이들 과제에 대한 우리나라의 이해관계에 따른 협상대비가 필요하다. 면세유 제외라는 카드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개도국을 위한 특별대우를 통해 개도국의 협조를 이끌어 낼 필요 있으며, 개도국에 대한 투명성 요건을 강화하여 선진국의 우려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의 법적 고찰

        유예리 한중법학회 2007 中國法硏究 Vol.7 No.-

        When the government chooses the FTA partners, generally, the best concern is its economic result. The paper, however, believes that legal framework also should be studied at the same time for the benefit of the own country from the FTA. Under the preposition of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e conclus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China (KCFTA), the paper analyzed KCFTA from the legal perspective. First of all, both China and Korea as the WTO members, they should obey WTO rules and KCFTA should not violate WTO, hence through the comparison WTO and some important FTAs like NAFTA and Korea-Chile FTA, the paper explains common and different contents which they regulates. Secondly, the paper presents current problems such as strict non-tariff and anti-dumping measures in econom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China points out and based upon them, the paper precluded the legal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future KCFTA such as tariff, trade remedy and dispute settlement areas. In the final part of the paper, it suggests not only legal issues but also the legal framework and contents which is favorable to Korea in the KCFTA.

      • KCI등재

        FTA에서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의 지식재산권적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유예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2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themselves can not be protected b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owever, can be used as a tool for fair and equitable benefit-sharing. Namely,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can be protected b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and geological indications. Recently, the ways of protec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also discussed in FTAs. For example, TRIPs-plus provisions related to biodiversity are discussed in FTAs concluded with United Stares of America(USA). Those USA FTAs enlarge patentability of life forms and demand FTA parties to ratify 1991 version UPOV. These TRIPs-plus provisions will affect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in the future. Meanwhile, FTAs with developing countries discuss disclosure requirements of inventions based on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Until now, Korea as a user country of genetic resources has negotiated appropriate provisions related to biodiversity. But now it is time to have strategy in FTAs to discuss specific requirements and disclosure requirements because Nagoya protocol came into force.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 그 자체는 지식재산권의 보호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지식재산권은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은 특허, 지리적 표시와 같은 지식재산권을 통하여 보호될 수 있다. 이처럼 지식재산권을 통한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 보호방안은 FTA에서도 주요 협상 쟁점으로 논의되고 있다. 예컨대 미국이 체결한 FTA에서는 생물다양성 관련 TRIPs-plus 규정이 마련되었다. 즉 미국의 기 체결 FTA에서는 생물체에 대한 특허대상을 확대하고, 1991년 UPOV 협약에의 가입을 강제하고 있다. 이러한 TRIPs-plus 규정들은 향후 다자간 통상조약에서의 합의 도출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다. 한편 개도국과의 FTA에서는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의 출처공개의무화 여부가 논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전자원 이용국으로서 지금까지는 유전자원 제공국들과의 FTA에서 무난한 협상을 이끌어 냈다. 그러나 지금은 나고야의정서가 발효했고, 많은 국가들이 당사국으로 가입한 만큼 향후 개도국과의 FTA에서 나고야의정서의 구체적인 요건 및 출처공개요건의 의무화를 두고 협상이 치열해질 것인바 국익에 부합한 협상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의 농산물무역 분쟁 대응성과와 한국에의 시사점

        유예리 한중법학회 2007 中國法硏究 Vol.8 No.-

        Since China’s accession to WTO,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its foreign trade and now it is the forth biggest country in trading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world. China’s rapid increase of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threatening international agricultural market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disputes with China will b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table of Free Trade Agreement(FTA) with China. The paper, first of all, examine the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disputes since China’s entry of WTO. The paper found out that China has never been a party to WTO suits in the area of agricultural products although China has participated in a lot of disputes as a third party. China believes that it can learn and get information from the participation as a third party. It also implies that China is ready to sue any country if they violates WTO rules especially in the area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experiences and lessons of participations as a third party. The paper, then, analyzes the specific situations of China’s agricultural products disputes and what its countermeasures and achievements. Mainly, the paper shows how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makes the most of “the Trade Barrier Investigation Legal System of China” to protect its farm producers and increas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Korea-China FTA negotiation ahead, the paper suggests that Korea should choose which dispute settlement system if it faces agricultural products disputes with China. China have made preparation against agricultural products disputes legally and institutionally and have earned a lot of achievements. China will strengthen its government’s role in agricultural products disputes. First of all, China will try not to violate WTO rules, and Chinese government will make the most of the Trade Barrier Investigation Legal System. Based upon efficiency and flexibility, if future trade benefits are more than high costs and injury, China will deal with disputes in an aggressive attitude. Since China’s WTO accession, Korea needs to consider legal dispute settlements like WTO or bilateral dispute settlement to resolve agricultural disputes with China because it might be more useful than diplomatic and political negotiations to make domestic interest groups understand.

      • KCI등재후보

        중국의 신(新)수출통제제도에 관한 연구 - 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유예리 무역구제학회 2023 무역구제연구 Vol.0 No.69

        2020년 10월 17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국제의무 이행, 국가안보 및 국가 이익 수호를 위한 수출통제 강화를 목표로 「수출통제법」을 통과시켰다. 「수출통제법」은 중국 정부가 제정한 최초의 종합적인 수출통제 법률이기에 의미가 크다. 「수출통제법」은 수출통제 대상 및 범위, 처벌 가능 위법행위 및 대상의 범위, 처벌의 정도를 모두 확대 및 강화하고 있어 우리나라 외상투자기업의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보여 중국의 「수출통제법」 내용을 숙지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수출통제법」을 중심으로 수출통제체제를 새롭게 정비한바, 본 연구는 과거 산재해 있던 수출통제제도와 대조되게 신(新)수출통제체제라고 명명하고, 새롭게 시도되는 신(新)수출통제체제의 내용이 현재 우리나라의 수출통제제도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법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신(新)수출통제체제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입법적으로 우리나라도 중국처럼 수출통제 기본법을 제정하여 수출통제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총괄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으로는 중국의 수출통제조치와 비(非)수출통제조치에 대한 시나리오별 대응방안이 시급하다. 그 이유는 중국은 수출통제조치뿐만 아니라 비(非)수출통제조치를 통해서 언제든지 한국의 산업에 엄청남 피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제도적으로도 중국이 「수출통제법」이 수출통제전문가 자문제도를 수립할 수 있도록 근거 규정을 둔 것처럼 우리나라도 수출통제전문가 자문제도를 수립하여 수출통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On October 17, 2020,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passed the Export Control Law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export controls to fulfill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protect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The Export Control Law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comprehensive export control law enac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s The Export Control Law expands and strengthens the scope of export control, the scope of punishable illegal acts and targets, and the degree of punishment. it is predicted that risks of Korean foreign-invested companies will increase. This study reorganized Chinese new export control system in contrast to the export control system that were scattered in the past.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ontents of the new export control system differ from Korea's current export control system. This study analyzed China’s new export control system and deriv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Legislatively, Korea needs to enact the Basic Export Control Act like China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manage export control. From a policy perspective, scenario-specific response plans to China's export control measures and non-export control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The reason is that China can cause enormous damage to Korean industry at any time through not only export control measures but also non-export control measures. Furthermore, institutionally, just as China's Export Control Act provide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n export control expert advisory system, Korea also needs to establish an export control expert advisory system to approach export control scientif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