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모델리카를 이용한 2자유도 시스템 진동해석 및 파라미터 설계

        유영민,이종수,Yoo, Yeongmin,Lee, Jongsoo 대한기계학회 2017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2

        오늘날, 다양한 공학분야의 현장에서 제품개발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하기 위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시뮬레이션의 범위가 점차 넓어짐에 따라 기계, 유압, 전기, 열 등의 여러 개의 물리 영역을 포함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공학분야의 시스템을 멀티도메인으로 구성하여 통합적인 시뮬레이션을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한 언어가 모델리카이다.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모델을 크게 인과적 접근과 비인과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델리카의 가장 큰 특징은 비인과적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인과적 프로그래밍인 모델리카에 대한 간단한 개념과 사용법을 소개하고 모델리카를 이용하여 2자유도 시스템의 진동해석과 그에 알맞은 파라미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Today, we are using computer simulations in various engineering discipline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product development. The scope of simulations is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for different fields such as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fluid. Thus, it is necessary to use integrated simul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language has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describe and implement simulations is Modelica. To model and simulate a system, physical mode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ausal and acausal model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Modelica is acausal programming. In this study, we will introduce simple concepts and explain about the usage of Modelica. Furthermore, we will explain the vibration analysis of a two degree-of-freedom system and the design of appropriate parameters by using Modelica.

      • KCI등재

        민속 마을 관리상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의 이해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유영민,장혜진,박노천,김용근,Yoo Young-Min,Chang He-Jin,Park No-Chun,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5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 concrete and evidential disagreement that resulted from a conflict caused by the exploitation of folk village for tourism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ore realistically the phenomenon of the disagreement that originated from sightseeing in the hahoe folk villages by focusing on the problem between the ive groups as a potential and continual impediment to tourism. Two groups, residents and tourists,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underlying factors of the disagreement regarding exploitation of folk villages for tourism The two groups were clearly split: inhabitants of the village considered such exploitation negative, while tourists accepted it as positive.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topic residents were in favor of the preservation of the physical resources, but against exposure of their private lives to the public, while tourists strongly respected the preservation of the resources of the village. A comparison of the common phenomena of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groups was performed, Variables that showed different respons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loss of privacy of individual houses, verbal aggression and physical conflicts between the groups, and lack of administration. In most of the cases of disagreement, residents considered the disagreement phenomena to be more serious than tourists did except in one case: tourists placed a greater importance on the ugly view of the street market. Finally,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mpacted the level of the disagreemen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Disagreement factors affecting tourists were verbal aggression between the groups, complaints about lodging and dining facilities, complaints about tourist facilities, and negligence of the administration in responding to requests. Among thes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verbal aggression between the groups. In fact, individual feelings between tourists and residents proved to b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level of disagreement.

      • KCI등재후보

        다층모형분석을 활용한 지리교과 학업성취도의 학교효과에 관한 연구

        유영민(Youngmin Yoo),이자원(Jawon 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효과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 다층모형분석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학교효과 연구의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표본을 선정한 후, 독립변수 선정을 위해 상관분석과 탐색적 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였다. 학교, 교사, 학생의 수준에서 독립변수와 한국지리 수능점수인 종속변수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고정효과와 무선효과를 통해 유의확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지리교과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학생, 교사, 학교 수준에서 살펴보았으며 다층모형분석을 적용하여 통계적 오류를 줄이는 정확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노력할 수 있으며 다층모형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지리교과의 방법론의 활용에 의의가 있다. Education is a basic right for human beings and educating students has tremendous effect on students, families, nations and to the world.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cent educational environment to students.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is an attempt to explore possibility of development, reduce inequality of education and assist for growth of students. This study used methods of documentary research for understanding of multi-level model to prove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This study analyzes factors effecting geography’s academic achievement at the level of student, teacher and school applying multi-level model using an accurate mythology to reduce statistical errors. This study is at attempt to aid in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in educating and environment that elevate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ore specific and practical if data such as teaching methods and academic achievement record by years can be accumulated.

      • SCOPUSKCI등재

        모델리카를 이용한 2자유도 시스템 진동해석 및 파라미터 설계

        유영민(Yeongmin Yoo),이종수(Jongsoo Lee) 대한기계학회 2017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1 No.8

        오늘날, 다양한 공학분야의 현장에서 제품개발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하기 위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시뮬레이션의 범위가 점차 넓어짐에 따라 기계, 유압, 전기, 열 등의 여러 개의 물리 영역을 포함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공학분야의 시스템을 멀티도메인으로 구성하여 통합적인 시뮬레이션을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한 언어가 모델리카이다.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모델을 크게 인과적 접근과 비인과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델리카의 가장 큰 특징은 비인과적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인과적 프로그래밍인 모델리카에 대한 간단한 개념과 사용법을 소개하고 모델리카를 이용하여 2자유도 시스템의 진동해석과 그에 알맞은 파라미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Today, we are using computer simulations in various engineering discipline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product development. The scope of simulations is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for different fields such as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fluid. Thus, it is necessary to use integrated simul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language has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describe and implement simulations is Modelica. To model and simulate a system, physical mode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ausal and acausal model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Modelica is acausal programming. In this study, we will introduce simple concepts and explain about the usage of Modelica. Furthermore, we will explain the vibration analysis of a two degree-of-freedom system and the design of appropriate parameters by using Modelica.

      • KCI등재
      • KCI등재

        지형 험준도를 고려한 프로파일 기반 지형참조항법과 관성항법의 결합 알고리즘

        유영민(Young Min Yoo),이선민(Sun Min Lee),권재현(Jay Hyun Kwon),유명종(Myeong Jong Yu),박찬국(Chan Gook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9 No.2

        In recent years alternative navigation system such as a DBRN (Data-Base Referenced Navigation) system using geophysical information is getting attention in the military navigation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Specifically TRN (Terrain Referenced Navigation) algorithm research is important because TRN system is a practical DBRN application in South Korea at present time.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navigation algorithm that combines a linear profile-based TRN and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We propose a correlation analysis method between TRN performance and terrain roughness index. Then we propose a conditional position update scheme that utilizes the position output of the conventional linear profile type TRN depending on the terrain roughness index.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through Monte Carlo computer simulations using the actual terrain database. The results show that the TRN/INS integrated algorithm, even when the initial INS error is present, overcomes the shortcomings of linear profile-based TRN and improves navigation performance.

      • KCI등재

        농촌 원주민과 귀농ㆍ귀촌인 간 갈등요인과 인식차이 분석

        유영민(Yoo, Young-Min),김용근(Kim, Yong-Geun),안민지(An, Min-Ji)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2

        최근 농촌사회에서 귀농․귀촌인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귀농ㆍ귀촌인과 농촌 원주민 간 갈등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 원주민과 귀농ㆍ귀촌인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했다. 두 집단 간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갈등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를 밝힘으로써 향후 갈등관리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조사방법으로서 선행연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측정 변수를 도출하고, 농촌 원주민과 귀농ㆍ귀촌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 원주민이 유발하는 갈등 요인으로는 ‘농촌 원주민의 전통적ㆍ보수적 성향 및 귀농ㆍ귀촌인과의 문화 차이’, ‘농촌 원주민의 배타적 성향’, ‘농촌 원주민의 지나친 공동체 생활 특성’, 귀농ㆍ귀촌인이 유발하는 갈등 요인으로는 ‘귀농ㆍ귀촌인의 개인중심적 성향’, ‘귀농ㆍ귀촌인의 기존 농촌문화에 대한 무시’, ‘농촌사회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갈등 요인에 대한 인식차이 중 농촌 원주민 유발 요인에 대해서 총 4개의 갈등 요인에 있어 농촌 원주민과 귀농ㆍ귀촌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농촌사회 문화에 대한 귀농ㆍ귀촌인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귀농ㆍ귀촌인이 농촌문화에 적응할 수 있는 발판이 필요함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가 대부분 귀농ㆍ귀촌인을 중심으로 드러나는 갈등 요인과 현상을 다루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농촌 원주민과 귀농ㆍ귀촌인 간의 역동적인 관계로서 갈등 요인을 풀어나 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Recently, the conflict between the locals and the migrants (returnees and newcomers) to the countryside has arisen as a new problem with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the migrants settling in the rural area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flict between these two groups, examining the causes of the conflict as well as their different perceptions for a solution to the dispute. As for the research method,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draw out the measuring variables, and surveys were done on both locals and migrants. It was discovered through the research that the causes of conflict created by the locals were their “cultural differences with the newcomers,” “adherence to the traditional values and conservatism,” “exclusiveness” and “overwhelming community spirit.” On the other hand, the causes from the migrants were their “self-centeredness,” “disdainful attitudes towards the rural community’s tradition,”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For the causes of conflict created by the locals, both groups showed perceptual differences on four of the causes that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rough this, it was considered and concluded that a measure was required to help the migrants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local society and culture and successfully blend into the communit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causes of the conflict to solve the problem by looking particularly at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most previous research has missed out.

      •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취약 국가의 피해 및 대응에 관한 연구

        유영민(Youngmin Yoo),윤초롱(chorong Yoon),이하나(Hana Lee),Jawon Lee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1 應用地理 Vol.- No.29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인명피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사례국가인 인도, 캄보디아, 필리핀의 주요산업이 농업이기 때문에 생존적인 문제와 직결되어 기후변화의 대응 필요성이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인도의 대표적인 재난은 가뭄 및 홍수, 폭풍이며 해수면 상승과 벵골만의 사이클론은 연안 지역의 피해를 증가시킨다. 캄보디아는 홍수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대부분이며 재해 취약 지역들의 주산업이 농업이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더욱 큰 실정이다. 필리핀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에 있어 폭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피해의 정도도 심각하다. 이러한 피해에 대한 각 국의 대응체계를 살펴보면 인도는 기후변화 자문위원회를 통해 정책을 수립하고 대응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으며 캄보디아는 재난 관리를 위한 국가 기후변화 위원회를 설립하고 날씨예보, 장기간 홍수를 위한 관리 및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필리핀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단체 간 위원회를 창설 하여 기후변화 적응에 대해 국가적인 레벨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사례지역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완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사회기반 시설의 부족 및 정책적 실효성 등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이에 국제적 관심과 원조로써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natural disaster hit with increasing frequency and intensity, especially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it is imperative to better understand how much natural disasters affect economies and their people. 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dia, Cambodia, Philippine. This country"s affected people rate and economic losses are very high relatively and most people engaged in agriculture. It is directly linked with matter of survival. So they are more necessary to respond on hazard natural disaster by climate chang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India’s typical disasters are drought, Flood and also sea level rise and cyclone from Bengal Bay are increased in coastal area. Cambodia actually experienced severe flood every year. Philippine has experienced disaster such as storm and the extent of the damage is serious. This countries are preparing disaster by climate change, India established climate change policy through climate change advisory conunittee and set up adaptation guideline. Cambodia try to mitigate disaster impacts and forecast accurate weather, manage the flood effect. Philippine also try to manage disaster by climate change and established policy at national level and found organization conunittee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lthough these countries have endeavoring for manage disaster with climate change, their social infrastructure and effectiveness of policy are limitation. So, they need to be an international humanitarian aid to reduce their negative disaster imp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