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recent avifauna of the central and eastern Civilian Control Zone near the Demilitarized zone in Repbulic of Korea

        유승화,김동원,문영민,이정연,최태봉 국립중앙과학관 2016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9 No.2

        Our survey of the avifauna in the ea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in 2012 and 2013 found a total of 14,390 individuals of 159 species belonging to 17 orders, 44 families and 88 genera. The 159 species of birds found in the central and eastern CCZ constitute 29.4% of the 540 bird species recorded in the Korean Peninsula, showing considerable biodiversity in the bird species that inhabit the surveyed regions. In the central CCZ, we found 9,916 individuals of 117 bird species. And in the eastern CCZ, 4,474 individuals of 127 species were found. There were a particularly large number of Gruiformes and Anseriformes because much of the CCZ, with the exception of mountain land, has been developed as reservoirs and arable farmland. Species diversity appeared high in mountain regions, while regions that included the coast and farmlands showed low diversity.

      • KCI등재

        20년간 철원평야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군 변화상

        유승화,이기섭,김수호,박용현,최진원,김진한,김화정,허위행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We have conducted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wintering population size, juvenile ratio, and family group number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the Cheorwon Plain from 2003 to 2022. The wintering number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s continued to increase except for some period, but increasing number of White-naped Cranes showed more drastic increasing than Red-crowned Cranes. As the number of wintering popul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family groups that could have regarded as breeding pairs along with the number of juveniles also increased. The juvenile ratio of Red-crowned Cranes was 19.8% (±3.1%) and that of White-naped Cranes was 17.0% (±3.5%). Among the family groups in each crane species, the number of family groups in White-naped Cranes contains more than one young bird showed a higher ratio, compared to Red-crowned Cranes. In this reason, population size of White-naped Cranes have shown more drastic increasing than that of Red-crowned Cranes in the Cheorwon Plain.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22년까지 철원평야 지역에서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군의 규모와 유조의 수, 가족군의 수 등 인구학적 변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지속적인 증가양상을 보였으며, 재두루미가 더 급격한 증가양상을 보였다. 두루미류에 있어서 월동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유조의 수와 함께 번식쌍으로 간주할 수 있는 가족군의 수 또한 증가하였다. 두루미의 유조비율은 19.8% (±3.1%), 재두루미의 유조비율은 17.0% (±3.5%)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유조비율은 중국의 개체군이 급격히 감소하기 이전의(1988년에서 1995년까지) 비율과 유사한 것이었다. 가족군 중 유조가 1개체 이상 있는 가족군의 수는 두루미 보다 재두루미가 더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재두루미의 경우 두루미 보다 유조가 1개체 이상 있는 가족군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지난 20년간의 재두루미 월동개체군의 급격한 증가 원인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UAV의 노즐과 분무 조건이 벼 포장 내 방제 성능에 미치는 영향

        유승화,이지근,강영호,이춘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Unmanned aerial spraying using a multicopter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its high work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e drift problem in aerial spraying, an air induction(AI) nozzle was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eld adaptability of the AI nozzle by analyzing its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unmanned aerial spraying in rice fields in various spraying condition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ree different flight speeds and three different flight altitudes with two types of nozzles(XR and AI) in rice fields. To evaluate the spraying performance, the coverage and penetration rates were measured by water-sensitive paper. Coverage with the AI nozzle was higher in all flight conditions. As the flight speed increased, the coverage of both nozzles decreased linearly. As the flight altitude increased, the coverage of both nozzles also decreased linearly. The penetration rate of the XR nozzl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AI nozzle. It was found that the AI nozzle had better spraying performance than the XR nozzle. In terms of flight speed and altitude, it is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spraying condition for work efficiency of the unmanned aerial spraying system within the limits. 최근 국내에선 멀티콥터를 이용한 무인항공방제가 높은 작업 효율과 작업 편의성으로 인하여 관심을 받고 있다. 무인항공방제의 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비산 저감용 공기흡입형(AI) 노즐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AI 노즐의 현장 적응성을 평가하고자 벼 포장에서 무인항공방제를 수행하면서 노즐과 분무 조건이 방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벼 포장에서 두 종류의 노즐(XR, AI)을 이용하여 3가지 비행 속도와 3가지 비행 고도에서 수행하였다. 방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감수지를 이용하여 피복률과 침투율을 측정하였다. 모든 비행 조건에서 AI 노즐을 사용한 경우의 피복률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비행 속도가 2m/s에서 4m/s로 증가함에 따라 두 노즐 모두 피복률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비행 고도가 2m에서 4m로 증가할 때도 두 노즐 모두 피복률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벼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 감수지를 이용하여 침투율을 계산한 결과 XR 노즐의 침투율이 AI 노즐보다 낮았다. 분석 결과 AI 노즐이 XR 노즐 보다 방제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비행 속도와 고도의 경우 제한 범위 내에서 작업 효율을 고려하여 적정한 분무 조건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전반적 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의 학습 시 일탈하려는 행동

        유승화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2000 특수교육 사례연구 Vol.6 No.-

        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들 대부분이 주의 집중력이 낮으며 특정한 행동에 집착함으로써 학습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기술 습득에도 큰 문제점이 되기 때문에 조기에 교육해야만 한다. 그리고 아동을 교육할 때에는 학교나 교육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만이 아니라 가정과 연계해 함께 아동을 지도해 나가야만 한다. 왜냐하면 아동은 대부분의 시간을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 보내기 때문에 가정에서 함께 지도해 나가지 않는다면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기 힘들고,교육의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왔다 하더라도 그 효과는 지속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박사학위논문 특별강연 : 인위적,기후요인이 철원지역 두루미류 월동개체수와 분포에주는 영향

        유승화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멸종위기종인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인간에 의한 교란에취약한 조류이다. 한국의 철원 비무장지대와 함께 민간인통제지역은 인간의 간섭으로 부터 보호되어 두루미와 재두루미에게 매우 중요한 서식지이다. 특히 철원지역은 넓은 농경지와 함께 간섭받지 않는 잠자리로 인해 두루미류의 가장중요한 월동지가 되어왔다. 하지만 민간인통제지역의 감소 및 방해요인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개발압력으로 인해 날로서식여건이 열악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가능한 서식지가 없는 관계로 철원지역의 두루미류 월동개체군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교란요인과의 절충양상 및 기후변화에 대한 서식조건 변화 반응은 관심의 대상이되어왔다. 본 연구는 철원 비무장지대 인근 민간인통제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와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인위적 요인들과 기후적 요인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루미류의 취식지 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인간에 의한직·간접적인 교란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네가지 주제가 있으며, 첫째로, 직접적인 교란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직접적 사고 및 밀렵 및 사람의 활동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간접적인 영향은 도로 및 인가, 잠자리, 군사시설 및 비닐하우스 등의 거리 및 밀도차이에 따른 두루미류의 밀도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영향력 및 범위를확인 하였다. 셋째로, 보전지역의 설정관리를 위해서 핵심지역의 선정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핵심지역으로 평가되는 민간인통제지역의 해제 전후를 비교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산업활동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는 기후변화의 양상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두루미류의 서식 및 월동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지 판별하고자 하였다. 2000년도부터 2014년 1월까지 철원 야생조수류 구조센터에서 확인된 두루미류의 사고사례는 총 47건 총 56개체이었으며, 두루미가 20건 27개체, 재두루미가 27건 29개체가 있었다. 사고의 원인은 충돌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았으며(42.9%), 이중 전선충돌과 철책충돌의 비중이 높았다. 다른 원인은 중독에 의한 사고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6.8%). 전체 사고의 유형 중 충돌 및 중독사고가 전체사고요인의 69.7%를 차지하여 매우 중요한 사고요인으로 나타났다. 두루미는 중독에 의한 사고가 40.7%로 많았다. 재두루미는 전선충돌의 사례가 34.5%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사고의 사망률은 88.1%로 매우 높았으며, 구조 후 생존확률도 78.3%가 사망하여 매우 치명적이었다. 두루미류의 개체수를 고려할 때 사고로 발견된 경우는 적은 편이지만,번식이 가능한 성조의 사망이 개체군에 영향을 주는 것을 고려한다면 적지 않은 수이고, 중독에 의한 사망 또한 비중이 높기 때문에 관리되어야 할 요인이었다. 전선충돌의 원인은 전선의 밀도와 지형적으로 높은 곳에 설치된 전선이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철책충돌은 평지에 설치된 철책보다는 두루미류의 잠자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대전차방벽위에 설치된 곳에서 발생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취식무리밀도는 인가지역과 가까운 곳에서 낮은 취식무리밀도를 보였으며, 2.5㎞ 구간까지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군사시설은 약 7-800m 까지 밀도가 증가하였고, 통행량이 높은 도로는2㎞ 구간까지 밀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인가지역과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가 두루미류의 취식밀도에 일정범위까지 악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와 잠자리로 부터의 거리, 비닐하우스의 밀도는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취식무리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에 인접한 곳은 간헐적 간섭으로 먹이자원이 보전되어 있어 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잠자리로부터 멀어 질수록 낮은 취식밀도를 보인것은 기존의 알려진 연구와 유사한 것이었다.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낮은 곳은 두루미류의 취식밀도가 공통적으로 높았으며, 비닐하우스가 20개소/㎢ 이상인 경우에는 취식밀도의 차이가 변화하지 않았다. 통행량이 낮은 도로의 인근에서는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도로가 인위적 교란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낮은 빈도의 교란에 대해서는 먹이에 의하여 적응이 가능한 것을 암시한다.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민간인통제지역 내에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두루미는 5배 이상의 밀도차이를 보여 민간인통제지역내의 농경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닐하우스에 의한 영향은 40개소/㎢ 이하인 경우,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높을수록 두루미류의 밀도가 낮게 나타났다. 두루미의 자연적요인과 인위적 요인에 의한 서식모델을 작성하였다. 단계선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용가능한 농경지의 면적, 거주주와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등이 변수로 채택되었다. 두루미의 취식모델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DEN_RCC=-1.40+3.4×AV_FE+1.27×N_RESIDEN-0.54×CCZ+0.4×N_HTR∴ AV_FE : Available feeding area (㎢)N_RESIDEN : Nearest distance from residentialarea (km)CCZ_0 : Civilian Control Zone, (Value =0 or 1, 0:inside the CCZ, 1: outside the CCZ)N_HTR : Nearest distance from high traffic volumeroad (km)재두루미의 두루미와 같이 이용가능한 농경지의 면적, 통행량이 낮은 도로와의 거리, 저수지와의 거리에 의해 서식모델이 만들어졌다. 결과적으로 두루미에 비하여 이용가능한 농경지의 면적에 민감하여 반응하였으며, 통행량이 낮은도로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DEN_WNC=1.02+9.0×AV_FE-5.47×N_LTR+0.49×N_Lake ∴ AV_FE : Available feeding area (㎢) N_LTR : Nearest distance from low traffic volumeroad N_Lake : Nearest distance from lake 결과적으로 두루미의 서식모델은 이용가능한 농경지의 면적에 크게 좌우되었으며, 거주지 및 통행량이 많은 도로와 가까울수록 밀도가 크게 감소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두가지 종 모두에서 모델에 의한 밀도추정값과 실제 조사된 분포자료의 밀도값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공통적으로 민간인통제지역 내부의 밀도 및 서식영역이 민간인통제지역 외부보다 높게나타났지만, 이러한 차이는 두루미에 있어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두루미의 민간인통제지역 내부의 밀도는 외부에 비하여 5.2배 높았으며, 재두루미의 경우는 2.2배높게 나타났다. 두루미류의 핵심서식지를 KDE방법으로 선정할 때의 띠폭 값은 LSCVh 보다 CVh 값이 더 적합하였으며, 5개로분리된 25㎢의 핵심지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LoCoH 분석을 통한 방법으로는 2개로 분리된 18.2㎢의 면적이 핵심지역으로 평가되어 KDE에 의한 방법보다 작게 설정되었다. 민간인통제지역의 대규모공사 및 개간공사는 인근의 핵심서식지를 위축시키고, 풍선효과와 같이 이웃하는 핵심서식지를 증대시키는 영향이 있었다. 민간인통제지역에서 해제된 곳은 대규모 비닐하우스의 건설이 집중되어 3배 이상증가하였으며, 두루미류의 취식영역은 감소하였다. 두루미의 취식밀도는 감소하지 않았고, 재두루미의 취식밀도는 증가하였는데, 이는 인근지역에서 실시하는 잠자리지역의 먹이공급 때문에 취식무리가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였다. 철원지역의 기온은 2002년부터 2007-08년도 월동기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며 2011-12년도 월동기에 가장 낮은온도를 보였다. 이와함께 온량지수도 유사한 증감의 경향을보였다. 신적설량은 2002년 이후 낮게 유지되었으나 2010-11, 2011-12년 크게 증가한 형태를 보였다. 눈 덮임의범위는 2002년부터 2005-06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2009-10, 2010-11년 월동기에 급격히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1월의 눈 덮임 범위가 넓을수록 감소하였으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화선형모델에 의한 회기분석에서는 두루미의 개체수가 눈덮임 범위가 넓을수록 많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재두루미의 경우눈 덮임의 범위 뿐 아니라 평균기온 및 평균최고기온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눈 덮임 등으로 감소한 재두루미의 개체수는 다른 월동지로 이동한 것으로, 재두루미의 또 다른 월동지인 일본의 이즈미시의 개체수와 철원의 개체수는음의 상관관계를 가져 서로 연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농업지역의 부산물을 이용한 서식여건과 함께 다양한 교란요인 속에서 절충을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그중 두루미는 대체가능한 서식지가 없는 상황에서 최근 월동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추가적인 서식지 상실, 교란요인 증가 및 기후변화에 의한 재두루미 월동개체수 증가는 두루미의 월동개체수 감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