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르완다 종족갈등 이후의 성평등체제 구축과정

        유숙란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2006 아시아여성연구 Vol.45 No.1

        르완다의 종족갈등은 후투족과 투치족 남성간의 폭력만은 아니었다. 투치족 여성은 투치족이면서 아울러 여성이기 때문에 인종학살의 표적이 되었고, 인종학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종족갈등의 주 희생자였던 여성은 갈등 이후 재건과정에서 화해와 재건의 중심세력이 되었다. 인종갈등의 희생자이며 목격자인 여성문제의 해결이 재건과정의 주요내용이 되어야 했다. 즉 재건과정에 젠더가 고려되지 않고는 재건의 의미가 무의미하며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종족갈등은 성평등 체제가 구축될 수 있었던 대내적인 계기가 되었다. 'RPF(Rwanda Patriotic Front) 정권'과 '여성운동의 삼각 동맹' 및 '국제사회의 규범'은 과도정부의 성평등 체제형성에 관여한 주요 행위자이다. 이 세 행위자의 이해관계에 의해 여성은 르완다 재건의 중심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었으며, 보다 적극적으로 성평등 체제를 형성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단기적으로 가장 신속하게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이루어냈다. 르완다의 1994년 인종학살 이후 2003년 새 헌법이 채택되기까지의 과도기간을 성평등 체제의 재편 기회로 보고, 성평등 체제의 개편에 기여한 주요 행위자를 중심으로 성인지 헌법(gender sensitive constitution)과 성 할당제가 도입되어 성평등 체제가 구축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헌법상 할당제를 도입함으로써 2003년 최초의 의회선거에서 여성은 단 한번에 48.8%를 확보함으로써 여성의원비율 세계 1위를 기록하면서 양적인 성평등 체제를 구축하였다. The ethnic conflict of Rwanda changed the traditional gender relation and made women participate in the reconstruction and reconciliation after the genocide of 1994. The conflict was gendered in the perspective that women were not only the victims of genocide but also perpetrators in the genocide. So Gender should be accounted in the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and reconciliation. Without considering gender, the reconstruction will be impossible. The ethnic conflict of 1994 was a momentum for introducing a gender equality system with gender-sensitive constitution and gender quotas. The period from the year of 1994 genocide to the year of 2003 which inaugurated new republic with the new constitution is an opportunity for women in Rwanda to correct the patriarchal society and introduce gender equality system. The major actors are the triangle of Women's movement, RPF regime and international norms of gender equality including CEDAW and Beijing Action Plan. The triangle of women emerged as a pivotal actor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 making and adopting gender quotas with the support of the RDF and the international norms. With adopting gender sensitive constitution and gender quotas, the ratio of female representatives in the parliament of Rwanda was 48.8 percent in the election of 2003. The election made the Rwanda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in the perspective of ratio of Women's representative in the parliaments.

      • KCI등재

        이주자 통합정책 유형과 통합정책 전환에 대한 분석: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숙란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1 국제지역연구 Vol.20 No.2

        In the context of recent retreats from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many EU countries, especially Sweden and the Netherlands, this paper seeks to suggest an immigrant integration typology based up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conceptual communities and the citizenship rights of each community member. On the vertical axis of the typology, there are three different conceptual spaces in the territorial boundary of states: ethnic-cultural community, civic community, and political community. Each community gives its members cultural rights, civic and social rights, and political rights, respectively. On the horizontal axis, the typology has eight ideal types that a state can choose as an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They range from the non-policy type to the full inclusion type. This paper shows that the recent policy shift from multiculturalism to new integration policies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is a transition from a policy where a state grants immigrants cultural rights as members of the ethnic-cultural community into a policy where a state grants immigrants civil and social rights as members of the civic community. Based on this assessment, the paper argues that a policy that encourages immigrants to belong to their own ethnic-cultural community and a policy that stimulates each individual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the civic community are not mutually exclusive. Both policies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nation state. In that sense, states are still important actors that make and implement national integration policies and grant immigrants partial rights of citizenship. 최근 유럽 지역에서 다문화주의 정책을 실시하였던 국가의 통합정책이 동화주의 정책 혹은 새로운 ‘시민 통합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평가되면서, 통합 정책 유형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통합정책과 정책 전환 과정을 이주자에게 허용하는 권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통합정책이 일어나는 공간적 영역을 종족-문화공동체, 시민 공동체, 정치 공동체로 구분하고, 각 공동체별로 구성원에게 허용하는 주요 권리를 문화적 권리, 시민적-사회적 권리, 정치적 권리로 세분하여, 8개의 이념형을 제시하였다. 스웨덴과 네덜란드는 1970~80년대 다문화주의 정책을 채택한 이후, 1990년대 새로운 통합정책으로 정책 전환을 하였는데, 이는 과거 이주자를 집단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이들의 집단적 권리를 인정한 정책에서, 이주자 개개인을 시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포용하고, 이주자 개인에게 시민적-사회적 권리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전환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종족-문화 공동체 영역에서 집단적 권리인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는 통합정책과 시민 공동체 영역에서 개인을 대상으로 시민적-사회적 권리를 부여하는 통합정책이 상호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국가라는 틀 안에서 조화롭게 추구될 수 있는 관계임을 밝혀 보았다.

      • 1955년 광주 계소동을 통해 본 젠더관계

        유숙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6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9 No.1

        한국 전쟁 후 야기된 1955년 '계소동'과 이에 대한 국가의 대응방법을 통해서 당시의 젠더화된 국가의 모습을 재현해 볼 수 있다. 당시 광주를 비롯한 전국적인 계파탄의 원인은 경제정책의 실패에 기인한다.

      • KCI등재

        A Study on Restructuring of Gender Inequality during the U.S. Occupation Period in Korea and Japan

        유숙란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6 Asian Women Vol.22 No.2

        In the post war of the U. S. Occupation period, Korea and Japan created new power structures and gender structures through making new constitutions and election laws respectively. The U. S. Occupation authorities interven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s and election laws of Korea and Japan, and wanted to transplant its democratic institutional forms in its occupied countries. During the constitution-making process, there was some enhancement in gender equality both in Korea and Japan.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explores the processes of establishing gender structures in the constitution and election law making of the occupation period. Second, it illuminates the main actors that joined in forming a gender equality structure in both countries. Finally, it sheds lights on the roles of the Occupations in granting women’s suffrage and equal rights through constitution and election laws.

      • KCI등재

        한국, 스웨덴, 독일의 성매매 정책 결정과정 비교분석

        유숙란(Yoo Sook-Ran),오재림(Oh Jaelim),안재희(Ahn Jae-Hee)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4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금지주의, 신근절주의, 합법화를 대표하는 한국, 스웨덴, 독일의 성매매 정책이 결정된 원인을 밝히기 위해, 세 국가의 성매매 정책 결정과정을 성매매 프레임의 논쟁과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스웨덴에서는 성매매 문제를 공론화시킨 여성세력의 젠더 프레임이 이후의 성매매 논쟁구도의 틀을 결정한 반면, 독일은 성매매자 조직의 반차별 프레임이 성매매 논쟁구도를 결정하였다. 둘째, 한국과 스웨덴에서는 ‘도덕 對 젠더’ 프레임의 경합으로 논쟁이 전개된 반면, 독일은 ‘도덕 對 반차별’ 프레임의 경합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한국은 ‘초당적인 여성의원의 연대성’에 의해, 스웨덴은 ‘여성 의원의 제한적인 연대성’에 의해 공론화 집단의 법안이 통과된 반면에, 독일은 사민당/녹색당 정부의 다수에 의해 법안이 통과되었다. 넷째, 여성세력이 성매매 정책을 주도한 한국과 스웨덴은 성평등 정책과 성평등 국가의 맥락에서 성매매법이 제정된 반면, 성매매자 조직이 성매매 정책을 주도한 독일의 경우는 보편적인 사회 복지정책의 맥락에서 제정되었다. 분석을 통해 성매매 정책 결정과정에서 기존의 지배 프레임에 대한 대항프레임의 성공적인 공론화의 필요성, 여성세력의 연대성의 구축, 성매매 프레임에 대한 열려 있는 논쟁 등을 통해 성평등 정책과 일치되는 성매매 정책의 수립 및 성매매의 제도화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arts with the question why three different prostitution policies, characterized by prohibitionism, neo-abolitionism and legalization, were made in Korea, Sweden and Germany under the context of restructuring gender regimes since 1990s. To find out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countries' prostitution policy making processes focusing on prostitution frame debates among the major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with different frames such as moral, gender and anti-discrimination. The paper shows four major findings. Firstly, the prostitution frame of actors who made the prostitution problem as a public agenda decides the major debate structure in the public debate and parliamentary debate stages. Secondly, the prostitution policy making was led by women's power with gender frames in Korea and Sweden, but by Hydra, prostitute self supportive group with anti-discrimination frame in Germany. Thirdly, in the parliaments, the new prostitution bills were passed with solidarity of female representatives across party lines in Korea, with limited female solidarity in Sweden, and with just simple majority of red-green parties, without such female solidarity in Germany. And lastly, the prostitution laws which were proposed by women's power with gender frames were debated and made in the context of the gender equality states like in Korea and Sweden, but the law presided by prostitutes groups with anti-discrimination frame, in the context of general welfare state such as in German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final laws in three countries reflect the frame of the groups who made the prostitution issue as a public agenda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prostitution debate spectrum to include all frames and voices which have been exclud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And this will contribute to leading the way to make prostitution policy as one of gender equality policies in the gender equality state.

      • KCI등재

        광복 후 국가건설과정에서의 성불평등구조 형성

        유숙란(Sook-Ran Yoo)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2

        1945년에서 1948년까지의 3년은 일제 식민지배에서 광복을 되찾고 근대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국가형성과정이며 일종의 ‘이행기’에 해당된다. 이 3년간의 이행기는 보통선거법(국회의원선거법)과 국가의 근본규범인 헌법을 작성하는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권력구조의 근본 틀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였다. 이러한 이행기의 권력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젠더가 어느 정도로 인식되고 반영되었는지를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가형성기에 여성의 참정권과 남녀동등권 조항이 선거법과 헌법 작성과정에서 여성이 배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형식적인 명동조항의 삽입에 불과하였고 실질적인 평등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기존의 성불평등구조가 근본적으로는 개선되지 않았음을 밝혀보았다. 사실상 불평등한 선거방식에 의해 과도입법의원과 제헌의회가 구성되었으며, 그 결과 여성이 거의 배제된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선거법과 헌법이 만들어졌다. 1947년 과도입법의원의 선거법작성과정에서 최초로 여성의석 특별할당제라는 당시의 상황으로서는 획기적인 제안이 4명의 여성의원에 의해 추진되었지만, 객관적인 평등을 주장하는 분위기에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여성의원이 한명도 진출하지 못한 제헌의회의 헌법작성과정에서는 남성의원의 시각에서 실질적인 남녀동등권을 위한 조항이 삽입되었지만 가부장적 구도를 극복하지 못한 한계를 보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From 1945 to 1948 was the time of nation building after it was emancipa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ower. This transitional period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period which determined the basic frame of power structure. Thus,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gender was recognized and reflec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ower structure during such a transitional period. As the very start of inequality, the election of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in 1946 allowed the voting rights only to the heads of households, disregarding the regulation of the election law that took the gender equality into accounts; it ended up excluding women from the election. As a result, none of the 45 assemblymen elected by popular votes was woman, and it was beyond their capacity to insert any special provision of reserved seats for women in drafting general election law with only four appointed female members. Then, there was no room for the gender-sensitive provisions to be considered in drawing up the constitution when they were drafted by all male members of the first national assembly in 1948.

      • KCI등재

        지방 정치공동체 구성원과 지방 선거권

        유숙란(Sook-Ran Yoo),오혜진(Hye-Jin Oh)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2

        이 글은 국가 수준의 정치공동체 개념과 시민권 개념을 분해하여 비국민인 외국인의 지방 선거권이 국가 시민권(national citizenship)의 지위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지방 정치공동체 소속원의 지위에서 나오는 것임을 밝혀보았다. 정치공동체와 시민권 개념을 모두 세분해서 보는 인식 틀에서는 외국인에게 지방 선거권을 부여하는 정책이 상대적으로 쉽게 허용될 수 있는 반면, 정치공동체와 시민권을 민족국가의 틀 안에서 단일한 것으로 보는 인식 틀에서는 외국인에게 지방 선거권을 부여하는 정책이 쉽게 산출될 수 없음을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한국에서는‘지방 정치공동체와 지방 시민권’을‘국가 정치공동체와 국가 시민권’과 구분하여 보는 인식이 지배적인 인식 틀로 받아들여졌고, 이 문제를 둘러싼 뚜렷한 정치적 균열구도가 없는 상태에서 비교적 쉽게 영주권자에게 지방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반면 일본은 지방 정치공동체와 국가 정치공동체를 동일하게 보고 국민과 주민을 하나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인 인식 틀로 구축되어, 대항적인 인식 틀과 팽팽하게 대립하며 정책 논쟁이 전개되고, 이 문제를 중심으로 정당간 균열구도가 첨예하여, 현재까지 영주권자에게 Since Korea and Japan agreed to grant resident aliens local voting rights, Korea passed the law in 2005 and Japan failed to pass the law. Assuming that national political community can be differentiated into multi-layered local political communities, this paper asserts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of the dissimilar policy outputs in Korea and Japan is the different percep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and local political communities, and between‘ people’and‘ residents.’ In the public and parliamentary debates on the issue, the dominant perception of Korea is that local community is an independent political space from national political community and thus, all residents including aliens and nationals are equally eligible for members of local community where they reside. Therefore, the resident aliens have the rights to participate into local policy making process. In contrast, Japan undergoes inter and intra party conflicts on this issue. The dominant perception of Japan is that local political community is a subordinate part of national one and thus at a single political community in a territorialized state, only the nationals are eligible for members of local community. Accordingly, the resident aliens cannot have local voting rights as long as they are not naturalized in Japa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