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 척도 조사

        유민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nguage proficienc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language environment offered by their mothers.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surveys, interviews, and standardized language development tests among 2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their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70%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 the normal category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30% of them experienced some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The following scenarios of mothers’ language use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dentified: 1) the mother mainly speaks her native language, 2) the mother speaks Korean, and 3) the mother speaks a balance of her native language and Korean. In the second scenario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tended to be slightly retarded due to the mother's poor Korean proficiency. In the third scenario as well, there was a slight lag in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 linguistic confusion caused by a bilingual environment. These results show that mothers' language 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greatly influence their children, and that mothers’ continuous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support and help from family members are necessary for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mong children.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내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 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능력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인터뷰, 표준화된 언어 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가정 내에서의 언어 사용 환경을 분석하였고, 그들의 자녀를 대상으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언어 발달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 발달은 70%가 정상 범주에 속하였고, 30%는 약간의 발달 지체 현상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사용 환경에 따라, 1)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2) 어머니가 한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3)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경우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2)의 경우 어머니의 서툰 한국어로 인해 아동의 언어 발달이 약간 지체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3)의 경우 이중언어 발달 과정에서 겪는 언어적 혼란으로 약간 지체 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내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언어 사용 환경이 그들의 자녀에게 많은 영향을 주며, 그들 자녀의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과 가족 구성원의 지지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나름'에 대한 새로운 고찰

        유민애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7 No.-

        이 연구는 다양한 언어 자료에 대한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나름’의 문법적 지위가 변화해 왔음을 확인하고, 그러한 변화를 한국어 사전과 교재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국어사 문헌 자료와 현대 국어 말뭉치 자료에 제시된 ‘나름’을 분석하여 부사 ‘나름’의 형성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어사 자료에서 ‘나름으로’, ‘X 나름이-’ 형식은 19세기 말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1960년대 이후 ‘나름대로’ 형식의 출현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명사+조사’의 통사적 구성인 ‘나름대로’가 하나의 부사로 어휘화했을 것으로 보이며, 어휘화한 부사 ‘나름대로’는 처음에는 사전상의 의미 그대로 방식부사로만 쓰이다가 평가부사의 용법을 획득하게 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 교재와 사전을 분석한 결과 ‘-기 나름이다’, ‘-ㄹ 나름이다’, ‘명사+나름이다’ 등의 용법만이 한국어 교재와 사전에 제시된 반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나름’의 부사적 용법을 스스로 인지하여 자연스럽게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나름’의 문법 정보와 실제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한국어 교재와 사전에서 ‘나름’의 문법 정보에 ‘나름(대로)’의 방식부사와 평가부사 용법과 그 의미를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의 오류 원인 분석

        유민애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auses of errors in the connective ending ‘-neunde’ used by Korean learners. First, w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and classif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neunde’. In other words, there is a ‘introduction function’ that relates the following clause and there is a main meaning of ‘background or situ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secondary meaning is ‘opposition’. Then, Korean learners error corpus data were classified into morphological errors(predicate use error), syntactic error(tense error), semantic error(similar semantic confusion error, use avoidance error), and cau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similar mean confusion error(154 times)’ was the highest frequency at all levels, and the connective ending type showed the most frequent confusion with ‘-a/eoseo’. The reasons for this are not only the fact that they do not distinguish them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y also tend to misunderstand them as a reason in a state where they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background or situ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useful in teaching and learning of ‘-neunde’, and effective education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future. 본 연구는 연결어미 ‘-는데’1)를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의 유형과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 연구를고찰하여 ‘-는데’의 의미와 기능을 재분류하였다. 즉, ‘-는데’절은 후행절을 관련시키는 ‘도입 기능’이 있고, 맥락에 따라 ‘배경 또는 상황’의 중심 의미가 있으며, 중심 의미가 유지된 채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대립’ 등의 부차적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 오류 말뭉치 자료를 통해 형태적 오류(선행 용언 활용 오류), 통사적 오류(시제 제약), 의미적 오류(유사 의미 혼동오류, 사용 회피 오류)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 고급 단계에서 ‘유사 의미 혼동 오류(154회)’가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고, 연결어미 유형에서는 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아/어서’와 가장 많은 대치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교재에서 제시하는 ‘배경 또는 상황’이라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이를 이유나 원인으로 오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선행절에 분명한 이유를 제시할 때는 ‘-는데’와 대치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교육내용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는데’의 교수 학습에 유용한 문법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Lexical Bundles in Native and Non-Native Argumentative Writing Using Hedge

        유민애,홍고은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5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age of hedges among native and non-native argumentative writing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Korean hedge education. Hedges serve as linguistic devices employed for persuasion strategies in argumentative texts, yet even advanced learners encounter challenges in their usage. The study focused on the frequency of seven hedges (Avoiding accuracy, Preventing generalization, Passive attitude, Subjective attitude, Connotative expression, Relaxing performativity, Relaxing pressure) in both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Corpora. Additionally, it delv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hedges, including ‘-(으)ㄹ 수 있(없)다,’ as used by learne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learners predominantly used ‘-(으)ㄹ 수 있(없)다’ on its own, relying on expressions learned at an earlier stage when constructing a lexical bundle that included ‘-(으)ㄹ 수 있(없)다.’ In contrast, native speakers demonstrated a more intricate usage, combining ‘-(으)ㄹ 수 있(없)다’ with other hedges like ‘-(으)ㄹ 수 있을 것이다’ and ‘-(으)ㄹ 수 있을 것으로/것이라(고) + thinking verb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malgamation of hedges poses a challenge for Korean learners. However, recognizing that the use of lexical bundles is integral to writing fluency, it is imperative for advanced learners to undergo training in employing lexical bundles with hedges.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의 보고서에 나타난 자료 사용 양상

        유민애,박형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3

        본 연구는 바람직한 자료 사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자료 통합적 글쓰기의 대표적 장르인 보고서를 중심으로 실제 외국인학부생의 자료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A 대학교에서 2021년 1학기 <글쓰기> 교양과목을 수강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학부생 보고서 자료 27편을 대상으로 자료 사용 양상과 인용 방식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료 통합적 글쓰기의 측면에서 전체 글에서 자료 이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31.38로 나타났는데, 상 집단의 보고서일수록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였고, 그 사용 빈도도 높아졌다. 그리고 외국인 학부생이 사용한 인용 방식별 비율을 살펴보면, 직접인용보다 간접인용의 방식이 선호되었다. 그러나 이 결과는 ‘부적절한 간접인용’의 오류, 즉 직접인용에 가까운 간접인용 방식을 취하는 오류가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는 점에서 외국인 학부생들이 직접인용의 방식을 절대적으로 선호한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부적절한 간접인용의 오류는 표절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출처표시에 따른 인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쓰기 윤리 교육을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e of source text in reports prepared by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in integrated writing courses. For this purpose, 27 reports, obtained from advanced-level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liberal arts course (Writing) in 2021, were analyzed for citation err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on average, 31.38% of the text in the reports was found to be borrowed from the source text. The bigger the group, the more diverse were the reference materials used, and the frequency of use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 of reference materials affected the quality of reports, b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Notably, regarding the ratio of citation styles used by foreign undergraduates, on average, indirect citations were preferred over direct citations. However, it cannot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that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preferred the direct citation style, as the error in citation can be attributed to ‘inappropriate indirect citation’, that is, the error of making an indirect citation in the form of a direct citation and the frequency of this error was high.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pertaining to ethics in writing should be strengthened to help students correctly cite their source, since an inappropriate indirect citation can be indicative of plagiarism.

      • KCI등재

        언어학습자문학이 읽기 이해 및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민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어 교육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tudents can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in Korean by comprehensible input modification. To meet the goal, language learner literature was made and experiment has been run four times from May 7 to June 8;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itially,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s possible by us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Whil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had been taken place just 10 times(2.0%) among the control group during reading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had mad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40 times(8.0%). Therefore language learner litera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Secondly, it is possible to acquir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us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as comprehensible input(i+1) mechanism. At the beginning, the language level of the controlled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difference of 34 words; however, at the end, their score was narrowed down to 2.8 poi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봄밤> vocabulary list and summary a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36 and the control group scored 44. Thus, this study emphasized the language learner literature as one of the ways to pursue the integr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장르-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논리적 응결 장치를 중심으로 -

        유민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본 연구는 장르-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 내용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주 장하는 글을 대상으로 문법 교육 모형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기존의 문장 단위의 문법 교육에서 벗어나 장르와 연결하여, 실제 텍 스트에서 생산된 언어 형식에 초점을 두어 문법 지식의 유용성을 확보 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표현 의도에 따른 적절한 문법 형식 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장하는 글로 한정하여, 텍스트 생산자가 논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논리적 응결 장치를 사용하는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실제 주장하는 글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 모어 화자는 ‘시간 > 나열 > 인과 > 목적 > 대조’의 순 으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나열 > 조건 > 인과 > 시간 > 대조’의 순으로 응결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외국인 한국 어 학습자는 지나치게 하나의 응결 장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문장 을 단조롭게 하였고, 고급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복문의 사용 빈도가 낮았다. 이와 같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에 맞는 적절 한 문법 표현을 선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두 집단 간의 텍 스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장하는 글 쓰기 교육의 내용을 제언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139-166. This study considered the necessity of the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genre-text and it suggested a grammar educational model by using argumentative writing. This model, unlike the traditional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sentence unit, connects with the genre and focuses on language form from the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s, so that it can secure the usefulness of their grammatical knowledge, and it ultimately can help students to express by using appropriate grammatical forms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ntion to express. In this study, it compared argumentative writings of foreign Korean learners with those of Koreans in order to reveal what kind of logical cohesive device the writers use to ensure their logic. As a result, there existed difference between their use of cohesive devices; Koreans use ‘Time> Lists>Cause and effect>Purpose>Contrast’ and foreign Korean learners are ‘Lists>Conditions>Cause and effect>Time>Contrast’ in order of frequency. It was also found that foreign Korean learners use excessively monotonous sentences by using the same cohesive device repeatedly, and there was low frequency of using complex sentences even from the writings of advanced learners. Thus,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choose the appropriate grammatical expr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ntion, so that this study suggests writing educational content of the argumentative writings for foreign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 of the text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무브 분석을 통한 내러티브 텍스트의 문법 기능 고찰

        유민애 이중언어학회 2015 이중언어학 Vol.59 No.-

        Yu Minae. 2015. 6. 30. A Study on Func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Grammar of Narrative Text Using Move Analysis. Bilingual Research 59, 141-1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ammar contents by func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text of a specific genre. The study distinguishes the text structur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using corpus analysis(bottom-up approach) and the move analysis(top-down approach) by establishing the actual narrative text written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used Move 2 (background), Move 3 (episode), and Move 5 (epilogue) as essential pattern types of the Move structure.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that non-native Korean speakers frequently used Move 4 which represents the author’s feelings about an event or condition as opposed to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Korean native speakers used standardized grammatical expressions from each Move-type compared to non-native Korean speakers who seemed to have similar usage to their counterparts but showed some differences in Move 2, Move 3, Move 4, and Move 5. Thus, an integrated text structure and grammatical expression according to function are presented based on the usage differences the two groups showed. In other words, educational content of the structural level is divided into ‘basic structure’ and ‘optional structure’ for learners to cognitively distinguish the two, and the narrative genre in the grammatical level has a descriptive function so that time and space can be expressed by using the grammatical expression ‘-(으)ㄹ 때’ as well as background can be expressed by using the grammatical expression ‘-(으)ㄴ데’ are presented.(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