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공격행동 및 비행의 관계: 공격신념의 매개효과

        유미숙,정유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이 공격신념을 통해 공격행동과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경남 소재의 중학교 2개교, 인문계 고등학교 2개교, 실업계 고등학교 1개교에서 만 15세 이상 청소년으로부터 68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 21.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족기능→공격행동, 가족기능→ 비행으로 가는 직접경로가 제외된 경쟁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과 공격행동 및 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격신념은 가족기능과 공격행동, 가족기능과 비행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또한 가족기능과 비행과의 관계에서는 공격신념의 매개효과뿐만 아니라 공격행동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기능→공격신념→공격행동→비행의 순차적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이 결과는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고 치료적 개입을 할 때, 가족치료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공격신념과 공격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들의 순서로 개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not only on link between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and aggressive behavior but also on link between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and juvenile delinquenc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7 students ranging in age from 15 to 18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not only on link between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and aggressive behavior but also on link between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and juvenile delinquency were supported. Third, the pathways of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to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were supported. Lastly,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놀이치료사가 지각한 자기효능감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유미숙,전정미,백소윤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사 98명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성향이 치료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척도의 Cronbach α 계수, 빈도와 백분율, 단계적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성향 (반항적-불신적, 독립적-책임적)보다 치료관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더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치료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성향(지배-우월, 경쟁-공격, 과시-도취 성향)이 중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치료사가 치료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통찰력을 지니고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 가치와 윤리 등 상담자로서의 자질과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ercise collected relevant data by surveying ninety-eight play therapists.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and this was followed by Cronbach α Factor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erapist's self-efficacy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than the resistant-distrustful and independent-responsibility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Secondly, the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e and effect associ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for play therapists to development stronger therapeutic relationships understanding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 and using this understanding to develop insight and to foster quality and professionalism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qualities values and ethics as a therapist are necessary.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성향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미숙,임혜인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of the play therapist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in the play therapy perceived by children and play therapi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98 pairs of play therapists and child clients. We found that the higher levels of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in using micro-skills and in processing therapy process, the higher level of therapy relationship was perceived. Also, the lower level of resistant-distrustful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the therapists showed, the higher level of clients'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ir therapist was found. Finally, with play therapists who has lower competitive-aggressive, ostentation-intox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the child clients showed to have lower level of therapeutic helping relationship. Therapist's self-efficacy in using micro-skills and their resistant-distrustful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were found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rapeutic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내담아동과 치료자 총 98쌍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성향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치료자의 세부상담기술과 상담과정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은 협력적 치료관계를 높게 지각하며, 세부상담기술이 높은 치료자와 아동은 긍정적 감정관계를 강하게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 중 반항적-불신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이 치료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가지고, 경쟁적-공격적 성향이 높을수록 치료자는 아동이 치료에 협력적이라고 지각하며 과시적-도취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이 치료에 협력적이라고 지각한다. 또, 사교적-우호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은 부정적 감정관계를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성향의 하위변인 중 치료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세부상담기술과 반항적-불신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즉, 치료상황에서 핵심 기술과 적절한 개입능력의 세부상담기술을 갖춘 치료자와 대인관계에서 우호적이며 신뢰로운 성향이 높은 치료자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어려운 내담자와도 치료적 협력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유미숙,장경선,한영신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rategy on the specific components and parents counseling proces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 as a therapist in the counseling of parents regarding. Ten playtherapists who were fully qualifi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have had, on average, 10 years experience supervising counseling trainee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he analyses included 4 domains and 9 categories; the result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itial parent counseling of playtherapist'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included knowledgable factors, emotional factors. Initial parent counseling of parental influencing characteristics include knowledgable factors, emotional factors, environment factors. Second, parental consultation development and performance-related factors include 3 factors: knowledgable factors, emotional factors. Fourth,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appropriate and effective parent consultation included 2 factors: educational factors and therapeutic factors. This study is important in couseling parents for parent counseling on the overall has significance experience through vivid reporting elements and techniques in play therpy. 본 연구는 놀이치료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상황과 생각을 알아보고자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놀이치료학회에서 인정하는 놀이치료 전문가 자격증 및 놀이치료사 자격증 소지자와 10년 이상 놀이치료 경험을 가진 자 10명을 연구 참여자들의 표집 틀로 구성하고 놀이치료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비구조화된 면접을 2차에 걸쳐 실시한 후 이들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하여 최종 4개의 영역과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연구결과 첫째, 초기 부모 상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에서 치료자 요인에는 지식적 측면․정서적 측면을, 부모요인으로는 지식적 측면․정서적 측면․환경적 측면을 중요한 요소로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가 높은 성과를 위해 알고 다루어야 할 것은 모두 치료자 요인이며 지식적 측면, 정서적 측면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셋째, 부모 상담 시 적절하거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던 방법이나 기법도 모두 치료자 요인에 속하며 교육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에서 부모 상담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에 대한 생생한 보고를 통해 부모 상담에 중요한 요소들과 기법들을 알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동전’을 활용한 수학적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미숙,김용미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경제활동 도구로 쓰이는 ‘동전’을 활용하여 수학적 의미를 구성한 활동이 유아들의 수학적 태도와 수 연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 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만5세 두 개 반을 선정하였고, 주간교육계획안 을 통하여 유아1인당, 500원짜리 동전 4개․100원짜리 동전 5개․50원짜리 5개․10원짜리 10 개 동전을 활용한 활동을 실험 집단 유아들에게 약 2개월 동안 주 2회씩 15개의 활동을 적용하 였고, 비교집단과 함께 사전․사후를 검사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동전 수학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수·조작 영역에서 활동을 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수학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동전 수학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수․조작 영역 활동을 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수와 연산 이해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경제활동 도구인 ‘동전’을 활용한 수학 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 연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활동에 꼭 필요한 ‘동전’이라는 도구는 유아들의 수학 태도와 수 연산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에서의 수학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y constructing mathematical meaning using an economic activity tool, ‘coin’,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arithmetic ability. Study subjects were two 5-year-old classes (26 children each) at the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15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coin’ were constructed and applied to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approximately 2 months, and results were drawn through a preliminary and post-tests along with the comparison group. As a resul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al activity using an economic activity tool, ‘coin’,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mathematical attitude and arithmetic ability than then comparison group. Such result implies that ‘coin’, which is essential in economic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improving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 and arithmetic ability.

      • KCI등재

        동기유발(ARCS)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이 학습동기 및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미숙,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 toward the subject. To accomplish the purpose, teaching-learning pla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as developed an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5 2nd grade male students randomly chosen from four classes at a middle school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the 5th period instruction about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environment’unit, 76 students of two classes as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hile 79 students of two classes as a comparative group took lecture typ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1.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ecture type instruction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positive change in academic attitude toward Home Economics subject. 2.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as effective to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regardless of their levels of students prior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3.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as effective to positive change in academic attitude toward Home Economics subject regardless of their levels of students prior learning achievement and at the aspect of prior motivation to learn, the high level stud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low level students. 4. According to responses of students and teacher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it was effective to improving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가정교과의 ‘자원의 활용과 환경단원을 중심으로 Keller의 동기유발(ARC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이 수업이 가정과 학습동기 및 가정교과태도에 효과를 주는 지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성적수준 및 동기수준에 따라 가정과 학습동기와 가정교과 태도에 효과를 주는 지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 Posttest Design)이다. 본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으로 4개 학급 남학생 155명(실험집단 2학급 76명, 비교집단 2학급 79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1학기말 가정교과 성적의 학급 평균이 비슷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학급으로 선정하였다. 수업 방법에 따른 효과 검증에서 교사 변인을 최대한 통제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수업을 한 명의 가정과교사가 모두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동기 검사도구는 Keller(1987)가 개발한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박수경(1998)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과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는 이희애(2001)의 도구와 황옥주(2001)의 도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개발하였다. 동기유발(ARCS) 전략을 적용하여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은 중학교 2학년자원의 활용과 환경단원으로 5차시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전체 가정과 학습동기, 하위요소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학습자의 가정교과에 대한 태도 및 그 하위영역인 흥미도, 자신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학습자의 성적수준이나 동기수준에 관계없이 강의식 수업보다 학습동기나 가정교과태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