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국내 농식품유통 연구동향 분석

        유리나(Li-Na Yoo),황수철(Su-Chul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이 연구는 1984~2015년간 국내 농식품 유통분야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분석결과이다. 텍스트마이닝은 빅데이터 분석방법의 일환으로, 많은 정보를 객관적으로 처리하여 연구주제 분류와 트렌드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실제분석에는 빈도분석, 토픽분석, 연관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는 농업부문 4개 학술지 수록논문과 연구보고서 중 농식품 유통 관련 연구 제목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농식품 유통분야의 논문 1,126건은 6개 주제로 분류되었다. 2000년대를 기점으로 이전에는 도매와 산지연구가 활발했던 반면 이후에는 소비, 식품, 수출입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컬푸드와 학교급식 영역의 연구가 증가했다. 농산물 수급연구는 정책 연구보고서에서만 주기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학술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관심주제에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대 이후로는 특히 소비연구가 주류를 이루었고, 크게 소비트렌드와 소비자 행동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더 정확한 연구동향 분석을 하기위해서는, 정밀한 주제 분류기법으로 방법론을 보완하고 이용 자료를 키워드와 논문초록으로 확대함으로써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agricultural and food marketing studies from 1984 to 2015 using text-mining techniques. Text-mining is a part of Big-data analysis, which is an effective tool to objectively process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based on categorization and trend analysis. In the present study, frequency analysis, topic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s were conducted. Titles of agricultural and food marketing studies in four journals and reports were used for placing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126 total theses related to agricultural and food marketing could be categorized into six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research trends before and after the 2000s. While research before 2000s focused on farm and wholesale level marketing, research after the 2000s mainly covered consumption, (processed)food, exports and imports. Local food and school meals are new subjects that are increasingly being studied. Issues regarding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were the only subjects investigated in policy research studies. Interest in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was lost after the 2000s. A number of studies after the 2010s analyzed consumption, primarily consumption trends and consumer behavior.

      • KCI등재

        단감의 생산요소 수요구조분석

        유리나(Yoo, Li-Na),황수철(Hwang, Su-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단감농가의 생산비절감방안 모색을 위해 생산요소 수요구조를 분석했다. 2001~2013년간 농산물소득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초월대수 비용함수를 추정하고 노동, 자본, 중간투입재간 가격 및 대체탄력성을 계측했다. 분석결과 생산요 소 모두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변화가 크지 않고 특히 비용부담이 가장 큰 노동의 가격상승에 따른 타 생산요소의 대체성이 낮아 구조적으로 단기간에 노동 수요를 줄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비절감을 위해서는 노동에 비해 수요 가 탄력적인 중간투입재, 특히 탄력성이 큰 비료와 기타재료비를 중심으로 비용절감이 이뤄져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 demand structure of sweet persimmon as a part of finding out cost cutting measures. Income and cost data from 2001~2013 Agricultural Income Survey are used for placing the translog cost function and estimating price elasticies and cross elasticities of labor, capital and intermediate input. The result shows that own price elasticities of all factors are small in absolute terms. Additionally the result indicates capital and intermediate input cannot be a substitution for labor, which is a top-line cost-share. It means that the demand for labor cconstitutionally can't be reduced in a short time. This implies that cost reduction should be done focusing on intermediate input, particularly on fertilizer and materials which have higher price elasticity of demand.

      • KCI등재

        한국농업의 총요소생산성 추계와 분석(1955~2012년)

        황수철 ( Su Chul Hwang ),유리나 ( Li Na Yoo ) 한국축산경영학회 2014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1 No.4

        This study estimates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Korean Agriculture for the period 1955~2012 and analyzes productivity changes by employing Tornqvist index method.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During the past 57 years from 1955 to 2012, total agricultural output has increased by 2.6 percent per year.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otal agricultural input over the period is 1.4 percent. Consequently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ccounts for 46 percent of the growth of production. Total agricultural output and input have increased rapidly until the early 1990s, but both have declined since then. Over the whole period of this study, the pattern of productivity change is noticeable. The drivers of agricultural growth has moved from inputs to productivity. Thus, the 70 percent of agricultural output growth until the early 1990s accounted for an increase of agricultural input, and hereafter agricultural growth is explained entirely due to the productivity growth.

      • KCI등재

        농업산출의 추계와 분석(1955∼2012년)

        황수철 ( Su Chul Hwang ),유리나 ( Li Na Yoo ),유영봉 ( Young Bong Yu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4 食品流通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rowth of Korean agriculture for the period 1955∼2012 by estimating time-series data of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The emphasis is on arranging the reliable time-series data of output for closer analysis by enlarging the scope of its measurement up to 89 products. The results shows that the average growth rate of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during the period is 2.3%. Furthermore i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ctoral growth between crops and livestock. In order to review the result, comparative analysis on total output of Korean agricultural sector is conducted with other two official data.

      • 마늘, 양파 재배농가의 생산효율성 요인 분석

        이도현 ( Lee¸ Do-hyeon ),장민기 ( Jang¸ Min-ki ),유리나 ( Yoo¸ Li-na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1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하계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필수 양념채소인 마늘(난지), 양파 재배농가의 생산효율성을 제고 시키기 위한 요인을 밝히고 있다. 자료포락분석 결과 마늘(난지), 양파 재배농가 모두 비효율의 원인이 순수 기술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효율 요인을 찾기 위해 실시한 Tobit 분석 결과에서 마늘 재배농가의 경우 농약비가, 양파 재배농가의 경우 수도광열비와 자가노동비가 생산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순수 기술효율성 제고를 위한 투입 요소의 전반적인 재점검이 필요한 시기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경기 북부 지역 유통 엽경채류의 농약 잔류량 분석

        유나영,김기유,김윤성,김상태,송서현,임정화,유리,최희정,김윤호,서정화,최옥경,Yoo, Na-Young,Kim, Ki-Yu,Kim, Yun-Sung,Kim, Sang-Tae,Song, Seo-Hyeon,Lim, Jeong-Hwa,Han, Yoo-Li,Choi, Hee-Jeong,Kim, Youn-Ho,Seo, Jeong-Hwa,Choi, Ok-Ky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in 160 stalk and stem vegetables marketed in Northern Gyeonggi-do. The QuEChERS method using GC-MS/MS and LC-MS/M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idues of 341 pesticides in the samples. The maximum or lower than the residue limit was recorded in 75 samples (46.9%), while 4 samples (2.5%)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Thirty-nine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cluding fungicides (14), insecticides (22), herbicides (2), and plant growth regulator (1). Carbendazim and pendimethalin were the most frequelntly detected pesticides. Fenitrothion, procymidone, and diazinon exceeded MRL in garlic chives, and Welsh onion. This indicated that these vegetables along with water celery should be constantly monitored.

      • KCI등재

        PLS 시행 전후 경기도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 비교 분석

        송서현,김기유,김윤성,유경신,강민성,임정화,유나영,유리,최희정,강충원,김윤호,서정화,최옥경,Song, Seo-Hyeon,Kim, Ki-Yu,Kim, Yun-Sung,Ryu, Kyong-Shin,Kang, Min-Seong,Lim, Jeong-Hwa,Yoo, Na-Young,Han, Yoo-Li,Choi, Hee-Jeong,Kang, Choong-Won,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부터 전체 농산물에 확대 적용된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경기도 유통 농산물 검사 자료 28,693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검사 실적 대비 기준 초과 비율은 2018년 1.0%, 2019년 1.2%, 2020년 1.2%로 나타났고, 잔류농약 검출 비율은 2018년 12.9%, 2019년 25.1%, 2020년 37.3%로 증가하였다. 2019년 기준초과 114건 중 55건이 일률기준(0.01 mg/kg) 적용이었고, 2020년 기준초과 115건 중 66건이 일률기준 적용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의도적 오염,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 부정 농약에 대한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Fluquinconazole은 비의도적 오염이 원인이었고, diazinon, chlorothalonil, methabenzthiazuron은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이 원인이었다. Chinomethionat은 과거에 폐기된 농약 성분으로 밀수 농약 사용이 원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와 이후 모니터링 자료는 앞으로 제도 보완 및 현장 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impact of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being applied to all agricultural products from January 1, 2019, we analyzed 28,693 points of inspection-related data o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ed in Gyeonggi-do from 2018 to 2020. The ratio of cases exceeding the standard for the total inspection performance was 1.0% in 2018, 1.2% in 2019, and 1.2% in 2020. Out of the 114 cases exceeding the standard in 2019, 55 were applied on a Maximum Residue Limit (MRL) of 0.01 mg/kg, and out of the 115 cases exceeding the standard in 2020, 66 were applied on a MRL of 0.01 mg/kg. To improve this, it seems necessary to manage unintentional pollution, conventional use for unregistered crops, and illegal pesticides. Fluquinconazole detection resulted from unintentional contamination, and diazinon, chlorothalonil, and methabenzthiazuron detection resulted from conventional use in unregistered crops. Chinomethionat is a pesticide component that was discarded in the past and its current use has been attributed to the smuggling of pesticides. This study and future monitoring data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ystem supplementation and on-site management reinfor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