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양글쓰기교재 구성방안 연구

        원해영(Won Hae-Young)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대학에서 개설하는 교양글쓰기교과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중요한 교양교육이라는 점을 전제로 외국인유학생 대상의 글쓰기수업교재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외국인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글쓰기수업이 인문학적 사고를 촉진하는 내용 중심, 사고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현재 글쓰기수업에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 부합하는 외국인유학생용 글쓰기교재의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국인유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글쓰기교재는 첫째, 인문학적 주제를 포함하여야 한다. 둘째, 단원 구성에서 다양한 주제의 읽기와 쓰기가 연계되도록 한다. 셋째, 단원의 세부 단계는 학습자의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생각을 완전히 표현할 수 있는 자유형 쓰기 과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문의 수준은 외국인학습자의 언어능력을 고려하여 수정 편집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대학의 실제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writing lesson for foreign students and to seek the composition of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assuming that the Liberal Writing Class established by the university is an important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stering talents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of all, I insisted that liberal arts writing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should be content-oriented and thinking-oriented education that promotes humanistic thinking.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composition of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used in the writing class. First, writing textbooks for the humanities cultivation of foreign students should include the humanities. Second, in the composition of the unit, the reading and writing of various subjects are linked. Third, the detailed steps of the unit should be organized to promote the learner s thinking. Fourth, the freestyle writing task that can fully express the student s thoughts should be presented. Fifth, the level of text needs to be revised and edited considering the language ability of foreign learners. Sixth, the system of textbooks should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 연구

        원해영(Won, Hae Young)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1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8 No.1

        This study has sought to classify the type of errors which Thai learners of Korean make and to provide som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reducing the errors by contrasting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Thai language. It was found that the Thai learners who had just started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Such an influence of the mother language may attribute to the learners’ tendency to understand the rule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ose of the Thai language. Therefore, kn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an help teachers to predict the types of errors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may produce, and to reduce learner errors. When teachers know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eir students are faced with, they can approach them with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외국인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도, 마저 조차’ 교육내용 연구

        원해영(Won, Hae-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2

        본 연구는 외국인학습자가 자주 사용상 혼동과 오류를 일으키는 조사 ‘도, 마저, 조차’의 교육내용을 점검하고, 이들 조사의 의미적 특성을 재구성하여 효율적인 교육내용과 학습단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마저, 조차’의 의미를 재설정하고 현장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문법교재 4종을 분석하였다. 먼저 표준국어대사전에 제시된 의미와 학자들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 마저, 조차’는 ‘더함, 추가’라는 기본 의미를 공통으로 하고, ‘마저’와 ‘조차’는 이 기본 의미에 더하여 결합되는 대상이 각각 ‘마지막 남은 대상’, ‘예상 밖의 대상’이라는 특수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한국어문법교재 분석 결과 ‘도, 마저, 조차’의 의미와 제시 방법은 교재마다 다르고 설명어, 예문, 연습활동 등의 교육내용 또한 목표형태를 익히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 마저, 조차’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개선방안과 이에 맞는 교육내용 및 학습단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①기본 의미가 ‘추가’로 통일되어야 한다. ②형태 제시 방법이 ‘N도, N마저, N조차’와 같이 시각적으로 도식화되어야 한다. ③예문이 목표형태의 의미와 기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④맥락이 포함된 다양한 연습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⑤학습자 수준과 사용빈도에 맞게 ‘도’는 초급, ‘마저, 조차’는 중급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단계를 통일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Do, Majeo, Jocha”, which frequently cause confusion and errors by foreign learners, and to suggest efficient educational content and learning steps by reconstruct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se Particles. This study recognized the need for the educational content of ‘Do, Majeo, Jocha’ with similar meanings, to be more effectively re-established in the presentation of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eps, and attempted to more explicitly present the common and individual meanings of these Particles.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I came up with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o, Majeo, Jocha’ called ‘addition’. They have the basic meaning of ‘addition’ in common, and ‘Majeo’ and ‘Jocha’ have a special meaning that the objects that are combined are ‘last remaining object’ and ‘unexpected objects’.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Korean grammar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Do, Majeo, Jocha’ were not enough. The meaning was not correct,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form was different. Also, some example sentences are not suitable, and practices are not sufficiently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fficient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steps of Do, Majeo, Jocha’. 1.The basic meaning should be unified as ‘addition’. 2. The method of form presentation should be visualized like ‘N도, N마저, N조차’. 3. The example sentence should be able to clearly show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arget form. 4. A variety of practice activities including context should be provided. 5. The step of learning should be unified ‘Do’(beginner), ‘Majeo’(intermediate), ‘Jocha’(intermediate) according to learner level and frequency of use.

      • KCI등재

        외국인유학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수업의 현황과 과제

        원해영(Won Hae-Young)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유학하고 있는 외국인유학생이 교양 글쓰기수업을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현재 부산지역 대학에서 진행 중인 외국인유학생 대상의 교양 글쓰기수업 현황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글쓰기수업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부산지역의 4년제 대학 중 외국인유학생을 위한 글쓰기수업을 별도로 개설하고 있는 곳은 4곳에 불과하였으며, 대부분 대학에서 외국인 대상의 글쓰기강좌에 대한 정책이 분명하지 않았다. 그리고 시중에 나와 있는 글쓰기교재의 구성은 주로 글의 유형과 형식에 치중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겨졌던 외국인유학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수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외국인유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글쓰기능력 함양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학생들과 분리하여 외국인유학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수업을 개설하여야 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수업에는 다양한 인문학적 주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방법적인 면에서 외국인유학생의 인문학적 사고를 촉진하는 글쓰기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writing lesson for foreig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liberal writing class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t universities in Busan and to find out the tasks for effective writing class under the premise of cultivating humanistic literacy required by society through liberal writing class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ib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among the fourteen four-year universities, there are only four places where arrange the writing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the policy on writing classes for foreigners was not clear, the writing textbooks chosen by the instructor are mainly focused on the type and form than subjects. This study proposes the future tasks of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cultivate the humanities of foreign stud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iberal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separated from Korean students. Second,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should include the cultiv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Third, the writ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humanistic think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PBL수업에서 동료 간 친밀성이 과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동료 평가에 나타난 협력성과 팀 기여도를 중심으로-

        원해영 ( Won Hae-yo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effect of personal intimacy of peers on Task activities by peer evaluation in the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henceforth PBL). Through PBL classes, students can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cooperative interaction with others, as well as vivid knowledge of the subject. Particularly, the unity and cooperation of team members are important to solve complex and unstructured problems successfully. In this study, 40 students were teamed in two different ways to research the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of the team.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team formation method was divided into the free choice type with high personal intimacy and the random type with no personal intimacy, there was a difference in cooperation between peers in the activities. The team with high intimacy members showed low peer evaluation whereas the team with low personal intimacy showed high peer evaluation. This means that the personal intimacy of the team members did not positively affect the team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variables such as mutual respect and interest in the topic rather than the personal intimacy of learners are more effective in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in team activities. And this conclusion suggests to professor who arranges team activity in his/her class to search more effective factors than personal intimacy.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상호작용강화 기법을 활용한 ‘도, 마저, 조차’ 교육방안 연구

        원해영 ( Won Hae-young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6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보조사 ‘도, 마저, 조차’를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그 의미적 특성을 규정하고, 형태초점 접근법의 상호작용강화 기법을 적용한 교육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조사 ‘도, 마저, 조차’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상황을 강조하고자 할 때 자주 사용하는 조사들이다. ‘도, 마저, 조차’는 새로운 내용의 ‘추가’(더함)이라는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각각 조사의 개별적 의미와 기능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환경이 다르다. 그런데 ‘도, 마저, 조차’의 개별적 의미를 정확하게 학습하지 못한 외국인학습자가 이들을 동일한 조사로 인지하고 종종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류는 학습과정에서 ‘도, 마저, 조차’의 의미적 기능적 차이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상황에서 ‘도, 마저, 조차’의 의미적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강화 기법을 활용한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도, 마저, 조차’를 한국어 수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학습할 것을 전제하고, 가장 마지막에 학습하는 ‘조차’의 학습단계에서 상호작용강화 기법을 적용한 수업내용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잘 계획된 수업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교수자와 함께 소통하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오류를 즉각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맥락이 포함된 의사소통을 통해 ‘도, 마저, 조차’의 의미와 기능을 정확하게 익히는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propose the teaching method for learners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se th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Do, Majeo, and Jocha' in communication situations by applying the Interaction Enhancement which is a technique of the Focus on Form approach. 'Do, Majeo, Jocha' are frequently used when Korean native speakers emphasize the situation of adding new content. 'Do, Majeo, Jocha' have the common meaning of ‘addition’, but the context used is different because the individual meaning and function of each particle are different. However, foreign learners who have not accurately learned the individual meanings of 'Do, Majeo, and Jocha' perceive them as the same particles and often cause errors. These errors may have caused from insufficient learning about the semantic and functional differences of 'Do, Majeo, and Jocha'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teaching method using Interaction Enhancement Techniques. So that learners can accurately understand and use the semantic differences of 'Do, Majeo, and Jocha' in communication situations. Through well-planned instructional activities, learners can receive immediate feedback of their errors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And through communication that includes context, we can expect a learning effect to accurately lear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o, Majeo, and Jocha'.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원해영(Won Hae-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9 No.-

        ‘-잖아(요)’ is a colloquial final ending that is widely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However, it is not easy to select the learning stage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잖아(요)’ because of its morphological feature and various usage. Grammatical position of ‘-잖아(요)’ is ambiguous since it is an abbreviated form of phrase that is a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word, and the meaning of ‘-잖아(요)’ in real utterances is far from the original meaning; Thus, it is not easy to trace its meaning from the etymology and to regard it as an independent grammatical element, either. For this reason, there is few study on ‘-잖아(요)’ so far. A systematic education of ‘-잖아(요)’ is strongly needed for foreign learners to comprehend the conversa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better and to adapt themselves to life in Korea efficiently because ‘-잖아(요)’ is an expression of high frequency in everyday conversation of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epare a foundation that seek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by looking into various meanings and usage of ‘-잖아(요)’, the colloquial final ending, accurately, and by suggesting an efficient learning order considering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잖아(요)’.

      • KCI등재

        일본인 학습자 대상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문다율(Mun, Da-Yul),원해영(Won, Hae-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기업 간 교역에서 동등한 업무 파트너로 종사하는 일본인 실무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초를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어권 학습자는 한국 기업에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중국, 베트남 등과 달리 일본 기업의 종사원으로서 한국 기업과 동등한 자격으로 업무를 진행한다. 기존의 비즈니스 교재는 한국과 동등한 파트너로서의 일본어권 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 기업 실무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구방법: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초 작업으로 현재 한일 교역 업무에 참여하는 한국인과 일본인 실무자, 그리고 한일 교역에 관심이 있는 일본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업무의 성격, 한국어 학습 성향 및 요구도를 확인하는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4명의 일본인 실무자 개인별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한일 간 문화 차이에 대한 경험담을 확인했다. 한국인 실무자 개인 면접을 통해 비즈니스 상황에서 필요한 내용과 학습의 필요성, 일본인 실무자에 대한 인식, 문화 차이를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설문 결과 일본인 두 집단 간에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일본인 실무자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한국어 학습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었으나 일본인 대학생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두 집단의 인식의 차이는 일본인들이 회사에 입사 후, 한국과 접하게 되면서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한국인 실무자의 개인 면접을 통해 한국인 실무자들이 일본인 실무자가 제대로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했을 때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으며 만약 안정적인 한국어 구사와 문화이해가 가능하다면 업무 관련 신뢰도가 상승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향후 일본인 실무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한국과 일본의 실무자, 예비 실무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재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for Japanese practitioners working as equal business partners in trad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mpanies. Japanese-speaking learners do their business with the same qualifications as Korean companies unlike Chinese and Vietnamese who study Korean to get a job in a Korean company. Existing business textbooks did not sufficiently satisfy the needs of Japanese-speaking learners as an equal partner wi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decid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textbook for business use for practitioners of Japanese companies. Method: As a basic work for the development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this study surveyed Korean and Japanese practitioners participating in Korea-Japan trad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interested in Korea-Japan trade in order to confirm the nature of the job, the trend and demand for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Japanese practitioners to identify their experience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study also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with Korean practitioners in order to identify the necessary contents for business, the necessity of learning,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and cultures of Japanese practitioners. Resul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two group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Korean for business. Japanese practitioners believe that learning Korean is necessary in order to work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many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o not think Korean language students are necessar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s that Japanese realized they need business Korean classes after they started working for the company and experienced Korea. This study also found out from personal interview with Korean practitioners that Korean practitioners are concerned that the work with Japanese practitioners might be disrupted if they are not fluent in Korean. In addition, Korean practitioners also though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apanese’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higher the reliability of their work.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Business Korean textbooks for Japanese practitioners should include the sufficient opinions of Korean and Japanese practitioners and prospective practitioners for its publi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신임 한국어 교사의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손주희 ( Son Joo-hee ),원해영 ( Won Hae-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3

        이 연구는 부산에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신임 한국어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교사 교육에 대한 신임 한국어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하는 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임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전문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이 원하는 교육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방식의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교사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는 부산지역 대학 부설기관의 신임 한국어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no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eaches Korean as a foreign langage in Busan. The research method is to conduct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study collected materials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education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grams required. Based on this,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novice teachers has been proposed. First, The standard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be presented. Second, Teachers should choose the educational contents they want. Third, Various method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urth, Teachers’ demands should be accepted. And a warm and flexible working environment between no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should be cre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no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