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원지현(Won Ji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This study i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has examined the affect on teaching flow. The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of 368 people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six metropolitan cities. Data processing using SPSS 23.0 (PASW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showed meaningful teaching flow.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utonomy, dominance of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life was to affect all sub-factors of teaching flow. Third, personal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generally efficacy appeared to affect all sub-factors of teaching flow.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이 교수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6대 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PASW Statistics)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 교수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 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 교수몰입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의 개인적효능감, 일반적효능감이 교수몰입의 모든 하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원지현(Ji-hyun Won),이순복(Soon-bok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 교수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6대 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8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이용하여, Pearson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교사효능감, 교수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의 개인적효능감, 일반적 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수몰입의 하위요인인 도전과 기술의 균형, 행동과 지각의 일치, 명확한 목표,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 시간이 변형된 느낌, 자기 목적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교사의 개인적 정서의 이해와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능력을 돕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 뿐 아니라 교사로서의 바람직한 신념과 교수몰입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on their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flow, or involvement in the teaching process. To gather dat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80 early childhood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six other larg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flow. Second, a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and the personal efficacy and, general efficacy factors of teacher efficacy.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was found to be a sub-factor influencing teaching flow challenge and balance of skills, agreement between perception and action, clear goals, immediate and specific feedback, full task concentration and sense of control, loss of self-consciousness, altered sense of time, and autotelic experienc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helpful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flexible coping skills for understanding the individual affect and situa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also to provide important base materials regarding desirable beliefs and teaching flow of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순복 ( Soon Bok Lee ),원지현 ( Ji Hyun W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 경주, 포항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1일~3월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ASW Statistics) 18.0 통계조사분석을 활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Enter방식, Step-wise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 지향성에 모두에 정적으로 영향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 개인적 성장, 자율성은 자아탄력성의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환경에 대한 지배력과 자아수용은 자아탄력성의 감정조절에, 심리적 안녕감의 삶의 목적, 자아수용, 개인적 성장은 자아탄력성의 긍정적 미래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교사의 개인적 정서의 이해와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능력을 돕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go-resilience. Study the race, Ulsan and Gyeongju and Pohang area located in kindergarten, nursery and infant teachers working in targeted 359 people in 2013 to 1 March to 30 March survey was conducted to. Data Processing is SPSS(PASW Statistics) 18.0 Survey analysis utilizing,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Ente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way. The first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positive correlation was in all sub-regions. Second,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ects all on the self-Looking resilient,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go-resilience factor of the diversity of interest and attention, emotion regulation, positive future orientation under the influence of a static effects were.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well look at the impact on the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elf-acceptance, personal growth, autonomy, self interest and attention of the resilience of the diversity was found to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nvironment, self-acceptance and self-control of emotion regulation in resil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urpose of life, self-acceptance, personal growth, positive future orientation of the ego-resilience affects the results were .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 personal emotions and situations to help a flexible coping skills will be important data plan prepared.

      • KCI등재

        부하가 인식하는 상사의 피드백 추구행동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

        최병권(Choi, Byoung Kwon),전재욱(Chun, Jae Uk),원지현(Won, Ji Hyun),문형구(Moon, Hyoung 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2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그 간의 연구들은 주로 부하의 상사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편중되어 이루어진 반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피드백은 비단 부하뿐만 아니라 상사의 효과성에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사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질문을 중심으로 한 피드백 추구행동의 방식에 초점을 많이 두어온 반면, 피드백의 내용(긍정피드백, 부정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추구하는 피드백의 내용에 따라서 피드백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피드백의 내용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연구영역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내용에 초점을 두고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부하의 인식이 상사의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부하가 인지하는 상사-부하간의 교환관계의 질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134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상사의 리더십 효과성에 대하여 상사의 긍정피드백 추구행동은 부의 영향(-)을, 상사의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 부하가 인식하는 상사와의 교환관계의 질이 낮은 경우에 비해서 높을 때,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긍정피드백 추구행동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부의 영향 역시, 상사와 부하간의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 때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 및 피드백의 내용을 다룸으로써, 기존의 부하 중심의 피드백 추구행동의 연구영역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상사가 부하로부터 부정피드백을 적극 추구하는 것이 리더십 효과성의 향상에 중요하며, 특히 상사가 부하로부터 피드백을 추구할 경우, 상사-부하 교환관계에 대한 부하의 인식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Considering that feedback can be a vital resources for improving an individual’ performance,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examining the mechanism of feedback-seeking behavior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follower’s feedback-seeking from his/her supervisor. As a result, studies on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 are very scarce.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s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perceived by followers on leader effectiveness.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ollower’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The hypotheses were tested with a sample of 134 Korean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follower’s perception of leader’s posi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leadership effectiveness. We also found a moderating effect of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s expe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stronger for follower with high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However, contrary to hypothesi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positive feedback-seeking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also stronger for follower with high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Our study has extended the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literature through feedback type which has been somewhat neglected. Additionally, our study suggested that leader should seek negative feedback from follower to improve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also pay a careful attention to follower’s percep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We summarized the limitations and suggested some agenda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 KCI등재

        목표지향성, 상사부하 교환관계, 부하 신뢰성 인식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병권(Byoung Kwon Choi),전재욱(Jae Uk Chun),원지현(Ji Hyun Won),문형구(Hyoung Koo M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4

        " As feedback is being considered as a valuable resource to improve employees’ work performance, many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on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over the last thirty years. Since prior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follower’s feedback-seeking behavior, there is a natural lack of research on how leaders seek feedback from his/her followers. Indeed, feedback can be instrumental not only for followers but also for leaders in terms of capabil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Moreover, although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feedback-seeking behaviors such as method (inquiry, monitoring), timing, and type (positive, negative), methods or the frequency were the most addressed topic by previous works on feedback-seeking. Accordingly, feedback types have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the feedbackseeking literature. Especially negative feedback,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inadequacies in work behavior and performance, can help leaders to understand which areas of managerial role, work, and performance need to be improved and corrected. Therefore, negative feedback sought from followers by the leaders will be very critical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rial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beyond the prevailing follower-centric research on the relevant topic. First, we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learning/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s. Given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is basically an individual’s deliberate and voluntary effort to achieve a certain goal, these two types of goal orientation considered as dispositional personalities are expected to influence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Second, considering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operates in the dyadic relationship between the seeker and the giver (i.e., feedback source), leaders’ perception of followers’ characteristics will influence on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will also interact with their learning/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erefore, we then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leader’s perception on follower credibilit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type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137 leader-follower dyad sample. As predicted, our results showed that leaders’ 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behavior of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However, contrary to our hypothesis, we failed to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type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s. Moreover, we found that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ha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goal orientation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o be more specific,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was weaker when the quality of LMX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was stronger when both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were higher. Our study offer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feedback-seeking literature by examining the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mechanism. Especially, we found various predictors of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by considering leader’s dispositional (goal orientation) and follower’s characteristics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피드백은 개인의 성과향상에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면서, 그 동안 조직 내 구성원의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부하의 피드백추구행동에 초점을 두어 온 반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추구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피드백추구행동의 다양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주로 피드백추구의 빈도 또는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피드백의 유형(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피드백은 부하뿐만 아니라 상사에게도 중요할 자원이며, 특히 부정적 피드백은 상사의 효과성 향상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피드백추구행동의 관점을 확대하여,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가설로는 첫째, 피드백추구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의 기질적 특성인 상사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이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준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피드백추구는 피드백 추구자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원천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부하의 전문성 및 능력에 대한 신뢰성 인식과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목표지향성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해서 상사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가 인식하는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부하 신뢰성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효과 측면에서 보면,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성과회피목표지향성과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간의 부의 관계는 약화되었으나, 부하 신뢰성 인식이 높을수록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한 학습목표지향성의 긍정적 영향과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부정적 영향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피드백추구행동의 빈도 및 부하 중심 연구에서 벗어나.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의 선행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피드백추구 행동의 연구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상사의 기질적 특성인 목표지향성, 부하의 전문성 및 능력에 대한 상사의 신뢰성 인식, 상사부하의 교환관계의 질,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피드백추구행동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 GPX자료를 이용한 자전거 이용자 운동량 분석

        김형우(Hyoung-Woo Kim),오재규(Jae-Kue Oh),박성경(Sung-Kyung Park),이화영(Hwa-Young Lee),원지현(Ji-Hyun Won),강지은(Ji-Eun Kang),김의명(Eui-Myoung Kim)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지구온난화와 교통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자전거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자전거 이용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전거이동경로의 GPX파일자료를 얻어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이동경로확인과 운동량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