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멀티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

        우채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ultiliteracy,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happiness flourish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s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rvey results of 1,396 school-aged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AMOS 26.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echnostress, multi-liter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echno overload, communication literacy, academic efficacy, and self-confidence positively affected positive emotion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appiness, technostress, multi-literacy, and self-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 KCI등재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 분석

        우채영,김판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 또래, 교사와의 인간관계, 자기조절능력, 학교생활적응, 스트레스, 우울, 비행,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다차원적 접근 모형인 연구모형과 세 가지 경쟁모형을 경합시켜 청소년의 심리행동특성 연구에 있어 다차원적 접근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 또래와의 부정적인 관계와 낮은 자기조절능력은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부정적인 관계, 낮은 자기조절능력, 스트레스는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 우울은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 또래와의 부정적인 관계, 스트레스, 우울, 비행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차원적 연구모형과 세 가지 경쟁모형을 비교한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모형에서 각각의 변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다차원적 접근모형이 유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uman relation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self-regulative ability, adaptation of school life, stress, depression, delinquency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for the psych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 study of adolescents by competition of three competitive models and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negative relation with parents and peers, and the low self-regulative abilit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tress. Second, the negative relation, low self-regulative ability and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while the negative rela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depres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elinquency. Third, the negative relation with parents and peers, stress, depression and delinquenc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oughts for suicide. Finally,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multidimensional model of this study and three competitive models showed that the highest goodness of fit was the multidimensional model of study. Accordingly,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study and the direction of studies hereafter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어린이집 원장의 대학생활 탐구

        우채영,권정해,김판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어린이집 원장의 대학생활을 탐구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K도에 소재하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어린이집 원장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Colaizzi 방법을 사용하 였다. 이는 주체의 관점을 서술한 것 중 공통적이며 일반적인 진술을 묶어 추상화시킨 다음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해내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면담 중 녹음된 내용을 필사한 후 의미 형태로 요약하여 재 진술하였고, 요약된 진술문을 주제모음으로 분류한 다음 하나의 범주로 묶었다. 분석 결과, 대학에 입학한 동기는 유?보 통합 정책에 대비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교육자로 인정받고 싶어서, 향후 유치원 운영을 위한 준비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을 통해 얻은 점은 보육현장에서 의 도움, 대인관계 증진,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학 중에 직면하게 되는 어려운 점은 직장과 가사 및 학업의 병행, 인지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 시 하였다.

      • KCI등재

        탄소전극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조밀 이산화티타늄 분말 전자수송층 제작 비교 연구

        우채영,이형우 한국분말재료학회 2022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9 No.4

        This stud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act TiO2 (c-TiO2) powdery film, which is used as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of perovskite solar cells, based on the manufacturing method. Additionally, its efficiency is measured by applying it to a carbon electrode solar cell. Spin-coating and spray methods are compared, and spraybased c-TiO2 exhibits superior optical properties. Furthermore, surface analysi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exhibits the excellent surface properties of spray-based TiO2.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PCE) is 14.31% when applied to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based on metal electrodes. Finally, carbon nanotube (CNT) film electrode-based solar cells exhibits a 76% PCE compared with that of metal electrodebased solar cells, providing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인간관계 스트레스와 우울, 비행 간의 구조적 관계

        우채영,정현희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6

        This study discuss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tress with parents, peer, teacher and depression, delinquency of adolescents.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asked 400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373students of them were sampled using the d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nd then those hypotheses were verifi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tress with parents and peer recogniz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recognize had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But stress with parents and peer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linquency. And stress with teacher recognize had not a significant relation with depression, delinquency. Third, depression recogniz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linquenc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was discussed and limit of this study and the way next research goes were showed.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 또래, 교사관련 스트레스와 우울, 비행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도에 거주하는 남녀․중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중 최종 분석에 사용한 것은 373부이다. 연구문제의 검증은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모, 또래, 교사와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중 부모의 기대와 요구, 학업성적, 공부독촉과 관련한 부모스트레스와 또래에서 소외감, 따돌림, 무시당함에 관련한 또래 스트레스는 각각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교사의 편애, 공부 방법, 창피를 주는 것에 관련한 교사스트레스는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또래, 교사관련 스트레스는 비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비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부모와 또래관련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주며, 우울을 매개로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OVID 19 팬데믹 이후 온⋅오프라인 교육환경에 대한 교수자의 반응

        우채영,김향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일반대학교에 비대면 수업이 도입된 상황에서 온⋅오프라인 교육에따른 교수자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K 대학교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였고, 185명의 설문 결과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육에서 교수자의 주된 교수방법은 비실시간 녹화 영상을 활용한 수업이 가장 많았고, 교수자가 지각하는 온라인 교육에서의 장점은 자유로운 시간 확보가 가장 높았으며, 단점은 즉각적인피드백과 상호작용의 부재가 가장 높았다. 오프라인 교육에서 교수자의 주된 교수방법은 강의식이었고, 교수자가 지각하는 오프라인 교육에서의 장점은 즉각적인 피드백과 상호작용 등의 순이며, 단점은공간적⋅시간적 제약이 가장 높았다. 또한, 온⋅오프라인 교수 환경에서 교수자가 지각하는 미디어리터러시는 온⋅오프라인 교수실재감, 교수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미디어리터러시와 온라인교수만족도는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온⋅오프라인 교육 환경에서 교수자가 지각하는교수실재감 및 교수만족도는 교수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온라인교육 환경에서 여자 교수자는 남자 교수자보다 학습촉진과 교수만족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고, 전공에따라서는 인문사회계열의 교수자가 자연공학계열의 교수자보다 학습촉진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미디어리터러시는 40세 이하의 교수자는 61세 이상의 교수자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교수자가지각하는 교수실재감 및 교수만족도는 온⋅오프라인 교육 환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구체적으로 교수실재감 및 교수만족도는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보다 오프라인 교육 환경에서더 높게 지각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포함한 교수법 향상을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연령과 전공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의의

        우채영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with the aim of improving both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SEL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the CASEL website and reviewed the prior literature on SEL. The findings revealed that classroom practice in SEL was established following 2011 United States federal government policy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ct (ASELA)] and that SEL consists of an acquisition process encompassing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related to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Fur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SEL could help to address the urgent contemporary problems of high rates of youth suicide, school viol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SEL would not only benefit adolescents within their school life, but could also lead to important gains in an overall healthy socialization. SEL leads to important gains i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represent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schools and communities in the emotional learning process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자살,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국의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의 운영을 관리하고 있는 CASEL 홈페이지의 내용을 활용하였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교실에서 실시하는 SEL은 미국 연방정부의 『학업적, 사회적, 감성적 능력함양을 위한 학습법(ASELA)』에 제정된 것으로 아동․청소년의 사회적․정서적 능력과 관련되는 지식과 태도,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모든 형태의 학교에서 운영하기를 기대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이다. SEL에서 다루는 핵심영역은 청소년의 발달과업이기도 하며, 학교생활뿐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개인의 능력이다. SEL의 실행결과는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학업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측면에서 SEL은 부모, 학교, 사회의 협력을 통해 학업에서 다루게 될 사회적, 정서적 학습으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그래핀 원스텝 전사(Graphene One-Step Transfer) 공정 기반 다층 그래핀 잔여분말 제거 기술 연구

        우채영,조영수,홍순규,이형우,Woo, Chae-young,Jo, Yeongsu,Hong, Soon-kyu,Lee, Hyung Woo 한국분말재료학회 (*구 분말야금학회) 201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6 No.1

        In this study, a method to remove residual powder on a multi-layered graphene and a new approach to transfer multi-layered graphene at once are studied. A graphene one-step transfer (GOST) method is conducted to minimize the residual powder comparison with a layer-by-layer transfer. Furthermore, a residual powder removing process is investigated to remove residual powder at the top of a multi-layered graphene. After residual powder is removed, the sheet resistance of graphene is decreased from 393 to 340 Ohm/sq in a four-layered graphene. In addition, transmittance slightly increases after residual powder is removed from the top of the multi-layered graphene. Optical and atomic-force microscopy images are used to analyze the graphene surface, and the Ra value is reduced from 5.2 to 3.7 nm following residual powder removal. Therefore, GOST and residual powder removal resolve the limited application of graphene electrodes due to residual powder.

      • KCI등재

        공자의 관점에서 본 행복교육의 의미: 논어를 중심으로

        우채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for adolescence to realize what happy education is, facing to the educational crisis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houghts of Confucius about education and happiness, focusing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a result, the perspective of Confucius's education is based on “Learning for oneself (爲己之學)”, the core teachings of his education are nurturing the virtue related to “benevolence(仁)” and 'Six Skills(六藝)'. Furthermore, as the methods of education, he focused on “teaching without indiscrimination(有敎無類)”, “teach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aptitude (因材施敎)”, “emphasize both learning and thinking(學思竝進)”. In addition, those are, the pleasantness of learning, the delightness of being together, the dignifiedness of being a human with subje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happiness education toda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이 위기인 시대를 맞아 청소년들이 행복한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논어를 중심으로 공자의 교육사상과 행복에 관한 생각을 살펴보 았다. 연구의 결과,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교육관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이며, 교육의 핵심내용은 인(仁)의 덕목과 육예(六藝)이다. 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유교무류(有敎無類), 인재시교(因材 施敎), 학사병진(學思竝進)이다. 또한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행복관은 학이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학습의 즐거움, 학우와 함께 함의 즐거움, 주체적인 삶에 대한 떳떳함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오늘날 행복교육의 의미와 행복교육의 실천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연구 -휠체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우채영 ( Woo Chaeyoung ),유준아 ( Yu Jun-ah ),황연숙 ( Hwang Yeo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연구는 장애인의 공연 관람 및 문화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대규모 공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조사를 통해 서울시 대규모 공연장의 BF인증 현황을 파악하고 인터뷰조사를 통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의 공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사항과 불편 사항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지체장애인 중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으로 제한하며, 대상의 범위로는 대규모 공연장의 조건인 관람석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의 관람장 중에서 2000년대 이후에 설립된 공연장으로 제한하였다. (결과) 첫째,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BF인증기준을 관람석, 접수대, 주출입문, 주차장으로 구분하여 평가한 결과 BF인증기준을 모두 충족한 공간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이용자를 배려한 접수대 높이, 관람석의 좌석수, 승강기 손잡이 높이, 주차구역의 위치 등 미충족한 비율이 높았다. 둘째, 관람장 내 휠체어 석의 위치는 모두 피난 시 대피하기 쉬운 출입구 부근에 배치되거나 분산배치 되어 휠체어 사용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셋째, 비장애인 동행인과 동석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인터뷰 조사결과 휠체어사용자들을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동석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인지도가 높은 대규모 공연장으로서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더 좋은 공연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기본적인 BF인증기준을 모두 적용하고 있지 못하다. 대규모 공연장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들이 공연을 더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보다 세심한 디자인 계획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디자인 제안으로써 후면 출입구 뿐만 아니라 측면 출입구에 있는 관람석 사이의 통로를 넓게 하여 통로석 옆에 휠체어 좌석을 배치하고, 관람석의 일부 좌석을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비장애인 동행인과 동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출입구의 형태를 자동문으로 설치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통행이 편리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지체장애인의 공연장으로의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활발한 공연 관람을 도모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large-scale concert halls to watch performances and promote cultural life for the disabled. (Methods and scop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BF certification status of large-scale concert halls in Seoul was identified through a case study, and the satisfaction and inconvenience of disabled people using wheelchairs were analyzed through an interview survey, and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ose with wheelchairs among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scope of the target audience was limited to those established after the 2000s among those with 1,000 or less seats, which are conditions for large-scale performance halls. (Results)First, the BF certification standards for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large-scale performance halls were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seats, reception desk, main entrance, and parking lot, and found that no space has met all of the BF certification standards. The ratio of unsatisfactory was high, including the height of the reception desk in consideration of wheelchair users, the number of seats in the stands, the height of the elevator handle, and the location of the parking area. Second, the locations of the wheelchair seats in the auditorium were all located or distributed near the entrance that was easy to evacuate during evacuation, which was highly dissatisfied with wheelchair users. Third, there are no seats available for non-disabled companions, so an interview found that wheelchair users wanted to be present with their family or friends.(Conclusion) This research target is a large-scale, well-known concert hall located in Seoul and has a better performing environment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but it does not apply all basic BF certification standards. For large-scale venues, more careful design plans are required to help wheelchair users enjoy the performance more comfortably. As a design proposal for this purpose, a wheelchair seat is placed next to the aisle seat by broadening the passage between the seats in the side entrance as well as the rear entrance, and some seats in the seats are installed in a variable manner to enable non-disabled accompanying persons to be seated. It also provides convenient access for wheelchair users by installing automatic doors in the form of main entrance. These improvements will enhance accessibility to the venues for the disabled and further promote active viewing of the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